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비의 기개 소나무, 솔향 번지는 일두가문 송순주
일두 정여창 가문에는 솔잎과 순을 재료로 만든 가양주가 전해온다. 이를 송순주, 송주, 솔잎주라 불렀다. 선비들의 기개와 절개를 상징하던 소나무는 소나무의 솔잎∙속껍질∙솔방울∙송진이, 뿌리부터 마디에 이르기까지 유용하지 않은 게 하나도 없는 약재 덩어리여서 각각을 술로 빚어 즐겨 마셨다고 한다.
일두 가문은 가문을 찾는 과객에 소홀하지 않고 거두어 편히 쉬게 하였다. 그 상차림에 빠지지 않았던 술, 솔향 가득한 술내음이 번진다. 한양천리 과거길에 오른 청년 과거꾼의 걸음이, 함양 일두 가문의 솔향 번지는 술상에서 한 숨 쉬어가는 것이었다.
일두 가문에서는 7첩 반상이 남달라, 숙채, 김치, 김자반, 낙지무침, 육회, 수란, 조기가 올라간다. 이는 일두 정여창 선생이 생전에 좋아했던 음식 가운데, 귀한 것만 올린 것이다.
① 솔송주(솔松酒)
솔송주는 소나무 순을 넣어 만드는 술로 정여창 문중에서 내려오는 가양주다. 예부터 송순주(松筍酒)라 불리던 것이다. 종중이나 집안의 대소사가 있을 때마다 빚던 술이지만 세월이 지나면서 솔송주를 담그는 횟수가 줄었다.
솔송주는 알코올 도수 13도의 약주와 40도의 증류주 두 가지가 있다. 약주는 토종찹쌀에 곡자, 솔잎, 송순을 넣어 만들며, 지리산 자락의 지하암반수로 빚는다. 증류주는 토종찹쌀 대신 멥쌀을 쓰며 20여 일 발효 후 증류하여 숙성시킨다. 솔송주는 은은한 솔향이 난다.
② 석이버섯무침
개평마을에서는 솔송주의 안주로 석이버섯 무침을 주로 먹는다. 마치 바위에 붙은 귀 같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석이는, 깊은 산 바위에 붙어서 자라는 지의류(地衣類)의 일종으로 담백한 맛을 지니고 있다.
동의보감에서는 석이를‘오랫동안 살 수 있게 하고 얼굴빛이 좋아지게 하며 배고프지 않게 한다’고 소개하고 있다. 담백한 석이는 솔송주의 깔끔한 뒷맛을 더욱 짙게 한다.
석이가 아니라도 송이 같은 버섯류도 역시 솔송주와 어울리는 안주로 꼽힌다. 석이버섯무침은 깨끗이 손질한 말린 석이버섯을 끓는 물에 데쳐서 사용한다. 데친 석이버섯을 찬물에 헹궈 소쿠리에 건진 후 물기를 꼭 짠다. 간장, 참기름으로 무친 뒤, 실고추를 고명으로 얹는다.
③ 육포
육포는 어느 지역에서나 마른안주로 즐겨 먹었다. 얇게 포 뜬 쇠고기(우둔살)에 간장, 꿀이나 설탕, 후춧가루, 참기름, 마늘즙으로 양념해 말린 것이다. 손님상에 낼 때는 가늘게 잘라서 먹기 좋도록 한다.
④ 도라지∙무∙연근정과
정과는 채소나 과일을 설탕이나 꿀에 재거나 조린 우리나라 고유의 음식이다. 도라지, 무, 연근은 깨끗하게 손질해 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서 준비한다.
재료를 각각 끓는 물에 소금을 약간 넣고 데쳐서, 찬물에 담갔다가 물기를 뺀다. 냄비에 설탕, 물엿, 물, 준비한 재료를 넣어 조린다. 치자 물과 오미자로 도라지와 연근에 각각 색을 내고 꿀을 넣어 윤기와 맛을 더한다.
⑤ 배추전
한 잎씩 뜯어서 깨끗이 씻은 배춧잎을 끓는 물에 소금을 넣고 살짝 데친다. 데친 배추에 밀가루 반죽을 묻혀, 팬에 식용유를 두르고 노릇하게 지져낸다.
⑥ 무전
납작하게 썬 무를 김이 오른 찜통에 소금을 뿌려 살짝 찐다. 찐 무에 밀가루를 묻힌 후 반죽을 입혀, 식용유를 두르고 노릇하게 굽는다. 무를 찌지 않고 채 썰어 밀가루 반죽에 섞은 다음 지지기도 한다.
♣ 일두 가문 가양주 맥을 이어 세계까지, 박흥선 전통식품 명인
솔송주는 원래 손님을 접대하기 위해 빚은 가양주로, 일두 집안에서는 송순주라고 불렸던 술이다. 처음 명가원을 운영하려고 했을 땐 가문의 반대도 컸다. 보수적인 집안이라 가양주를 상품화한다는 데에 반감이 일었던 탓이다.
정천상 명가원 대표는 (사)일두 정여창기념사업회 이사장을 맡아 일두 가문의 일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가양주를 세상에 알리는 일에도 소홀하지 않고 있다. 그 일의 맨 앞에 있는 이가 솔송주 박흥선 명인이다. 그는 2005년 전통식품명인 제27호에 지정된 솔송주 명인이다.
물론 시어머니, 이효의 여사(102세)에게 솔송주 기술을 전수받으면서부터다. 이효의 여사는 술을 조금도 마시지 못하지만, 술 만드는 것을 좋아해 85세까지 직접 솔송주를 담갔다고 한다.
가문의 내림술에 그만큼 애정이 각별했는데 그 맥을 잇게 하고자 막내며느리 박흥선 명인에게 전수했다고 한다. 명가원은 솔송주와 함께 함양지역에서 복분자, 머루로 담근 술을 가지고 해외 수출에 전력하고 있다.
♣ 개평마을과 박석으로 포장한 일두 정여창 고택
개평마을은 지형이‘개(介)’자 모양으로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일두 정여창 선생의 증조부인 정지의가 처음 이곳에 자리 잡은 후 하동정씨 집성마을이 되었다. 일두 선생은 도학자며 성리학자로 부모에 대한 효행이 대단했던 분이다.
아직 그 시대상을 간직하고 있는 일두 고택은 고택으로 향하는 길은 박석(薄石)으로 마감되어 있다. 집으로 드나 드는 말과 우마차에 길이 파일까, 아예 포장을 해놓은 것이다. 대하드라마 <토지>의 촬영지로 유명세를 탔던 일두 고택과 남계서원 등 전통체험거리가 마련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