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쌀.곡류 이야기 Ⅱ.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1. 보리이야기
  • 이동

h2mark 우리 민족과 보리

□ 기원전 5세기 경 한반도에 전해진 보리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우리 민족의 중요한 작물로서 재배되기 시작

○ 보리에 관련된 가장 오래된 유적은 선사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최초의 기록은 삼국유사의 동명왕편

* 고구려 시조인 주몽이 부여에서 탈출하여 남하할 때 슬픔에 겨워 보리 종자를 잊고 왔더니 유화부인이 비둘기를 통해 보내주었다는 내용이 서술

○ 삼국사기와 조선왕조실록 등에도 천재지변으로 인한 보리농사 피해와 농사기술 등이 단편적으로 기록

* 조선왕조실록 “선조 35년, 서풍이 불고 우박이 내려 봄보리가 모두 손상”, “태종 14년, 강원도에 비와 눈이 내려 보리와 곡식을 상하게 함” 등

□ 쌀보다도 오래 전부터 재배되기 시작한 보리는, 서민들의 굶주림을 덜어준 중요한 식량

○ 늦가을에 파종하여 봄에 수확하는 보리는 춘궁기를 극복할 수 있게 해주는 고마운 곡식

- 수확한 곡식이 모두 떨어지고 보리가 아직 여물지 않은 5~6월을 ‘보릿고개’라고 하여 곤궁한 살림의 대명사 격으로 사용

○ 식감이 다소 거칠고 색이 거무스름한 보리밥은, 서민층과 넉넉지 못한 살림을 상징하는 사회적 의미도 존재

양반은 트림하고 상놈은 방귀뀐다!?

▷ 보리의 소화 과정에서 방귀가 많이 나오는 특징으로 인해 쌀밥을 먹을 수 있었던 양반과 달리, 보리로 식사를 하던 서민을 비하하던 말

- 보리에는 쌀의 5배에 이르는 식이섬유가 함유되어 있으며, 보리의 식이섬유는 소장에서 소화 흡수되지 않는 수용성이 대부분

- 따라서 보리의 수용성 식이섬유가 대장에 도달하면 대장 내의 미생물에 의해 급속히 발효되어 휘발성 물질을 생성, 이것이 장내 가스를 유발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농촌진흥청 •농사로 •Rda 인트라뱅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