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와인 이야기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13. 중국
  • 이동

h2mark 고량주에서 와인으로3)

중국 와인산업의 발전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국의 와인산업은 거대기업인 국유기업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중국 내 4대 와인기업으로는 Changyu, COFCO, Dynasty, Weilong이 있는데 중국 와인시장은 2006~2011년 사이 2% 급증하는 현상을 경험하였다(Wines-info.com, 2015).

중국 와인산업의 발전단계에서 국유기업 이외의 2급 브랜드 기업과 신흥포도원은 자신만이 가질 수 있는 제품의 특징을 강조하며 특정 소비지역과 소비층 찾기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중국의 와인기업들은 세계적인 브랜드가 적고 제품의 개성과 특성이 부족한 문제점을 발전 동력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품종 도입과 개성이 두드러지는 품종연구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중국의 와인 소비층이 급격히 확대 되고 있는데 이는 중국이 사회 경제적으로 풍요롭기 시작한 시점과 중국의 고도 성장기에 태어난 정치, 사상적으로 자유롭고 개성이 강한 세대가 와인을 즐기기 시작하면서 와인산업의 소비계층으로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것이다(최해옥, 2014(a), pp8-9).

China Winemaker. Changyu
▲ China Winemaker. Changyu

중국에서 와인 수요가 가장 많은 베이징과 상하이 등의 대도시 판매량은 30~40% 정도의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다. 이들 대도시 와인 시장은 경쟁이 치열하며 향후 발전 잠재력을 고려해 볼 때 2, 3선 도시4) 서부 내륙도시 등의 시장으로 진출이 필요하다(최해옥, 2014(a), p9).

중국은 와인산업 진흥정책으로 ‘제 12차 와인산업 5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2015년 와인생산 목표를 200만 KL로 정하고 있다. 이 계획을 달성하기 위해 중국 정부는 국제적으로 영향력 있는 기업이 있는 지역에 선투자 하고, 지역의 포도를 사용하여 상징적인 브랜드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정부는 비교적 발전이 늦은 중앙, 서부 및 동북 지역의 포도 재배와 와인생산의 발전을 적극 장려하고 있다. 중국은 와인산업의 진입요건(wine industry access requirements)을 정하여 2012년 7월부터 적용하고 있다.

이 규정은 와이너리의 위치, 와이너리의 규모, 포도 공급보장, 와인제조시설, 에너지 효율, 환경 보호, 와인의 안전 및 품질 등을 정하고 있다. 현재 중국에서 와인을 만드는 시설의 경우 최소 1,000KL 생산 능력이 있어야 하며, 와이너리는 와인 생산 시설 위생 요건 국가규칙(GB12696)을 준수해야 한다(Matt Harvey . Vicki Waye, 2014).

3) 최해옥. 2014. 중국 와인산업의 지식창출을 통한 기관별 네트워크 연계 변화와 특성분석[1986-2012). 국토계획학회지, pp. 5-14. 요약

4) 중국 주택 및 도시건설부에 따르면 각 도시가 가진 정치적 역량과 경제규모, 도시 전체규모, 그리고 다른 지역에 미치는 영향력에 따라 분류하며 특히 1선, 2선, 3선 분류는 정치적, 경제적 영향력을 나타냄. 1선 도시는 베이징, 상하이, 선전, 광저우, 2선 도시는 항저우, 남징, 지난, 따리엔, 충칭 등, 3선 도시부터는 지방도시면서 2선 도시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그 외의 지역임(나우중의 컨설팅, 2015 중국 비즈니스용 도시분류 참고)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krei 한국농촌경제연구원 •thinkusadairy.org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