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캐나다 등의 북미에서는 거의 생산이 되지 않으면서,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주로 생산되는 유지작물('12, FAO)
○ 세계의 참깨는 ‘10년 787만 ha에서 431만 톤이 생산되며, 다른 작물과 달리 주요 생산국이 개발도상국 위주인 것이 특징
- 인도, 미얀마, 중국, 에티오피아, 수단 등 상위 5개국의 생산량이 전 세계의 66.5%를 차지할 정도
* 재배면적은 ’00년부터 ’10년까지 연평균 0.83%씩 성장했으며, 인도(23.4%), 미얀마(20.8%), 수단(16.2%), 중국(6.1%), 에티오피아(4%) 등의 순
- 생산량 10위권에 속하는 에티오피아, 탄자니아, 나이지리아, 부르키나파소 등의 연평균 성장률은 10~30%로 높음
* 세계 생산량 3위인 중국은 매년 3.1%, 5위인 수단은 1.8%씩 감소
아프리카의 참깨 생산량, 왜 증가하는가?
▷ 종자와 작은 농기구에 들어가는 정도로만 투자를 하면, 가족 노동력만으로도 다른 일을 하는 경우보다 더 많은 소득이 가능(’11, Oxfarm)
- 에티오피아(세계 5위)의 경우, 소면적에서 재배하더라도 기존의 플랜테이션이나 공동농지에서 일하는 경우보다 더 많은 소득을 올릴 수 있음
* 소득 비교(ha당): 최고 912천원(참깨) > 738천원(공동농지) > 182천원(플랜테이션 취업)
세계의 참기름 생산량은 전체 식물성 기름의 0.7%에 불과하나, 야자유, 콩기름, 유채기름 등과 함께 빠른 성장세를 구가
- 세계의 식물성 기름 생산량은 1억 4,602만 톤 규모이며, 제품별로는 야자유가 30%, 콩기름이 27%, 유채기름이 16%를 차지
* 전체 식물성 기름에서 참기름의 생산량이 차지하는 비율은 낮으나 연간 성장률은 3.9%로 전체 식물성 기름 13종 중 4위
- 참기름의 ‘10년 세계 생산량은 107만 톤이며, 미얀마, 중국, 인도, 수단, 일본이 전 세계 생산량의 72%를 점유
□ 참깨의 수출이 개도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가공식품인 참기름은 일본 등 경제수준이 높은 나라에서 주로 수출
○ 참깨의 수출은 생산량의 30%, 16억 달러(1.8조 원) 시장이며, 인도, 에티오피아, 니제르, 수단, 탄자니아 등이 주요 수출국
- 에티오피아는 한 해 생산량의 88%가 넘는 물량, 수단은 56%, 탄자니아는 45.5%, 인도는 36%를 수출
* 에티오피아 산 참깨의 경우, 중국에 주로 수출되며 중국내 수출시장 점유율은 ’10년 현재 46%(금액기준)로 1위
- 수입 금액기준으로 볼 때, 주요 수입국은 중국(29.3%), 일본(12.6%), 터키(7.7%), 한국(6.4%), 미국(4.1%) 등
○ 참기름의 95%는 자국에서 생산하여 소비되는 형태이며, 주요 수출국은 일본, 중국, 멕시코, 탄자니아 등
- 생산량의 5%가 국제적으로 유통되며, 금액 면에서 볼 때 1억 7천만 달러(1,853억 원)의 시장
- 중국은 아프리카를 포함한 거의 모든 국가를, 멕시코는 미국, 캐나다, 영국, 독일 등지를 타깃으로 참기름을 수출
- 참기름을 가장 많이 수입하는 나라는 미국으로 전 세계 수입량의 30.8%, 수입금액의 37%를 점유
세계 참기름 수출 1위 국가가 일본이라고?!
▷ 국내 생산량의 13%인 5,943 톤을 수출하여 전 세계 수출액의 20.1%를 점유하는 제1의 참기름 수출국
- 전 세계 참기름 수출 1억 7천만 달러 시장의 20%인 3,444만 달러를 점유하고 있으며, ’10년 수출량의 65%, 수출액의 66%가 미국에 집중(FAO)
* 미국 내 시장점유율(금액기준): 일본(30.1%), 중국(16.2%), 멕시코(11.4%)
- 미국의 아시아계 식당, 슈퍼에 내수용보다 큰 사이즈(1.7L)의 형태로 납품되며, 대만, 멕시코산에 비해서 가격은 높으나 품질이 우수(일본 관세청)
* 대부분 향이 없는 참기름이 아닌 향이 있는 형태로 수출되는 것도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