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 산물만 검사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아니라 생산 유통의 전 과정을 관리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고 보증하는 예방적 차원
○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감시활동으로 농산물의 안전성, 건전성 및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계획적인 관리 시스템
- 공중위생에 해(害)가 될 수 있는 요인을 사전에 파악하고 집중 관리하기 위한 제도로서, 국내에서는 축산물과 수산물에 적용
* 위해요소중점관리(HACCP)는 식품뿐만 아니라 관련 설비도 포함하는 종합적 위생관리로서 제조, 가공 및 조리방법에 대한 위생기준을 규정
○ ‘98년 축산물 도축장에 적용한 이후, 농장․판매 등 식품망 전체로 확대하여 초보적인 수준의 HACCP 시스템을 마련
- 지속적인 홍보로 소비자의 인지도가 상승 중에 있으며, 가공 축산물의 상당물량이 이를 통해서 유통
* 소비자의 HACCP 인지도는 ’05년 9.7% 수준에서 ’10년 26.5%로 상승
* 국내 가공 축산물의 HACCP 현황을 보면, ’11년 현재 1,347개소에서 생산량 대비 78.4%가 유통
- ‘12년부터, 농장과 중소형 업소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위해 요소중점관리 표준모델’을 개발 보급할 계획
* 당사자들의 비용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한 예산을 지원하고, 시스템에 대한 순회교육, 관리 프로그램을 보급
우주식량의 위생기준, HACCP
▷ NASA(미 항공우주국)의 요청으로 ’59년 필스베리(Pilsbury)사가 우주식량에 적합하도록 식품에 대한 위생기준을 개발
- 무중력 상태에서 병원균 혹은 생물학적 독소가 전혀 없는 식품을 만들기 위한 목적에서 탄생
- 안전한 우주식량을 만들기 위해 미 육군 나틱(Natick)연구소와 공동으로 실시한 것이 최초이며, 1980년대부터 일반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