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건강한 수산물밥상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7. 내수면 수산물의 생태, 생산 및 식품성분 특성
  • 이동

h2mark 틸라피아 식품성분 특성

♣ 메기

메기 식품성분 특성

1. 명칭

메기는 경골어강 메기목 메기과에 속하는 어류로, 학명은 Silurus asotus이고, 영명은 Far eastern catfish, 일명은 Namazu이며, 지방에 따라 미오기, 메사귀, 메사구, 미유기, 머억이로도 불리웠다. 이상에서 언급한 메기의 분류 및 명칭은 아래 표와 같다.

2. 형태학적 특성

1) 전장

성어는 50cm 정도이다.

3. 생태학적 특성

1) 산란

산란시기는 5~6월로 수심이 30~90cm 이고 유속이 완만한 곳의 돌 밑이나 바위 틈에 산란한다. 알의 직경은 2.2~2.3mm 이며 투명한 분홍색으로 수정 후 1시간 20분이면 배반을 형성하고 2시간 5분이 지나면 2세포기가 된다.

수정란은 수온 17~18℃에서 9일만에 부화한다. 부화 직후 전장 5.6~7.5mm로 척색 내에 32개의 근절이 보인다. 부화 후 2일이 지나면 부레가 형성되고 7일이 지나면 입이 열리고 간이 형성되며 16일이 지나면 지느러미를 제외한 모든 몸의 구조가 갖추어진다.

부화 후 37일이 지나면 전장 14mm 내외로 성장하여 성어와 거의 같은 모양을 갖추게 된다. 부화 후 100일이 지나면 전장 43mm 내외가 되고, 만 1년에 50~70mm 가 되며, 2년이 되면 전장 70~90mm가 되고, 3년이 지나서 전장 100mm 이상이 된다.

2) 식성

육식성이고 탐식성이므로 어린 물고기를 비롯하여 거의 모든 작은 동물들을 잡아먹는다.

3) 분포

일반적으로 유속이 완만하고, 맑은 물이 흐르는 하천이나 호소의 자갈 바닥 위에서 서식하며, 낮에는 물밑에 숨어서 움직이지 않고 주로 밤에 행동한다. 수질오염에 대한 내성이 매우 강하다.

이러한 생태적 특성으로 인하여 우리나라 전 담수역에 출현하는 우리나라 고유의 종이며, 중국, 대만, 그리고 일본에 분포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메기는 금강 중상류(진안, 장수), 만경강(고산, 봉동), 웅천천에 서식하고 있으나, 최근 웅천천은 하천 생태계의 변화로 본 종의 서식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4. 생산

1) 생산량

메기의 생산량이 공식적으로 집계되기 시작한 것은 1975년부터로 이때의 생산량은 55 M/T이었다. 그 후로 메기의 생산량은 급증하기 시작하여 1980년의 경우 756 M/T의 자연산 메기가 생산되었다. 메기의 양식이 이루어지기 시작한 것은 1978년부터인데, 당시 3.5 M/T의 생산량을 올려 전체 생산량 0.5%를 차지하였다. 1990년 메기의 생산량은 자연산의 경우 508 M/T이었고, 양식산의 경우 446 M/T이었다.

메기의 생산량은 자연산의 경우 환경오염으로 서식지가 파괴되어, 1998년에 188 M/T으로 급감하였고, 양식산의 경우 2,158 M/T으로 급증하여 전체 생산량 대비 양식산의 비중이 92%에 달하고 있다. 이후에도 메기의 공급량은 꾸준히 증가하였고, 2016년의 경우 6,600 M/T에 이르렀다.

메기의 생산량이 이와 같이 연도가 경과함에 따라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와 더불어 말라카이트 여파에 의하여 가격이 다소 상승함에 따라 다량의 중국산이 수입되어 가격이 하락되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가격 안정화에 대한 기대 심리로 양식장에 재고 물량이 상당히 잔존하여 전체 메기 양식어가에 부담을 주고 있다. 이러한 메기 양식산업의 시급한 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최우선적인 방안의 하나가 가공 물량으로 소비하는 방안이나 현재 메기의 소비 형태는 단순히 찜 또는 탕으로 한정되어 있고, 간편식 레시피 또는 산업화 제품은 전무한 실정이다.

