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울산음식 이야기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19. 참고자료
  • 이동

h2mark 참고문헌

♣ 울산을 열다

1) 울산병영2동 주민센터,(https://www.junggu.ulsan.kr)

2) 원영미 . 이경릐,『구술로 그려낸 기억 속의 울산』, 울산발전연구원, 2017, 80쪽.

3) 울산병영2동 주민센터, (https://www.junggu.ulsan.kr)

4) 『동아일보』, 1930.2.14.

5) 인터뷰 : 언양미나리 상인 OOO, 언양읍 미니라꽝, 2018.6.1.

6) 『매일경제』, 1971.11.12.

7) 대곡박물관,『언양 읍성과 마을 사람들』, 2015, 60쪽.

8) 오영수,「실향」,『황혼』 창작과 비평사, 1976.

9) 『개벽』, 1925.12.

10) 오영수,「고향에 있을 무렵」, 『오영수대표작선집』, 동림출판사, 1974.

11) 대곡박물관,『언양읍성 마을과 사람들』, 2015, 99쪽.

12) 성범중 역, 『울산지리지』, 2014, 울산광역시문화원연합회, 389쪽.

13) 국립민속박물관,『조선의 농촌위생』, 2008, 87쪽.

14) 박봉하,「저승에서 먹는 제사음식」,『구비문학대계』, 한국학중앙연구원, 1984.

15) 어떤 계기로 지금과 같은 모습의 언양불고기가 태어났는지를 밝히려고 노력했다. 어렵게 발품을 팔아 부산식육점을 운영했던 000(여, 80대)씨와 전화 연결이 되었다. 그러나 건강상 의 이유로 인터뷰를 원치 않았다. 다만 식당을 어떻게 운영했는지에 대한 짧은 이야기를 전해 들을 수 있었다.“먹고 살기 위해 식당을 열었다.” 이를 바탕으로 보면 언양불고기는 우연한 기회에 생긴 음식이 아닐까 싶다.

16) 이규진,『근대 이후 100년간 한국 육류구이 문화의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2010.8,13쪽.

17) 대곡박물관(2015), 앞의 책, 86쪽.

18) 『경향신문』, 1996.5.30.

19) 한국인의 밥상, 2015.5.28. KBS.

20) 인터뷰 : 임약국 약사 임재곤, 하나서점 김성규, 2018.6.1.

21) 인터뷰 : 임약국 약사 임재곤, 2018.6.1.

22) 『영남일보』, 2016.6.17.

23) 울산광역시농업기술센터,『울산 향토 음식』, 2002, 112쪽

24) 신기상,『울산방언사전』, 2013, 울산시청, 590쪽.

25)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구비문학대계』, 1984,(김석보, 북정동/김필련, 강동동)

26) 『매일경제』, 1974.9.2.:『동아일보』,1979.6.11.

27) 『동아일보』, 1937.11.1.

28) 허영란,「집합기억의 재구성과 지역사의 모색 : 울산 장생포 고래잡이 구술을 중심으로, 역사문제 연구소」,『역사문제연구』32, 2014.10, 382쪽.

29) 『부산일보』, 1918.9.8.

30) 원영미 • 이경희, 앞의 책, 213쪽.

31) 허영란,『장생포 이야기』, 울산광역시 남구청, 2012,137쪽.

32) 권영재,『매일신문』, 2015.10.15.

33) 한식재단,『한국인이 사랑하는 오래된 한식당』, 한국외식정보, 2012.;『경향신문』, 1985.7.13.

34) 『동아일보』, 1985.7.25.

35) 국립 민속박물관,『울산달리 달동』, 2010, 61쪽.

36) 채영철,『음식문화이야기』, 울산발전연구원, 2014,149쪽.

37) 인터뷰 : 양명학, 울산문화예술회관 내 커피숍, 2018.6.2.

38) 허영란(2012), 앞의 책, 154~155쪽.

39) 채영철, 앞의 책, 147쪽.

40) 허영란, 앞의 책, 393쪽.

41) 『경향신문』, 1994.10.14.

42) 소래섭 외, 『시와 함께 만나는 울산의 깊은 풍경』, 울산발전연구원, 2014,170쪽.

43) 국립민속박물관(2010), 앞의 책, 99쪽.

44) 신기상, 앞의 책, 595쪽.

45) 허영란(2012), 앞의 책, 139쪽.

46) 『조선일보』,1929. 7. 2.

47) 성범중 역,『국역 학성지』, 울산남구문화원, 2010, 38쪽.

48) 김승,「한말, 일제하 울산군 장생포의 포경업과 사회상」,『역사와 세계』, 효원사학회, 2008, 34쪽

49) 김승, 위의 논문, 34쪽.

50) 국립민속박물관,『미역을 가꾸며 살아가는 제전마을 사람들』, 2017,126쪽.

51) 현기영,『바람타는 섬』, 창작과 비평사, 1989,191쪽.

52) 『중앙일보』, 2016.12.7.

53) 『매일경제』, 1966.5.9.

54) 국립민속박물관(2017),137쪽.

55) 원영미 . 이경희, 앞의 책, 106쪽.

