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舟〉 말망이菜, 燒存性燒, 酒和服. 〈舟〉 蒜細切, 入燒酒, 溫厚覆置之飮. 〈舟〉 박달박망이數寸割取, 燒存性, 生淸和服, 卽差. 〈舟〉 이질에는 곶감을 참기름을 넣고 볶아 먹으면 신기한 효과가 있다. 냉리(冷痢)로 배가 아프고 설사가 날 때도 좋고, 어린아이에게 더욱 좋다. 〈주〉 ○
곶감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실험단방(實驗單方)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손가락에 종기가 생겼을 경우에는 그 손가락을 홍시 속에 집어넣는데 감이 아직 홍시로 익기 전이라면 생감을 잘라 붙인다. 곶감도 또한 좋다.
곶감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광제비급(廣濟秘笈)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생선회를 많이 먹고 소화되지 않아 흉격이 답답할 때는 과체산으로 토하게 한다. 만약 오래되어 징병(病)이 되었을 때는 대황ㆍ박초ㆍ진피 각 3돈을 물에 달여 먹으면 곧 소화된다. 《경험》 회를 먹고 소화되지 않을 때는 생강즙을 마시면 소화된다.《본초》 또, 물고기의 뇌를 먹어도 곧 소화
곶감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광제비급(廣濟秘笈)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回春》 산후에 딸꾹질하는 데는 계심 5돈을 생강즙 3홉에 2홉이 되도록 달여서 따뜻하게 먹고, 손을 불에 쬐어서 등을 문질러 준다. 또 벽경과(壁: 납거미 집) 3-5개를 달여 즙을 내어 빨아먹으면 즉시 그친다. 《장기》 또 곶감 한 개를 물 한 잔에 달여 6푼쯤 되거든 뜨겁게 빨아
곶감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의방합편(의방합부)(醫方合編(意方合部))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얇게 썬 곶감 3개와 멥쌀 3홉에 두시(豆)를 조금 넣고 죽을 쑤어 공복에 먹는다. 세신(細辛)가루를 솜에 싸서 귀에 꽂으면 매우 좋다.
곶감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진양신방(晋陽神方)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계심은 한(寒)에 감모되어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곱게 가루 내어 입에 머금고 녹여서 먹는다. 목이 간지럽고 아프며 목소리가 나오지 않아 말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계심 행인 각 1냥을 가루 내고 꿀에 개어 앵두만 하게 환을 빚는다. 솜에 싸서 입에 머금고 녹여서 먹는다.
곶감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본초정화(本草精華)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곶감 표면의 가루[霜]는 상초의 심폐열을 맑게 하고, 생진지갈하고 담을 없애 해수를 멎게 하고, 인후와 입과 혀가 헐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건시는 비폐혈분으로 들어가는 과일이다. 맛이 달고 기가 평하고 성질이 깔깔하여 수렴할 수 있으므로, 비를 튼튼하게 하고, 장을 삽하게 하여, 해수
곶감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이석간경험방(李碩幹經驗方)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이롱이나 코로 냄새를 맡지 못하는 경우에는 곶감(곱게 가루 낸다) 3개, 쌀 3홉, 두시 약간으로 죽을 쑤어 빈속에 복용한다.
곶감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이석간경험방(李碩幹經驗方)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이롱이나 코로 냄새를 맡지 못하는 경우에는 곶감(곱게 가루 낸다) 3개, 쌀 3홉, 두시 약간으로 죽을 쑤어 빈속에 복용한다.
곶감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활석 0.5량, 종유분정련함, 남성불에 구워 절편하고 생강으로 법제함 각 1량. ○ 이상을 가루 내어 곶감을 삶아 꼭지와 씨를 제거하고 곱게 찧어 약을 반죽하여 오동나무 씨앗 크기로 환약을 만들어 40알씩 생강과 대추 끓인 물로 먹는다.
곶감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의종손익(醫宗損益)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肉ㆍ付.《驗方》 《강목》 사람에게 물려 창이 생겼을 때는 구판이나 별갑을 태운 재를 기름에 개어 붙인다. 《보감》 ○ 사람의 이빨이 가장 독이 많다. 동변이나 쌀뜨물로 더러워진 피를 씻은 뒤에(깨끗하게 씻지 않으면 끝내 낫기가 어렵다) 인분을 붙이거나 인중황전탕으로 수시로 씻는다. ○
곶감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의종손익(醫宗損益)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平定成日, 젖 떼는 날짜는 잡을 때 축일(丑日)ㆍ인일(寅日)ㆍ진일(辰日)ㆍ기일(己日)ㆍ유일(酉日)이 길하다. 남자는 무기일(戊己日)을 피하고 여자는 병일(丙日)을 피한다. ○ 아이가 4∼5세 때 젖을 끊은 다음 고기를 차츰 늘려 가면 감질이나 현벽(癖) 같은 질병이 생기지 않는다.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