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어머니의 손맛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13. 서귀포 향토음식 구술조사
  • 이동

h2mark ‘솔라니죽’은 내 인생작이다

♣ 김태자 (1942년생 / 안덕면 서광서리) 구술조사

나는 빙떡하는 법을 우리 앞집 형님에게 배웠다. 가만히 보니 솥두껑을 엎어 놓고 맹개낭(청미래 넝쿨)으로 불을 때면서 빙떡을 하더라. 나도 그렇게 해서 남편에게 주니 남편이 엄청 좋아하더라.

그 후론 멀리 나갈 때 또는 집을 비울 때 항상 빙떡을 한 소쿠리씩 해놓고 갔다 온다. 그러면 식구들이 그것을 먹고 지냈었다. 그리고 초상난 집에 가거나 동네 일이 난 집에 갈 때는 빙떡을 해가지고 갔는데 빙떡 속에 무하고 무청을 약간 넣으면 동네 젊은이들이 ‘삼촌, 그 퍼렁한 거는 뭐우꽈’하면서 물어보더라.

내가 잘하는 것 중에 ‘솔라니 죽’이 있다. 큼직한 솔라니(옥돔) 꼬리를 가위로 싹뚝 자른다음 그 꼬리를 이용해 솔라니 전체 몸통에 참기름을 쓱쓱발라 후라이팬에서 굽는다. 가시가 툭툭 떨어질 때까지 꾸득꾸득하게 구어서 살만 발라내어 죽을 쑤면 비린내도 나지 않고 맛이 좋은 죽이 된다.

나는 지금도 밖에 나가서 살던 자식들이 집에 오면 ‘술라니 죽’을 끓여준다. 그러면 아이들은 ‘어머니, 죽장사 합써’하곤 한다.

내가 우리 딸이나 며느리에게 해주는 ‘머멀조베기’는 무쇠솥에 물 끓이다가 미역 먼저 넣고 낭박새기(나무로된 바 가지)에 메밀가루 작은되로 2되 정도 넣고 뜨거운 물로 휘저어서 끓는 미역국에 스르르 부어주면 딱딱하지 않아 산모가 먹기 좋게 되었다.

그러면 그것을 보온병에 담아서 병원에 가서 먹이곤 했다. 옛날 우리 아버지는 어머니께서 동생을 낳았을 때 손수 팥을 고아서 황설탕에 타서 드시게 했다. 내가 옆에 있으니 한 숟가락 받아 먹었던 기억이 난다. 우리 아버지는 어머니를 아주 많이 사랑하고 아끼셨던 것 같다.

50년대 그 어려운 때에 꽃고무신을 사다 주시기도 했다. 스물세살 때 첫 애기를 낳았다. 신랑은 군대 가고 없고 나는 부끄러워서 애기 나올 것 같다고 말도 못하고, 친정어머니는 일찍 돌아가셔서 안계시고 어쩌면 참 서러울 뻔 했다.

그러나 우리 시어머니께서 ‘모슬포 장에 갔다 오켜. 하시더니 내가 애기 낳을 것을 아셨는지 ’암소 젖통‘을 사오셨다. 젖 많이 나오라고 사오셨다고 한다. 얼마나 고마운지 영 잊혀지지 않는다. 그 후로 항상 산달이 되면 어머님은 맷돌로 밤에 메밀을 거피하셨다.

제주도 향토음식 구술조사 김태자 씨
▲ 김태자 씨

그리고 탁배기 한잔에 메밀가루, 청(벌꿀) 을 휘저어 주시면서 ‘이거 먹어사 궂은피 삭힌다’며 마시라고 하셨다. 고마운 어머니 생각에 지금도 눈물이 난다. 영장(초상) 때 우리지역은 쌀이 귀한 곳이라 주로 ‘조돌레(좁쌀로 만든 돌레떡)’하고 ‘모멀돌레(메밀로 만든 돌레 떡)’를 하였다.

아버지께서 장밭에 다녀오시면 돌레떡을 가지고 오셨다. 아이들이 많아 칼로 똑같이 썰어서 나눠 먹었는데 어떤 돌레떡은 두 개가 붙어 있었다. 그럼 왜 두 개냐고 묻는 나에게 하나는 못주니까 두 개를 줬는데 이 두 개를 1합이라고 한다고 말씀해 주셨다.

‘그 큰 떡들은 본주에서 해수과’하고 물으면 그게 아니고 가까운 친척은 20합(돌레떡 40개), 먼 친척은 10합(돌레떡 20개)을 해서 영장밭에 고생한 사람들에게 고마운 답례를 했다고 한다.

지금도 외가에 가면 ‘아이고 느네 아주버님 얼마나 좋은 어른인지 오메기 술이랑, 돌레떡이랑 바리바리 쇠질매에 식겅오란게 이렇게 훌륭헌 자손덜 봤구나’하신다. 우리 때는 열두어살 만 되면 ‘오라 마농캐러 가게’하면 아이들이 송키돌랭이(바구니)하나에 칼 하나차고 나온다.

들나물도 캐고 꿩마농(달래)도 캐고 하면서 놀다 보면 날이 저문다. 집에 갈 때쯤이면 남들보다 더 많이 캔 것처럼 보이기 위하여 속에다 칼도 집어 넣곤 했다. 그러면‘누게 구덕(바구니)은 솜빡(가득), 누게 구덕은 골착(헐렁)’하면서 칼을 위로 던지는 놀이를 하면서 놀았다.

그렇게 살다가 시집을 바로 맞은편 집으로 갔다. 그래서 어릴적 친구들은 ‘태자는 두린때(어릴 때)도 꿩마농 질(제일) 많이 핸게마는(하였는데) 지금도 마농만 먹엉 살암신가’하고 놀렸다.

수눌어서(품앗이로) 보리 밭 검질메러(김메러) 가면 거무스름한 달레가 얼마나 많은지 그냥 두기가 아까워 한줌 뽑아와서 반찬을 하면 남편이 참 맛있게 먹었다. 나는 지금도 눈속에서 달래를 캔다. 달래가 있던 자리에 가서 흙을 파보면 그 자리에 달래가 있다.

그러면 그 흰뿌리와 대를 가지고 장아찌를 담그면 오래 둘수록 맛있는 장아찌가 된다. 물에 만밥과 3년된 장아찌를 같이 먹으면 별미 반찬이 된다. 또 하나 별미는 자리를 달래김치로 돌돌말아 싸먹으면 좋다. 내가 생각할 때 달래는 천연항생제인 것 같다.

덕분에 우리 식구는 감기에 잘 걸리지 않는다. 60년대 초반 어머님이 술을 담그셨는데 내 생각에는 항아리에 옮겨담기만 하신 것 같은데 맛이 좋았다. 그래서 나도 어머님께 배워 술을 담그고 있다.

우리집 오메기술은 크고 작은 행사가 있을 때 늘 담가서 손님대접하는데 쓰고 있다. 우리 친정어머니는 감주를 꼭 하셔서 토신제 등에 쓰셨는데 나도 감주를 담가서 귤 딸 때 내놓곤 한다.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강원도농업기술원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서귀포농업기술센터 •서귀포시향토음식연구회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
 X 
로그인 메세지
ID
P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