56) 울산광역시농업기술센터, 앞의 책, 85쪽.

57) 신기상, 앞의 책, 230쪽.

58) 『세종실록지리지』(http://sillok.history.go.kr/id/kda_40006001_003)

59) 한삼건,『국역 울산군향토지』, 2016, 45쪽.

60) 『경상도읍지 울산부』, 1832.

61) 성범중, 앞의 책(울산지리지), 234쪽.

62) 『조선왕조실록』, 1825.11.19.

63) 국립민속박물관(2017), 342쪽.

64) 범서읍지편찬위원히,『범서읍지』, 2001, 378쪽.

65) 울산광역시농업기술센터, 앞의 책, 108쪽.

66) 울산광역시농업기술센터, 앞의 책, 161쪽.

67) 『통합 울산부선생안』, 울산발전연구원, 2015, 261쪽.

68) 『일성록』, 1793.5.27.

69) 성범증 역(2010), 앞의 책, 15쪽.

70) 성범중 역,『울산지리지』, 울산광역시문화원연합히, 2014, 417쪽.

71) 홍영진,『경상일보』, 2016.7.17.

72) 한삼건, 앞의 책, 47쪽.

73) 이영미,『경향신문』, 2007.1.11.

74) 변일용 . 원영미 . 이경희,『바다와 더불어 살아온 일생』, 울산발전연구원, 2015,130쪽.

75) 한국고전번역원(http://www.itkc.or.kr), 목민심서, 호전 6조

76) 한국고전번역원(http://www.itkc.or.kr),『전어지』:「목민심서』호전 6조

77) 현기영, 앞의 책, 128쪽.

78) 농촌진흥청,『수문사설』, 모던플러스, 2012, 61쪽.

79) 고전번역원(http://db.itkc.or.kr)

80) 박채린,「조선 시대 한시에 나타난 전통음식문화연구」,『민속학연구』42, 국립민속박물관, 2018,13~14쪽.

81) 최현배,「내고향자랑」,『울산문학』, 1969.4.

82) 국립민속박물관(2017), 359쪽.

♣ 울산의 추억을 잇다

83) 국립민속박물관(2008), 앞의 책, 46쪽.

84) 국립민속박물관, 『울산달리, 달동』, 2010,119쪽.

85) 국립민속박물관, 위의 책, 124쪽.

86) 신기상, 앞의 책, 595쪽.

87) 국립민속박물관, 위의 책, 124쪽.

88) 국립민속박물관(2008), 앞의 책, 114쪽.

89) 국립민속박물관(2010), 앞의 책, 81쪽.

90) 울산광역시농업기술센터, 앞의 책, 43쪽.

91) 한성우,『우리 음식의 언어』, 어크로스, 2018, 29쪽.

92) 국립민속박물관(2008),앞의 책, 124쪽.

93) 울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앞의 책, 409~410쪽.

94) 『경향신문』, 1962.2.3.

95) 『중앙일보』, 2015.9.12.

96) 원영미 . 이경희, 앞의 책, 144쪽.

97) 한삼건 역, 앞의 책, 46쪽.

98) 30년 만에 잡아요,『부산일보』, 2011.9.5.

99) 울산학포럼,『태화강 삶과 문화』, 울산발전연구원, 2010, 25쪽.

100) 울산학포럼, 위의 책, 116쪽.

101) 국립민속박물관(201이, 앞의 책, 82쪽.

102) 국립민속박물관(2010), 앞의 책, 92쪽.

103) 국립민속박물관(201이, 앞의 책, 83쪽.

104) 30년 만에 잡아요,『부산일보』, 2011.9.5.

105) 울산학포럼, 위의 책, 116쪽.

106) 『울산저널』, 2018.8.8.

107) 원영미 . 이경희, 앞의 책, 145쪽.

108) 신기상, 앞의 책, 239쪽.

109) 민속박물관(2010), 앞의 츠义 36쪽.

110) 원영미 . 이경희, 앞의 책, 102쪽.

111) 이정학,『방어진 근대의 길을 걷다』, 울산발전연구원, 2016, 34~35쪽.

112) 『동아일보』, 1933.7.30.

113) 청오(靑五), 참외로맨스,『별건곤』14, 1928.7.1.

114) 인터뷰 : 정상태, 울산발전연구원 회의실, 2017.5.31.

115) 원영미 . 이경희, 앞의 책, 177쪽.

116) 달콤한 향기의 채소참외, 농촌진흥청, 2014, 4쪽.

117) 국립민속박물관(2008),앞의 책, 123쪽.

118) 국립민속박물관(2008),위의 책, 125쪽.

119) 편집부,『작물농업과 작물재배』, 온이퍼브, 2017.

120) 인터뷰 : 상북면 김의식, 2018.6.1.

121) 『동아일보』, 1932.8.27.

122) 『동아일보』, 1933.7.30.

123) 『동아일보』, 1936. 8. 25.; 한삼건 역, 앞의 책, 45쪽.

124) 국립민속박물관,『조선의 농촌 위생』, 2008, 306쪽.

125) 「달콤한 향기의 채소참외」, 농촌진흥청, 2014, 5쪽. ; 구대선,「한겨레」, 1999.9.23.

