•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식품 문화정보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전약과
  • 전약과

    식품코드 103905
    분류 부식 > 회류 > 편육
    발행기관 한국식생활문화학회
    학술지명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발행년 2011
    권호 V 26 no 6

h2mark 문헌(논문)명

문헌에 수록된 전약에 관한 연구

h2mark 저자

강유정, 정현숙, 유맹자

h2mark 내용

전약(煎藥)은 보양약물로서 고려시대에도 팔관회의 고임상에 올려졌다는 기록을「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에서 볼 수 있으며, 조선시대에는 동지(冬至)의 시절식(時節食)의 하나로 해마다 궁중 내의원(內醫院)에서 제조하여 진상하면 임금이 신하들과 종친들에게 하사하던 특별한 약물이었다
「시의전서(是議全書)」에는 전약이 동짓달에 만들어지며 녹각교나 아교를 녹인 후 대추 고은 것과 건강, 후추, 정향을 모두 가루내어 고루 섞어서 족편같이 엉기거든 그릇에 부 어 식힌 후 사용한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규합총서(閨閤叢書)」에는 전약 제조방법 3가지가 제시되어 있다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는 1623년부터 1910년까지의 왕명 출납기록으로서 이 안에 전약에 대한 기록이 80건이나 나타나 있는데 매년 동지(冬至) 때마다 신하들과 외국 사신들에게 특별 하사품으로 전약을 내려주었으며 일반 음식을 담당하는 부서가 아닌 내의원(內醫院)에서 구급약물(救急藥物) 및 보양약물(保養藥物)로 제조되었음이 기록되어 있다.

h2mark 시작 P

621

h2mark 종료 P

628

h2mark 분류

식생활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3
동의보감 77
한방백과 1
학술정보 1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1
역사정보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