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사찰음식 백련요리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6. 국수/만두류
  • 이동

h2mark 연잎떡국

제철음식을 찾아먹어야 소화흡수가 잘되어 병이 없는 건강한 삶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

부처님께서는 “봄 1, 2, 3월 석달은 추위가 있으므로 보리와 콩은 먹지 말고 멥쌀과 제호(치즈)와 여러 가지 열이 있는 음식을 먹어야 하며, 여름 4, 5, 6월 석달은 바람이 있으므로 토란과 콩과 보리는 먹지 말고 멥쌀과 우유와 타락(요플레)을 먹어야 하며, 가을 7, 8, 9월 석달은 열이 많으므로 멥쌀과 제호는 먹지 말고 쌀과 보릿가루, 현미, 꿀, 기장을 먹어야 하며, 겨울 10, 11, 12월 석달은 바람과 추위가 있으며 양과 음이 합치므로 찹쌀과 땅콩과 국과 제호를 먹어야 한다.”

-佛說佛醫經 -

♣ 재료 상식

떡국은 정월 초하루에 먹는 절식으로 덕담이 담겨있는 음식이다. 동그랗게 썬 떡국을 먹어야 돈이 많이 들어온다, 긴 가래떡은 무병장수와 풍년을 기원하고, 떡국에 만두를 넣어 먹으면 복을 먹는다고 하는 풍속 등이 있다. 세간에서는 상고시대부터 꿩고기나 닭고기로 국물과 고명을 만들어 먹었다. 그러나 사찰에서는 봄철에 나는 가죽나물이나 가을에 나는 능이버섯을 말려 보관하였다가 끓여 다시국물로 많이 사용한다.

연잎떡국 래시피
■ 연잎떡국 래시피

♣ 재료 및 분량 (4인분)

[주재료] 연잎떡국 400g, 다시국물 8컵

[부재료] 호박 50g, 당근 50g, 표고10g, 들기름 1큰술, 깨소금 간장 소금 각1작은술

[양념장] 송이간장 3큰술

♣ 만드는 방법

1. 연잎떡은 어슷하고 둥근 모양으로 썰어 물에 씻어 건진다.

2. 호박, 당근은 곱게 채를 썰어 소금과 깨소금을 넣고 볶고, 표고는 곱게 채를 썰어 들기름과 간장에 살짝 볶는다.

3. 다시국물은 무 200g, 배추 50g, 표고 20g, 다시마 10g, 물 10컵, 간장 2큰술과 말린 가죽나물에 물 10컵을 넣고 푹 우려 간장으로 간을 한다. 마른 능이버섯을 푹 끓여서 간장으로 간을 한다.

4. 다시국물이 끓으면 떡을 넣는다.

5. 떡이 떠오르고 부드럽게 익으면 그릇에 담고 고명을 얹어 낸다.

♣ 유의 사항

ㆍ떡을 만들 때 연잎을 너무 많이 넣지 않는다.

ㆍ고명은 색이 선명하게 살짝 볶는다.

ㆍ떡국이 잘 익게 조리한다.

♣ 조리 포인트

ㆍ당근 호박 표고버섯은 고소하게 볶아 고명으로 얻는다.

ㆍ다시국물을 담백하고 시원하게 만든다.

ㆍ떡이 퍼지지 않고 쫀득하게 끓인다.

■ 완성된 요리
연잎떡국 래시피 완성된 사진
법보신문 후원 안내

선오 스님 : amisan1383@hanmail.net 041)356-1384

h2mark 더 보기

No. 제목 보기
1 연근물냉면 바로가기
2 연잎찐만두 바로가기
3 연잎칼국수 바로가기
4 연잎떡국 -
5 연근퓨전국수 바로가기
6 연잎땅콩국수 바로가기
7 연잎비빔냉면 바로가기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법보신문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