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울산음식 이야기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10. 참외, 울산무
  • 이동

h2mark 울산무 대풍을 알리는 명랑한 뉴스

1938년 가을 주부들의 걱정을 덜어줄 명랑한 뉴스가 신문에 실린다. 울산의 무와 배추가 대풍을 이뤘기 때문이다. ‘공전의 대풍작’이라고 표현할 만큼 양이 풍부했고, 무의 맛도 좋았다. 주부들이 김장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될 명랑한 뉴스였다.126)

울산의 무는 하상 병영 일대, 태화강의 섬밭 즉 중섬에서 잘자랐다. 중섬은 울산교 아래에 동서로 길게 뻗어있는 섬이었다.127) 섬밭은 모래땅이어서 무가 늘씬하게 잘 자랐다.128) 그래서 섬밭무라고도 불렸다. 울산의 무는 정식 명칭이 있다.

울산의 무가 아닌 ‘울산무’라는 무의 종류가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울산무를 ‘김장용이나 저장용 가을무의 하나’로 소개한다. 사전에 있지만 정작 울산 사람들은 잘 알지 못한다. 울산에서는 어떤 무가 생산되었기에 울산무라는 명칭까지 얻게 되었던 것일까.

그러나 어떤 과정을 통해 울산무라는 정식 명칭을 얻고 전국적으로 알려졌는지는 알 방법이 없다. 다만 그 시작을 알 수 있는 단서가 부족하나마 남아있다. 울산무는 우연한 기회에 시작되었다.

1915년 울산에 살던 김동기 씨가 당시 도입 품종인 감태무의 종자를 구입해 울산에 채종하던 중 울산의 재래종과 자연 교잡되었다. 몇몇 자료에 남아있는 울산무는 뿌리 끝이 둥글고 녹색 이다. 진딧물에 강하고 각종 병에 강했다.

뿌리는 육질이 서울무와 같이 단단하지는 않지만 김치나 깍두기용으로는 지장이 없고 수량이 많아 재배 면적이 확대되었다.129) 현재 울산무는 울산 사람들의 기억 속에만 남아있다. 김태근은 1984년 6월 12일 울산의 옛 모습을 그리워하는 가운데 울산무를 언급한다.

물장구치며 놀았던 태화강의 맑은 물, 놀진 강변의 서정, 으스름달 비치는 백사장에서의 낭만이 그립고 울산 배, 섬밭무 맛을 언제나 아쉬워하고 있다.130)

지금은 짐작조차 하기 어려운 서정적인 울산의 모습이다. 전형적인 농촌이었던 울산을 확인하게 되는 순간이다. 그가 아쉬워하는 울산무는 더 이상 맛볼 수 없는 상황이다. 그가 무와 함께 그리워한 배는 또 어떤 모습이었을까.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부산광역시농업기술센터 •우리음식연구회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제주한라대학교 호텔조리과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
 X 
로그인 메세지
ID
P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