126) 『동아일보j 1938.10.19.

127) 울산학포럼, 앞의 책, 127쪽.

128) 『동아일보』, 1939.10.12.

129) 농촌진흥청(http://www.rda.go.kr/)

130) 『동아일보』, 1984.6.12.

131) 『경상일보』, 2015.10.18.

132) 『동아일보』, 1938.10.22.

133) 『매일경제』, 1972.6.17.

134) 『동아일보』, 1970.6.13.

135) 『동아일보』, 1975.9.8.

136) 서생면주민센터(http://www.ulju.ulsan.kr)

137) 울산매일신문, 2017.8.31.

138) 2017년 과실생산량 행정조사, 울산광역시 ; 동남권(부산.울산.경남) 작물재배면적 조사 결과, 부산 동남지방통계청, 2017.

♣ 울산을 담다

139) 울산학연구센터,『울산의 장터 어제와 오늘』, 울산발전연구원, 2010, 71쪽.

140) 이정한,「울산매일』, 2018.4.18.

141) 『조선일보』, 2005.7.18.

142) 『조선일보』, 2006.1.26.

143) 울산광역시농업기술센터, 앞의 책, 43쪽.

144) 인터뷰 : 옥이 아지매, 언양알프스 시장 선냉동, 2018.10.7.

145)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ld=26l2088&cid=51935&categoryld=54453

146) 동아일보, 1973.8.16.

147) 동아일보, 1975.9.8.

148) 울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앞의 책, 379쪽.

149) 농촌진흥청,『전국향토음식용어사전』, 2010.

150) 울산향토대전 사전 원고 : 인터뷰(울산 정자항 주민 이영애, 여, 61세, 2017. 10. 23.)

151) 울산향토대전 사전 원고.

152) 국립민속박물관(2008), 앞의 책, 350쪽.

153) 주영하,『한국인은 왜 이렇게 먹을까?』, 휴머니스트, 2018, 294쪽.

154) 울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앞의 책, 378쪽.

155) 신기상, 앞의 책, 597쪽.

156) 대곡박물관(2015), 앞의 책, 118쪽.

157) 인터뷰 : 김외식, 염용식, 거리, 양등리 자택, 2018.6.2.

158) 오현식, 『약이 되는 산나물 들나물』, 농민신문사, 2017, 325쪽.

159) 오현식, 위의 책, 165쪽.

160) 오현식, 앞의 책,182쪽.

161) 신기상, 앞의 책, 174쪽.

162) 신기상, 앞의 책, 425쪽.

163) 신기상, 앞의 츠각, 364쪽.

164) 국립민속박물관(2008), 119쪽.

165) 울산광역시농업기술센터, 앞의 책, 136쪽.

166) 울산광역시농업기술센터, 앞의 책, 145쪽.

167) 이상도,『울산의 민속문화』, 국립민속박물관, 2017, 43쪽.

168) 울산향토대전 사전원고

169) 범서읍지편찬위원회, 앞의 책, 384쪽.

170) 신기상,앞의 책, 93쪽.

171) 울산광역시농업기술센터, 앞의 책, 85쪽.

172) 울산광역시농업기술센터, 앞의 책, 85쪽.

173) 울산광역시농업기술선!터, 위의 책, 166쪽.

174) 울주민속박물관,『신령이 된 음력 이월의 바람 영등할만네2015, 21쪽.

175) 울산광역시농업기술센터, 앞의 책, 180쪽.

176) 울산광역시농업기술센터, 앞의 책, 181쪽.

177) 『동아일보』, 1931.3.1.

178) 『동아일보』, 1936.3.8.

179) 신기상, 앞의 책, 356쪽.

180) 『동아일보』, 1934.2.26.

181) 『동아일보』, 1942.4.22.

182) 『경향신문』, 1969.9.12.

183) 『경향신문』, 1958.8.3.

184) 『동아일보』, 1971.3.1.

185) 『동아일보』, 1963.11.7.

186) 『경향신문』, 1968.5.6.

187) 국립민속박물관(2008), 앞의 책, 89쪽.

188) 『경향신문』, 1978.4.8.

189) 『동아일보』, 1926.11.4.

190) 이영훈,「20세기 전반 언양의 소농사회」,『경제논집』14, 서울대학교 경제연구소, 2015,154쪽.

191) 『동아일보』, 1937.7.25.

192) 『동아일보』, 1939.10.19.

193) 대곡박물관(2015),앞의 책,67쪽.

194) 『동아일보』, 1972. 2.15.

195) 신기상,앞의 책, 606쪽.

196) 이상도,「울산의 산속」,『울산문화』저|5집, 울산문화원, 1989,184쪽.

197) 울산광역시농업기술센터,앞의 책 155쪽.

198) 강경표 . 박진영,『유정수 박은경 가족의 살림살이』, 국립민속박물관, 2010, 215쪽.

199) 울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울산광역시사』, 2002, 381쪽.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부산광역시농업기술센터 •우리음식연구회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제주한라대학교 호텔조리과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
 X 
로그인 메세지
ID
P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