2) 생산지역

메기의 양식 생산 지역은 주로 전라남도, 전라북도, 충청남도, 경기도 등으로서 국토의 서쪽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다. 메기의 자연산 생산지역도 경기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등으로 영남지역과 강원도를 제외한 지역으로 분포되어 있다. 그러나 자연산 메기는 1999년 이후로는 집계의 어려움과 함께 생산량의 급격한 감소로 인해 제외되고 있고, 총공급량을 토대로 생산실적을 보면 월별로 큰 차이가 없이 연중 고루 생산되고 있다.

5. 식품성분

1) 일반성분 및 열량

메기의 가식부 100 g 당 일반성분 함량 및 열량은 <표 1-1>과 같다. 메기의 가식부 100 g 당 일반성분 함량은 수분의 경우 78.4 g, 조단백질의 경우 15.1 g, 조지방의 경우 5.3 g, 탄수화물의 경우 0.1 g, 회분의 경우 1.1 g로, 메기는 수분을 제외한다면 조단백질과 조지방이 주성분인 어류이다. 메기 가식부 100 g 당 단백질 함량은 일반 어류 단백질 표준 함량의 범위(20±2 g)에 비하여 낮고, 지질 함량은 어류 지질 표준 함량의 범위(3±2 g)에 비하여 높다.

이들 메기의 가식부 100 g 당 열량은 114 kcal이었고, 이는 돼지고기 (삼겹살)의 331 kcal, 소고기 (국내산 갈비 부위)의 307 kcal는 물론이고, 고등어의 183 kcal, 청어의 163 kcal에 비하여도 낮았고, 대표적인 다이어트 식품인 닭고기 (가슴살)의 102 kcal에 비하여는 약간 높은 수준이다(Lee HG, 2007).

2) 비타민 함량

메기의 가식부 100 g 당 비타민 5종(비타민 A, B1, B2, 나이아신, C)과 무기질 5종(칼슘, 인, 철, 나트륨, 칼륨)의 함량은 <표 1-2>와 같다.

비타민 A : 가식부 100 g 당 지용성 비타민 A 함량은 메기가 48 ㎍로, 이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주식인 쌀(일반미, 백미)의 0 ㎍는 물론이고, 즐겨 먹는 삼겹살의 6 ㎍, 연근해 수산물이면서 다소비 생선인 고등어의 23 ㎍에 비하여도 높다.

한편, 한국인 남자(6세 이상)의 비타민 A에 대한 1일 평균 필요량은 320-620 μg RAE/day 이다. 따라서, 메기 가식부 100 g의 섭취는 비타민 A의 1일 평균 필요량에 대하여 7.7-15.0%에 해당하여, 메기는 비타민 A의 우수한 공급원이다.

비타민 B1 (thiamin)과 B2 (riboflavin) : 가식부 100 g 당 수용성 비타민인 비타민 B1 (thiamin)과 B2 (riboflavin) 함량은 메기가 각각 0.20 mg 및 0.07 mg으로, 이들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주식인 쌀(일반미, 백미)의 각각 0.11 mg 및 0.04 mg에 비하여는 모두 높고, 즐겨 먹는 삼겹살의 0.68 mg 및 0.30 mg에 비하여는 모두 낮으며, 연근해 수산물이면서 다소비 생선인 고등어의 각각 0.18 mg 및 0.46 mg에 비하여는 비타민 B1의 경우 유사하나, B2의 경우 낮아 차이가 있었다.

한편, 한국인 남자(6세 이상)의 비타민 B1(thiamin)과 B2(riboflavin)에 대한 1일 평균 필요량은 각각 0.6-1.1 mg/day 및 0.7-1.4 mg/kg 이다. 따라서, 메기 가식부 100 g의 섭취는 비타민 B1(thiamin)과 B2(riboflavin)의 1일 평균 필요량에 대하여 각각 18.2-33.3% 및 5.0-10.0%에 해당하여, 메기는 비타민 B1의 경우 아주 우수한 공급원이고, B2의 경우 우수한 공급원은 아니나 무시할 정도도 아니다.

나이아신 : 가식부 100 g 당 나이아신 함량은 메기가 2.3 mg으로, 이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주식인 쌀(일반미, 백미)의 1.5 mg에 비하여는 높으나, 즐겨 먹는 삼겹살의 4.4 mg, 연근해 수산물이면서 다소비 생선인 고등어의 8.2mg에 비하여는 아주 낮다.

