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울산음식 이야기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15. 특별한 일상을 선물하는 떡
  • 이동

h2mark 전과 떡 사이에서 : 꿉운떡

음식은 고유의 조리 방법이 있다. 밥은 쌀에 물을 부어 끓인 음식이고, 국은 고기, 생선, 채소 따위에 물을 많이 붓고 간을 맞추어 끓인 음식이다. 떡도 마찬가지이다. 곡식가루를 찌거나 삶아 익힌 음식을 떡이라고 한다.

울산도 다른 지역과 유사한 떡을 해 먹는다. 울산에서 많이 해 먹는 떡은 흔히 도장떡이라고 불리는 절편, 시루떡을 말하는 찜떡, 찰떡 등이 있다. 여러 떡 중에서 눈길을끄는 몇 가지 떡을 다뤄보고자 한다. 바로 평범한 일상을 특별하게 만드는 떡이다.

이 떡은 꿉운떡, 주개떡, 쑥떡을 말한다. 꿉운떡은 요리를 만드는 방식, 즉 굽는 방식에 주목한 이름이고, 주개떡은 주걱으로 쌀을 으깨는 데에서 나온 이름이다. 쑥떡은 이름에서 짐작되듯이 쑥을 넣은 떡이라는 의미이다.

♣ 꿉운떡

울산에서는 찌거나 삶는 과정을 거치지 않았지만 떡이라고 부르는 음식이 있다. 바로 꿉운떡이다. 꿉운떡은 찹쌀가루나 밀가루 반죽을 참기름이나 들기름을 두르고 구운 떡을 말한다. 명칭을 정확히 쓰자면 꿉운떡이 아니라 ‘전’이다. 그러나 울산에서는 꿉운떡이라고 한다. 꿉운떡은 크게 두 종류이다.

“팔월에는 호박 꿉운떡 해 묵고 설에는 찹쌀 꿉운떡 해 먹는다.”170)

추석과 설에 각각 해 먹는 것은 호박전이고, 찹쌀전이다. 추석 무렵에 많이 나는 호박, 설에는 한 해 동안 농사를 지어두었던 찹쌀을 쓴다. 꿉운떡은 울산 사람들의 삶에서 빼놓을 수 없다.

꿉운떡은 결혼의 초례상, 명절 차례를 위한 차례상, 조상을 기리는 제사상에 빠짐 없이 오르고 있다. 한 책에 실린 결혼식 사진이다. 초례청에 꿉운떡이 올라있다. 사진을 자세히 보면 칸칸이 쌓아올린 꿉운떡이 두 그릇이나 올라있다.

초례청에 오른 꿉운떡
▲ 초례청에 오른 꿉운떡

정확하지는 않지만 종류가 다른 꿉운떡이 아닐까 싶다. 꿉운떡 위에 간단한 장식을 올려 꾸며 놓고 있다. 꿉운떡은 특별한 날에만 먹는 음식이 아니었다. 꿉운떡은 일상에서도 진가를 발휘했다. 용도는 심심한 입맛을 달래주는 간식이었다.

부드럽고 쫄깃한 식감 때문에 노인들이 먹기에 좋았다. 그래서 정월초에 만들어 두었다가 보름까지 먹었다.171) 이때 질금을 고와 만든 집청(조청)에 찍어 먹으면 최상의 간식이 된다. 또 하나 눈여겨 볼 것은 꿉운떡의 활용이다.

꿉운떡국
▲ 꿉운떡국

명절에는 떡외에도 떡국으로 만들어진다. 그래서 울산의 떡국은 다른 지역의 떡국과 그 모습이 다르다. 꿉운떡국은 떡국으로 불리지만 손으로 밀어서 만든 칼국수와 비슷하다.

생반죽을 끓여서 먹는 칼국수와 달리 구운 떡을 쓰는 것이 특징이다. 집집마다 설날을 앞두고 꿉운떡을 써는 소리가 새벽까지 이어지곤 했다. 꿉운떡국의 요리법은 아래와 같다.

① 찹쌀을 불린 후 소금을 넣고 가루를 내어 익반죽을 해 주먹 크기로 반대기를 만든다.

② ①을 팬에 기름은 약간만 둘러 반대기를 넓게 펴서 구워낸다.

③ 다시마, 멸치로 다시국물을 만들어 둔다.

④ 소고기를 곱게 다져 갖은 양념해서 편산적을 만든 후 골패 모양으로 썬다 ②의 떡도 같은 모양으로 썬다. 계란은 지단을 부쳐 채 썰고, 김도 구워 썰어둔다.

⑤ ③의 국물을 끓이다가 떡을 넣자마자 불을 끄고 간장과 참기름으로 간을 맞춘 뒤 그릇에 담아 고명을 얹는다.172)

꿉운떡은 1980년대까지 집에서 많이 해 먹었지만 방앗간이 대중화되면서 점점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꿉운떡국은 골미로 만든 떡국에 그 자리를 내 주었다.

울산에서는 가래떡을 ‘골미’라고 부른다. 가래떡은 가는 원통형으로 길게 뽑아 일정한 길이로 자른 떡을 말한다. 골미는 꿉운떡을 만드는 번거로움도 없고, 매끈하고 쫄깃한 떡 맛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꿉운떡국은 일반적으로 해 먹는 골미로 만든 떡국이 아니어서 낯선 음식이기도 하다. 방앗간으로 만든 미끈하고 쫄깃한 맛과는 다르다. 투박하지만 깊이 있는 맛이 특징이다.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부산광역시농업기술센터 •우리음식연구회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제주한라대학교 호텔조리과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
 X 
로그인 메세지
ID
P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