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섣달그믐’은 일 년 중 마지막 날로 ‘제야(除夜)’, ‘제석(除夕)’이라 하여 집안 구석구석에 등촉을 밝히고, 한 해를 정리하는 날
○ 동지가 지난 뒤 셋째 미일(未日)을 ‘납일(臘日)’이라 하여 한 해 동안의 일이나 농사 결과를 하늘에 고(告)하는 제사를 지냈음
- 국가에서도 이 날 잡은 새나 짐승으로 종묘(宗廟)와 사직(社稷)에 공물로 바치는 대제(大祭)가 행해짐
□ 섣달그믐은 제사가 있었기 때문에 제물(납향, 臘饗)을 재료로 한 전골 등과 한 해를 마무리하는 골동반, 족편 등이 있음
○ 납일은 길일(吉日)로 여겨 이날 엿이 잘 고일뿐만 아니라 맛이 좋아 만병통치약이 된다고 여겼으며 이를 ‘납향엿’이라 함
* 충청과 호남지방에서는 이 날 엿을 고는 풍속이 있었는데 설탕이 없던 옛날에 엿(조청)은 중요한 감미료
○ 섣달 납일에 공물로 쓰이기 위해 사냥한 멧돼지, 토끼 등을 사냥한 고기를 제사에 사용하고 난 고기로 전골을 만듦
- 납향의 제사에 사용하고 난 고기로 만든 전골을 ‘납평전골’이라 하고 궁중에서도 이를 이용해 잔치를 베풀었다고 함
* 전골은 겨울철 절식으로 육류와 버섯, 채소 등 갖은 재료로 만드는 음식으로 그 속에서 다양한 재료가 어우러져 나오는 복합된 맛이 일품
- 원래 궁중음식에서 유래된 것으로 진짓상, 주안상을 차릴 때 곁상에 재료와 참기름, 장국 등을 준비하여 즉석에서 끓여 대접
○ 이날 밤에 잠을 자면 눈썹이 센다하여 밤을 새우는 풍습이 있으며 즐겨 먹은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골동반’이 존재
- 골동반은 남은 음식을 해를 넘기지 않는다고 하여 섣달그믐날 저녁에 남은 음식을 모아 비벼 먹는 비빔밥
골동반이라는 명칭의 유래
▷ 중국 명나라 때 ‘동기창(董其昌)’이 쓴 [골동십삼설(骨董十三說)]이란 책에서 분류가 되지 않는 옛날 물건들을 통틀어 골동(骨董)이라 부른다한 것이 시초.
- 이후 여러 가지 음식을 혼합하여 조리한 국을 골동갱(骨董羹)이라 하고, 밥에 여러 가지 음식을 섞어 익힌 것을 골동반(骨董飯)이라 하게 되었음
○ 족편은 돼지다리를 물에 넣고 푹 삶아 건진 다음 살만 발라 틀에 넣고 굳힌 다음 얇게 썬 것
- 족편은 본래 겨울철 음식으로 반가에서는 설음식, 잔치음식으로 만들어 먹었음
- 본래 족발은 황해도 토속음식인 돼지족조림에서 유래했다고 하는데, 궁중에서는 족편을 잔칫상에도 올렸다고 기록
약이 되는 물, 납설수
▷ 납일에 오는 눈을 받으면 돈이 쌓인다 하였으며, 이 눈을 녹인 물을 ‘납평치’ 또는 ‘납설수(臘雪水)’라 하여 약용으로 사용(동의보감, 수품론)
- 식품을 이 물에 적셔 두면 벌레가 생기지 않으며, 이 물로 환약을 빚거나 약을 달이면 효과가 더해진다 하였음
- 이 물로 눈을 씻으면 안질에도 걸리지 않고 눈이 밝아지며, 술을 담그면 시지 않고, 차를 끓이면 차 맛이 좋아진다고 기록
- 특히 납설수로 담근 장은 그 맛이 좋을 뿐만 아니라 쉽게 변하지 않으며, 이 장으로 간을 맞춘 음식은 쉽게 상하지 않는다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