한편, 한국인 남자(6세 이상)의 나이아신에 대한 1일 평균 필요량은 7-13 mg/day 이다. 따라서, 메기 가식부 100 g의 섭취는 나이아신의 1일 평균 필요량에 대하여 17.7-32.9%에 해당하여, 메기는 나이아신의 아주 우수한 공급원이다.

비타민 C : 가식부 100 g 당 비타민 C 함량은 메기가 1 mg으로, 이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주식인 쌀(일반미, 백미)의 0 mg에 비하여는 높으나, 즐겨 먹는 삼겹살의 1 mg, 연근해 수산물이면서 다소비 생선인 고등어의 1 mg에 비하여는 차이가 없다.

한편, 한국인 남자(6세 이상)의 나이아신에 대한 1일 평균 필요량은 40-80mg/day 이다. 따라서, 메기 가식부 100 g의 섭취는 나이아신의 1일 평균 필요량에 대하여 1.3-2.5%에 해당하여, 메기는 비타민 C의 크게 기대되는 공급원은 아니다.

3) 무기질

칼슘 : 가식부 100 g 당 칼슘 함량은 메기가 26mg으로, 이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주식인 쌀(일반미, 백미)의 4 mg, 즐겨 먹는 삼겹살의 8 mg에 비하여는 높았으나, 연근해 수산물이면서 다소비 생선인 고등어의 26 mg에 비하여는 차이가 없다.

한편, 한국인 남자(6세 이상)의 칼슘에 대한 1일 평균 필요량은 570-800 mg/day 이다. 따라서, 메기 가식부 100 g의 섭취는 칼슘의 1일 평균 필요량에 대하여 3.3-4.6%에 해당하여, 메기는 칼슘의 우수한 공급원은 아니나 무시할 정도는 아니다.

인 : 가식부 100 g 당 인 함량은 메기가 190 mg으로, 이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주식인 쌀(일반미, 백미)의 140 mg, 즐겨 먹는 삼겹살의 132 mg에 비하여는 높았으나, 연근해 수산물이면서 다소비 생선인 고등어의 232 mg에 비하여는 약간 낮다.

한편, 한국인 남자(6세 이상)의 인에 대한 1일 평균 필요량은 490-1000 mg/day 이다. 따라서, 메기 가식부 100 g의 섭취는 인의 1일 평균 필요량에 대하여 19.0-38.8%에 해당하여, 메기는 인의 아주 우수한 공급원이다.

철 : 가식부 100g 당 철 함량은 메기가 0.8 mg으로, 이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주식인 쌀(일반미, 백미)의 0.4 mg에 비하여 높고, 즐겨 먹는 삼겹살의 0.7 mg에 비하여는 유사하며, 연근해 수산물이면서 다소비 생선인 고등어의 1.6 mg에 비하여는 낮다.

한편, 한국인 남자(6세 이상)의 철에 대한 1일 평균 필요량은 7-11 mg/day 이다. 따라서, 메기 가식부 100 g의 섭취는 철의 1일 평균 필요량에 대하여 7.3-11.4%에 해당하여, 메기는 철의 우수한 공급원이다.

나트륨 : 가식부 100 g 당 나트륨 함량은 메기가 46 mg으로, 이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주식인 쌀(일반미, 백미)의 66 mg와 연근해 수산물이면서 다소비 생선인 고등어의 75 mg에 비하여는 낮고, 즐겨 먹는 삼겹살의 44 mg에 비하여는 유사하다.

칼륨 : 가식부 100 g 당 칼륨 함량은 메기가 320 mg으로, 이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주식인 쌀(일반미, 백미)의 163 mg과 즐겨 먹는 삼겹살의 202 mg에 비하여는 높고, 연근해 수산물이면서 다소비 생선인 고등어의 310 mg에 비하여는 유사하다.

한편, 한국인 남자(6세 이상)의 칼륨에 대한 1일 평균 필요량은 1,900-2,300 mg/day 이다. 따라서, 메기 가식부 100 g의 섭취는 칼륨의 1일 평균 필요량에 대하여 13.9-16.8%에 해당하여, 메기는 칼륨의 우수한 공급원이다.

