經에 말하기를, 肺가 손상된 경우에는 氣를 補益하여야 한다고 한 것은 肺가 모든 氣를 주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火와 元氣는 양립할 수 없기에, 인삼감초 등의 甘溫한 약을 써서 補氣하면 氣가 튼튼해져서 火가 스스로 사그라지는데 이는 少火生氣시키는 법을 쓴 것이다. 만일 火燥로 인해 肺에
옹저(癰疽)ㆍ발배(發背)ㆍ치루(痔漏)ㆍ악창(惡瘡)ㆍ염창(瘡)ㆍ오랫동안 아물지 않는 헌데 등에는 우피교(牛皮膠, 소가죽으로 만든 아교) 1덩이를 물에 넣고 졸여 농도가 적당해지면 종이에 두껍게 바르는데, 매번 1덩이 분량을 잘라 터진 자리에 붙인다. 그런 다음 진한 식초에 부드러운 베 2
아교찹쌀죽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주촌신방_연인본(舟村新方_연인본)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安神湯加黃蜜炙 阿膠各五分 왼뺨에 열이 나고 오른뺨이 찬 경우는 간허에 화를 끼고 폐허에 담을 껴서 그런 것이다. 안신탕에 황기(꿀물에 적셔 굽는다) 아교 각 5푼
아교찹쌀죽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양무신편(兩無神編)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코피가 심하게 나거나 오랫동안 코피가 나와 귀와 입에서 모두 피가 나올 때에는 아교(구운 것), 포황 반 냥을 준비하여, 2돈씩 물 1잔과 생지황즙 2홉이 10분의 6이 남게 달여 따뜻하게 복용한 뒤, 급히 면 끈으로 양 젖을 묶는다.
아교찹쌀죽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사의경험방(四醫經驗方)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욱리인 적당량을 진하게 달여 복용한다. 흰 상륙 약간을 꿀과 섞어 씹어 먹는다. 〈채〉 대변이 잘 나오지 않을 때는 끓는 물에 아교를 넣고 못 모양으로 만들어 항문에 넣거나 또는 암컷 제비똥을 섞어 정(丁)자 모양을 만든다. 조협껍질을 곱게 갈아 식초와 섞은 다음 배꼽에 붙인다. 참기름
아교찹쌀죽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수세비결(壽世祕訣)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편풍(偏風)으로 한쪽이 마비되는 것과 제풍(諸風)으로 팔다리를 움직이지 못하고, 허리와 다리에 힘이 없으면, 여마교(驪馬膠, 아교阿膠)를 조금 녹인 뒤, 먼저 끓인 총시죽(粥) 1되와 별도의 물 1되로 향시(香) 2홉을 삶아 찌꺼기를 제거하고 여마교(驪馬膠)에 넣고 다시 일곱 번 끓어오
아교찹쌀죽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의휘(宜彙)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효천. 목구멍에서 가래 끓는 소리가 물닭 우는 소리와 같은 것이 효천인데, 폐규에 담이 쌓여 그렇다. 이진탕에 마황 자소엽 행인 상백피 자완 패모 길경 각 5푼, 생강 3쪽을 더하여 물에 달여 복용한다. 어떤 곳에서는 신(腎)이 기를 들이지 못할 때는 팔미환을 쓰는데, 복령을 군약(君
《救急》 ○어린 아이가 경풍(驚風)으로 눈동자가 바르지 못한 것을 투침(偸針)이라 하는데, 인삼ㆍ아교를 달여 먹는다. 《강목》 가시가 눈을 찔러 빼내기 어려울 때는 겨자 뿌리를 불에 구워 그 자리를 문지르면 저절로 뽑혀 나온다. 만약 뿌리가 말랐다면 물에 적셔서 쓴다.《속방》 모래 같은
아교찹쌀죽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의방합편(의방합부)(醫方合編(意方合部))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대변이 막히면 끓는 물에 아교를 녹여 못 모양으로 만들어 항문에 삽입한다. 또 암제비의 똥을 합쳐 못 모양으로 만든다.
아교찹쌀죽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우잠잡저(愚岑雜著)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향부자(털을 없애고 1근을 넷으로 나누어 각각 술 식초 동변 쌀뜨물에 담그되 봄에는 5일, 여름에는 3일, 가을에는 7일, 겨울에는 10일 동안 담근 뒤에 볶아서 말린다) 1근, 백복령 당귀 천궁 백작약 백출(흙과 함께 볶는다) 산약 산조인 황백 지모 각 1냥, 오수유(물에 담가 쓴 즙
아교찹쌀죽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구급양방(救急良方)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만약 혹 폐열(肺熱)로 천(喘)이 심한 경우나 피고름을 뱉는 경우에는 상백피ㆍ아교ㆍ백복령ㆍ진피ㆍ반하(생강으로 법제한 것)를 더한 문동청폐음(門冬淸肺飮)을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