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懸 白米 作粥 和海衣末 不 服之二三次 자현(子懸)에는 흰 쌀로 죽을 쑤어, 김가루를 섞고 소금 간은 하지 않은 채 2-3차례 복용한다.
김치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의방합편(의방합부)(醫方合編(意方合部))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잉어 1마리를 회로 만들어 생강, 식초와 함께 먹는다. 마늘, 김치와 함께 먹는 것도 좋다.
김치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동의보감(東醫寶鑑)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本草》 장학을 치료한다. 달여서 먹는다. 국을 끓여 먹거나 김치로 담가 먹을 수도 있다. 《본초》
김치밥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진우신방(晋寓神方)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여러 가지 풍증이나 전간으로 담연이 올라오는 것을 치료한다. 누렇게 볶은 과체 가루 5푼씩을 쓰고, 병이 중할 때는 1돈씩 끓인 물에 타서 먹는다. 토하지 않으면 다시 복용한다. △다른 처방으로는 약가루 2돈과 차 가루 1돈을 신김치 국물에 타서 먹는다. 만약 풍담을 토하면 살짝 볶은
김치밥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동의보감(東醫寶鑑)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丹心》 독성산이라고 부르는 또 다른 처방이 있다. 이것은 담연이 가슴을 막은 것을 치료한다. 과체ㆍ울금 각각 같은 양. 이 약을 곱게 가루내어 1돈 혹은 2돈씩 김치 국물에 타서 먹고, 거위깃으로 더듬어서 토하게 한다. 《단심》
김치죽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동의보감(東醫寶鑑)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丹心》 토하게 하는 약을 쓸 때 기를 끌어올려 주면 곧 토하게 된다. 방풍ㆍ치자ㆍ천궁ㆍ길경ㆍ작설차ㆍ생강ㆍ김치 국물 같은 것을 쓴다. 혹 이진탕을 복용하고 목구멍을 더듬어 토하게 하거나 과체산을 쓴다. 《단심》
김치죽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의방합편(의방합부)(醫方合編(意方合部))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묵은 쑥을 곱게 갈고 콩알크기로 뭉쳐, 매회 7-9알씩 5-6일 동안 복용하면 좋다. 개고기, 국수, 익히지 않은 채소, 김치, 젓갈, 고기, 소금에 절인 생선 등을 먹지 않아야 한다.
김치죽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진우신방(晋寓神方)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여러 가지 풍증이나 전간으로 담연이 올라오는 것을 치료한다. 누렇게 볶은 과체 가루 5푼씩을 쓰고, 병이 중할 때는 1돈씩 끓인 물에 타서 먹는다. 토하지 않으면 다시 복용한다. △다른 처방으로는 약가루 2돈과 차 가루 1돈을 신김치 국물에 타서 먹는다. 만약 풍담을 토하면 살짝 볶은
까치콩죽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수세비결(壽世祕訣)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일체의 더위 먹은 병에는 향유음(香飮)을 쓴다. 더운 여름날에 습한 곳에 누워 풍에 걸리거나 혹은 날것과 찬 것을 조절하지 않아 진기(眞氣)와 사기(邪氣)가 서로 침범하여 곧 토하거나 설사하거나, 혹은 열이 나고 두통과 체통이 있거나, 혹은 심복통이 있거나, 혹은 전근(轉筋), 혹은 헛
깨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주촌신방_연인본(舟村新方_연인본)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止渴潤肺, 補精塡髓.들 들깨는 성미가 신온하여 하기지수의 효능이 있다. 갈증을 멎게 하고 폐를 윤조시키며, 정을 보태고 골수를 채운다.
깨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양무신편(兩無神編)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대풍(大風)으로 인해 생긴 열병(熱病)으로 손발을 움직이지 못하는 증상과 단석약(丹石藥)을 복용하여 생긴 열독에는 초석 1냥, 검은깨기름 2큰되를 함께 솥에 넣은 뒤, 흙벽돌로 입구를 막고 섬유질[紙]을 넣은 진흙으로 단단히 봉하여 약한 불[細火]로 달이면, 처음 달일 때에는 비린내가
깨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사의경험방(四醫經驗方)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奇〉 대변을 보기 어려울 때는 들깨를 물에 걸러 죽을 만들어 단번에 복용한다. 〈박〉 옥매화뿌리를 달여 복용한다. 소변을 보기 어려울 때는 볶은 소금 반 근을 주머니에 담아 배꼽 아래를 찜질해주면 곧 나온다. 〈동〉 구맥을 달여 복용한다. 중저ㆍ완골혈을 쓴다. 호유를 날 것으로 먹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