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팔도 식재총서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2. 식재 TOP 10
  • 이동

h2mark 껍질에 숨겨진 보석, 견과류

■ 금감 KUMQUAT
감귤가족의 작은 보석, 금감 KUMQUAT

♣ 역사

금감(金柑), 또는 금귤(金橘)이라 하지만 ‘금감(金柑)’이 정식 명칭이며, 식용되는 감귤 중 크기가 가장 작은 종이다. 일본어 킨칸(キンカン)에서 유래되어 ‘낑깡’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잘못된 표기이다.

원산지는 중국, 말레이시아 및 중국 해남도(장엽금감)이며,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에서 재배된다. 초기에는 관상용으로 보급되었으나 현재는 주로 식용으로 사용된다. 열매가 길쭉한 것을 긴알귤, 둥근 것을 둥근알귤 또는 동굴귤이라고도 한다.

크기가 작아 직경 3센티미터를 넘는 일이 거의 없으며 달콤 쌉싸름한 향미는 대부분의 감귤류와는 대조적이다. 중국에서는 춘절(음력 설) 직전에 작은 금감나무를 집이나 직장 문 앞에 놓아두면 행운이나 번영을 불러온다고 한다.

중국의 설날에는 사자춤(사자탈을 쓰고 추는 춤. 전통적으로 설 축제 때 춘다), 복사꽃, 그리고 세뱃돈이 든 빨간 봉투를 흔드는 어린아이들만큼이나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존재이다.

♣ 감귤류에서의 금감의 위치

감귤류에서의 금감의 위치

♣ 고문헌에서의 금감에 대한 기록

제주풍토록(濟州風土錄 : 金 淨, 1521)와 탐라지(耽羅志 : 李元鎭, 1653)에 금감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 대금귤(大金橘), 금귤(金橘), 석금귤(石金橘), 당금귤(唐金橘) 및 소금귤(小金橘) 등 모두 5종이 재배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효능

1. 금감은 껍질 채 먹기 때문에 영양가가 높다

- 칼슘이나 칼리성분은 껍질에 많이 함유되어 있고, 당분은 껍질에 많아서(19.5%) 껍질이 과육보다 더 달다.

- 항균작용이 있는 비타민 C가 과육에 30mg/100g 함유되어 있는데 껍질에는 이보다 2배 이상 많은 70mg/100g이 함유되어 있다.

2. 헤스페리딘(Hesperidin)이 많다.

- 비타민 P의 본체로 모세혈관의 삼투압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고, 비타민 C의 흡수를 돕는 역할이 있어 감기에 효과적이다.

- 동맥경화, 고혈압에도 효능이 있으며, 목의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어 편도선이 부었을 때도 효과적이다.

3. 칼슘을 함유한다.

- 과실로는 드물게 칼슘을 함유하고 있어 뼈나 치아를 튼튼하게 하고, 신경을 안정시키는 효능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금감은 신선한 열매 1~2개를 그대로 먹거나, 설탕절임으로 또는 주스로 아침저녁으로 복용하면 효과적이다.

♣ 영양

금감은 따뜻한 성질로 기(氣)의 흐름을 도와 몸 안에 뭉쳐 있는 기운을 풀어주며, 간염, 위염에 좋아 위장의 소화력을 높이고 식욕을 증진시키는데 효능이 있어 약재로도 사용된다. 또한 술을 빨리 해독시켜 주독을 풀어 주며 가슴이 답답한 것을 내리고 갈증을 없애준다.

비장기능을 강화 하고 가래를 없애주며 소화를 돕고 호흡기 질환의 일종인 백일해를 치료한다. 뿐만 아니라 금감 껍질에는 갈락탄, 펜토산, 플라보노이드 등의 성분과 함께 비타민 C와 유기산이 많이 들어 있어 기침이나 감기 예방에도 좋다.

♣ 식용 감귤류의 크기 비교

식용 감귤류의 크기 비교

♣ 생산 지역 및 시기

•재배품종 도입 : 일본에서 도입된 품종들로 1960년대에 재일교포 등에 의해 조금씩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명확한 도입기록은 없다.

•생산현황 : 1992년도에 1,390ha까지 증가하였지만 이후 ‘부지화(不知火)’ 등 새로운 만감류 품종이 도입되면서 금감 재배면적은 점차 감소되어 1997년도에 136ha(2,278톤 생산), 2002년도에는 123ha(2,597톤 생산)으로 감소되어 1992년도에 비하면 10분의 1정도이다. 2006년도에는 95.2ha에 3,027톤이 생산되었다.