4) 총아미노산

내수면 어류인 메기의 가식부 100 g 당 총아미노산 함량과 총아미노산 100 g 당 각 아미노산의 조성은 <표 1-3>과 같다. 가식부 100 g 당 메기의 아미노산 총함량은 12.04 g으로, 어류의 아미노산 총 함량에 비하여는 대체로 낮은 편이다. 메기 가식부 100 g 중 함량이 많은 아미노산은 글루탐산 (1.48 g, 12.3%), 리신 (1.17 g, 9.7%), 아스파르트산 (1.13 g, 9.4%), 류신 (1.09 g, 9.1%) 등이었고, 이들은 전체 아미노산의 40.5%를 차지한다. 가식부 100 g 당 메기의 총아미노산 중 곡류 제한아미노산인 리신과 트레오닌은 각각 1.17 g (9.7%) 및 0.61 g (5.1%)를 함유하고 있어, 우리나라 사람들은 물론이고, 곡류를 주식으로 하는 동양권 소비자의 영양균형적인 면에서 상당히 의미가 있을 것이다.

한편, 메기의 가식부 100 g 당 총아미노산 중 필수아미노산은 6.49 g이 함유되어 있어 절반 이상(53.9%)을 차지하고 있고, 제1제한아미노산은 트립토판이다. 메기 가식부 100 g을 섭취하였을 때 각 필수아미노산의 섭취량은 0.14-1.17 g 범위이다.

6. 약용 효능

메기는 고단백 저칼로리이어서 성인병 예방에 좋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메기는 이뇨를 돕는 기능이 있으므로 몸이 부었을 때는 메기탕을 먹으라고 한다. 메기는 속살이 희고 부드러우며 살집이 많아 담백한 맛이 일품이어서 더울 때 먹는 메기 매운탕 한 그릇은 몸속의 노폐물을 내보내고 단백질을 보충해 주는 여름철 복다림 음식으로도 제격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해양수산부에서는 2017년에 메기를 4월의 어식백세 수산물로 멸치, 꽃게와 더불어 선정하였다.

1) 약용 위해성, 약용 부위 및 약성

메기는 무해하고, 약용 부위는 근육, 점액 및 부레이다.

메기의 약성은 근육의 경우 감(甘), 온(溫), 이수(利水), 최유(催乳)이고, 부레의 경우 감(甘), 함(咸), 평(平)이다.

2) 약용 효능

① 부종(浮腫) : 중국 동북지방에서는 부종을 치료하기 위하여 메기 1-2마리에 내장을 제거하고, 여기에 향채(香菜:중국 샐러리) 155 g을 채운 다음 기름을 두르고, 소금을 넣지 않은 채로 물과 함께 약한 불로 자숙하여 여러 번 나누어 먹는다.

② 젖 부족 : 중국 동북지방에서는 젖 부족을 치료하기 위하여 메기 1마리를 삶은 물에 달걀을 넣어 계속적으로 먹는다.

③ 황달, 폐결핵 및 심장병 : 황달, 폐결핵 및 심장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메기를 연두부, 유부와 함께 삶아서 먹으면 효험이 있다.

④ 치질 출혈 및 홍문 통증 : 치질 출혈 및 홍문 통증의 치료에는 메기를 긴 파와 함께 쪄 먹으면 효험이 있다.

⑤ 토혈 : 토혈의 치료에는 메기 부레 (실이 26cm, 폭 6.6cm)를 노랗게 되도록 가열하여 이것의 6.2 g에 사탕수수 즙을 넣어 먹으면 효험이 있다.

⑥ 음창(陰瘡) 및 오랜 종기로 인한 상처: 음창 및 오랜 종기로 인한 상처의 치료에는 부레로 만든 젤라틴을 태워 환부에 바르면 효험이 있다.

7. 이용

현재 메기는 메기탕 및 메기찜 등으로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들 식품 중 메기탕은 저칼로리 식품으로 비만에서 야기되는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고, 다량의 칼슘과 철, 비타민 B1은 임산부, 환자, 성장기 어린이 등에게는 좋은 영양급원이, 그리고, 성인들에게는 체력 증진과 여름철 강장 식품으로도 추천할 만하다.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해양수산부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