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살구는 환경적응성이 커서 유라시아대륙 전역에 걸쳐 재배되며, 재배역사도 매우 오래된 과일
○ 내한성(耐寒性)이 좋아 영하 30℃까지도 견디는 품종이 있으며 토양 적응성이 높아 세계 전역에 두루 분포
- 적당한 추위를 견뎌야 꽃과 열매가 충실해지기 때문에 유라시아대륙 중심부, 반건조 지역에 두루 서식
* 건조한 기후에서도 잘 견디는 특성도 겸하고 있어 현재 중앙아시아 지역이 살구생산의 중심지로 부상
○ 살구의 시원지는 중앙아시아에서 중국 서부에 이르는 광활한 지역으로 재배역사는 대략 5,000년 이상으로 추정
- 개살구와 시베리아살구(몽고살구) 등의 야생살구와 중국, 중앙아시아, 유럽에 분포하는 재배종 살구로 나누어 보는 것이 일반적
* 상업화된 품종들은 모두 재배종 살구로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중국 등에서 오래전부터 식용되어 왔으며 우리나라 살구는 중국계통에 속함
살구는 순우리말?!
▷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기는 ‘개가 먹으면 죽는다’하여 살구라 하였다하나 실상 우리말 ‘ 고’에서 유래한 순우리말
- 의학서인 ‘본초강목’ 등에 개에 물려 상처가 생긴 경우 살구를 씹어붙이거나 개, 늑대, 이리에 물려 생긴 독을 제거하는데 살구를 쓰는 것을 재야 선비인 송남 조재삼(1808-1866)이 읽고 송남잡지에 기록한 것이거나 비슷한 시대의 동언고략과 같은 저작을 참고한데서 잘못 알려진 사례
- 그러나 구급간이방언해(1489), 훈몽자회(1527), 동의보감(1613), 동문류해(1748)에 이미 ‘살( )고’가 어원임을 밝히고 있으며 살은 ‘해, 하늘’을 뜻하는 우리말
□ 중국과 유럽 모두의 문헌에서 상당히 이른 시기부터 기록되어 있어 역사적으로도 상당히 중요시 여겨온 과수
○ 성경에 살구나무, 살구꽃, 살구지팡이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며 그 배경이 되는 지역은 핵과류의 원산지 부근 지역
- 창세기, 출애굽기, 민수기 등에 나오며 겨울을 지나 가장 먼저 피는 꽃인 까닭에 부활, 생명의 상징으로 쓰였음
* 최근에는 같은 핵과류인 아몬드(감복숭아)를 뜻하는 단어가 오번역되었다는 지적도 있으며 에덴의 사과가 살구의 오역이라는 주장도 있음
○ 중국에서 가장 오랜 지리서인 ‘산해경’에 ‘영산(靈山)에 복숭아, 오얏, 매화, 살구나무가 많다’라는 기록이 최초
* 산해경은 신화집으로 중요성이 인정되는 책이며 현재의 것은 동진(317~420)때 갈홍의 저작이라 보나 사마천(BC 145~86)등도 언급한 오래된 문헌
살구도둑을 잡은 조조(曹曹)의 지혜
▷ 삼국지의 영웅 중 한 명인 위나라의 조조가 애지중지하던 살구를 훔쳐 먹은 범인을 잡아낸 재치 넘치는 이야기가 민담으로 전해져 옴
- 조조는 어느 날 애지중지하며 키우던 살구나무의 열매의 숫자가 자꾸 줄어드는 것을 발견하고 범인을 찾기 위해 하인들에게 살구나무를 베어버리라고 명하였음
- 조조가 애지중지하던 것을 알고 주저하던 하인들 중 하나가 ‘저 살구는 매우 맛이 있는데 베어버리기 아깝다’고 하면서 스스로 범인임을 밝히게 하였다고 함
□ 아름답고 평화로운 고향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살구는 인재등용, 학업성취, 의사 등 다양한 이미지로 묘사
○ 공자가 ‘행단(杏亶)’에서 학문을 가르쳤다는 이야기와 함께 인재 등용이나 학업성취의 상징적 의미로 쓰여 ‘급제화(及第花)’라 불림
* 급제화는 조선시대 임금이 입회한 상태에서 치르는 과거의 마지막 시험인 전시(殿試) 합격자에게 수여된 꽃으로 공자(행단)을 기리는 의미가 있음
○ 진정한 의술을 펴는 의사를 ‘행림(杏林)’, 의사들의 사회를 ‘행림계’, 한의대 연합축제를 ‘행림제’라고 하여 의료계의 대명사로 인식
* ‘행림’은 중국 삼국시대에 명성이 높았던 의사 ‘동봉(董奉)’이 살구나무 숲(동선행림, 董仙杏林)을 가꿔 빈민구제를 한 것에서 유래(신선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