•재배품종 : 진생금감아속(眞生金柑亞屬)에 속하는 4개 품종 전부 생채로 먹을 수 있지만 과실크기, 껍질의 단맛, 과육의 신맛, 향기 등을 고려할 때 ‘영파금감(寧波金柑)’이 생채로 먹을 때 가장 우수하다. 또한 설탕절임 등 가공용으로도 ‘영파금감(寧波金柑)’이 다른 품종보다 좋다.

‘장수금감(長壽金柑)’은 품질면에서 가장 나쁘고, ‘환실금감(丸實金柑)’은 과실크기가 작고 큰 가시가 많기 때문에 과실판매용 품종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금감은 화분에 심어 관상용으로 재배하는 것이 적합하다. 최근에는 씨없는 금감 품종인 ‘푸치마루’가 육성되어 보급되고 있다. 금감의 열매는 꽃이 핀 후 150일 정도가 되면 성숙된다. 열매는 껍질까지 먹기 때문에 껍질에 단맛이 충분하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수확시기 : 11월 하순부터 수확이 가능하나 겨울철이 따뜻하면 이듬해 2월까지 나무에 착과된 상태로 두었다가 수확하면 완숙과를 생산할 수 있다.

♣ 금감 생산면적 및 생산량

현재 제주도에서 생산되는 금감은 해마다 그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다. 이는 일반 감귤류에 비해 알이 작다 보니 수확 단가(시간 및 인력 등)가 높고, 또 최근 씨를 제거한 금감을 찾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처럼 씨를 빼 가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금감 생산면적 및 생산량

* 자료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 학원 감귤시험장(제주도)

♣ 맛

일반적으로 껍질째 먹는 금감은 입에 넣고 씹으면 얇고 달콤 쌉싸름한 맛과 향기, 그리고 신맛이 나는 육질이 매력적이다. 일반적으로 잼이나 드레싱, 소스, 음료류 등에 활용하며 피클로도 만들어 먹을 수있다.

중국에서는 소금에 절인 금감 가루를 뜨거운 물에 풀어 마시면 목을 보호하기도 하며, 통조림 금귤을 디저트로 활용하기도 한다. 금감을 보드카에 넣어 칵테일을 만드는 바텐더도 있으며, 빅토리아시대의 영국인들은 금감나무를 테이블 위에 올려두고 그 열매를 디저트로 따 먹기도 했다.

둥근 것이 타원형 보다 더 달기 때문에 용도에 따라 모양을 보고 사용하는 것이 좋다. 최근 일반 소비자들은 천혜향이나 한라봉 등에 대한 소비를 늘리는 반면 금감에 대한 소비는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가정에서 섭취하는 용도). 반면 외식 식재로서의 금감에 대한 니즈 및 활용도는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과거에는 금감을 통째로 술안주용 등으로 제공하는 형태가 대부분이었지만 최근에는 껍질째 먹을 수 있으며 쌉싸름한 맛과 신맛을 동시에 갖고 있는 등의 특징을 활용, 각종 소스나 드레싱에 사용되고 있으며, 날 것 상태로 살짝 구워 육류요리의 가니쉬로 사용하거나 샐러드 토핑 등으로도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다.

♣ Tip

일반 귤도 그렇지만 금감 역시 많은 양을 잘못 보관해 먹지 못하고 썩어서 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귤은 기본적으로 당질과 수분이 많아 며칠 두면 흰곰팡이가 생기며 썩곤 하며, 지나치게 밀착해서 보관해도 곰팡이가 생긴다.

따라서 금감을 썩지 않고 잘 보관하려면 금감이 잠길 정도의 물에 소금을 넣고 잘 섞어 1~2분간 흔들어 주면 금감 표면의 농약이 제거되며, 보름 정도는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 감귤

감귤류는 감귤ㆍ금감ㆍ탱자나무 속의 열매를 총칭하는 것으로, 세계적으로 100개 이상의 나라에서 약 1,000여 품종이 재배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삼국시대부터 이미 귤을 먹어온 것으로 추정되며, 지금 우리가 먹고 있는 감귤은 밀감류 계통의 온주밀감으로 100년 전인 1910년 일본에서 도입된 종이다.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국립식량과학원 •식품의약품안전처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