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가에게는 꾸준한 소득을 보장하고, 소비자가 구매하기에도 매력적인 작물이 되기 위해 장점, 기회도 있지만 단점 등도 존재
○ (강점: Strength) 비교적 재배가 용이하고 특정 소비자들의 지속적인 수요가 존재하는 작목
- 잎에 쓴 성분이 있어서 멧돼지들이 먹지 않으며, 병해충에 비교적 강해 무농약 재배가 가능한 편
* 산지에 고구마를 심는 농가들이 멧돼지의 피해를 많이 받는 반면에 야콘 농가는 상대적으로 야생동물에 대해 걱정을 덜 하게 됨
야콘은 왜 잡초와 벌레들이 싫어할까?!
▷ 일본에서는 야콘이 독특한 성분을 분비하여 병원균과 곤충뿐만 아니라 잡초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다수의 연구 결과를 발표
- 식물정보물질연구센터(일본 홋카이도)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야콘은 곤충이 갉아 먹으면 하이드록시신나믹산(hydroxycinnamic acid)라는 물질을 잎에서 분비
- 하시유카 교수팀은 야콘 잎이 곤충 등에게 상처를 입었을 때 분비하는 물질인 카페산(caffeic acid)를 발견
* 잎에 살고 있는 미생물이 이 물질을 먹고 분비물을 내면 그 분비물이 곰팡이 발생을 억제
- 코타마 교수팀은 야콘 잎에 존재하는 항균물질이 잡초의 성장도 억제하는 것을 밝혀내 친환경적인 잡초 방제법의 개발도 기대
- 비만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당뇨를 겪는 환자들뿐만 아니라
* 우리나라의 당뇨병 발병율(30세 이상)은 12%이며(’13, 국민건강통계), ’05년 현재 5,958억원의 사회적 비용을 유발(’11, 강재헌)
- 만성적인 변비를 겪고 있는 소비자들이 꾸준히 찾는 농산물로 앞으로도 소비 증가가 기대
* 2011년 현재 우리나라 변비 환자 수는 57만여 명으로 2007년 이후 33%이상 늘어났으며, 변비약 시장은 연간 300억 원 규모(’14.6.27, 헬스오)
○ (약점: Weakness) 수확 시 인력조달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저장 등 수확 후 관리 기술에 대한 농가간 편차가 존재
- 10a당 필요한 노동시간(97.6)은 다른 노지 작물에 비해서 많고, 특히 수확 작업에 상당 시간(40.5%)이 필요(’14, 농촌진흥청)
* 포크레인이나 경운기를 이용하여 수확을 하는 경우가 일부 존재하나 밭에 비탈이 진 경우에는 적용이 불리
- 저장시 온도는 4~10℃가 적당하나, 농가에 있는 저장고가 균일한 온도를 맞출 수 있는 조건을 갖추기가 쉽지 않은 상황
* 장기 저장시 부패와 바람들이 현상을 막기 위한 기술이 필요
야콘의 연중 출하 필요, 마케팅에서 왜 중요한가?!
▷ 단순히 연중 출하를 통해서 지속적인 소비자 요구 충족 이외에도 마케팅 측면에서 중요한 시사점이 존재
- 소비자의 신뢰를 얻기 위한 단계인 ‘포지셔닝(고객의 마음속에 자리잡기)’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요소는 ‘안정적인 물량이 공급’되는 것
* 실패한 농산물 브랜드의 5가지 유형 중 하나는 ‘초기의 성공을 유지시킬 수 있는 지속적인 물량 및 품질 관리가 부족’한 것(인테러뱅 제31호 ‘농산물 브랜드’)
- 연중 꾸준한 물량이 출하된다는 것은 고객들에게 언제든지 원하는 제품을 시장에서 찾을 수 있다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
* 매년 수확기에 들어가는 홍보 비용을 줄이고, 지속적인 생과(生果) 소비로부터 파생되는 가공식품의 충성고객을 만드는 지름길
○ (기회: Opportunity) 소비자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에 부응하여, 무농약 야콘뿐만 아니라 과일 시장 진출에 대한 여건 조성도 가능
- 우리나라에서는 작물의 특성상 ‘뿌리작물’로 분류되고는 있지만 야콘의 맛과 성분은 과일에 가까움
* 원산지에서는 채소 가게는 물론 과일 가게에서도 인기 품목(’08.10.14, 진도신문)
-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과일에 대한 잔류 농약 등 안전성에 대한 걱정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
- 과일의 잔류 농약 걱정(’11, 농수산물유통공사): (’10)64.7% → (’11)71.6%
한 눈에 보는 친환경 농산물의 현재와 미래?!
▷ 2012년 국내 친환경 농산물 시장 규모는 3조 809억원 수준이며, 2020년이 되면 7조 5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1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2013년 현재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친환경 농산물(축산물 제외)은 약 118만 톤 이며, 이중 채소가 29%, 과일 28%, 곡류 24%, 특용작물 15%, 서류 3% 등의 순
- 관심을 가지는 과실류 시장은 2012년 현재 6,983억 원에서 2016년까지 감소세를 보이다가 2020년까지 3,569억 원 수준을 회복할 것
* 친환경 뿌리작물 시장은 2012년 1,061억 원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20년 3,421억원에 이를 것
○ (위협: Threat) 당뇨·변비 환자 이외에 잠재적 소비자군에 대한 홍보가 여전히 부족하여, 산업 성장에 걸림돌
- 1985년에 도입되었으나, 대중들에게는 여전히 낯선 농산물로, 그간의 홍보는 농가들의 개별적 마케팅에 의존
- 잠재적 구매자들은 마트 등에 진열된 야콘을 목격하였다 하더라도 어떻게 요리할 수 있는지가 궁금할 것
한 권으로 야콘 요리를 총망라했다?!
▷ 생것으로 먹거나 즙을 내어 먹는 정도 이외에 다양한 방식으로 야콘을 즐길 수 있는 책자
- 야콘을 주재료로 하는 밥류, 국류, 절임류 뿐만 아니라
- 김치, 튀김, 샐러드, 장류), 음료류 등을 소개
* 스마트폰용 어플(야콘을 요리하다)로도 개발되어 다운가능
- 향후 시장을 키우기 위해서는 몸매 등 전반적인 건강 관리에 관심을 가지는 소비자를 타겟으로 하는 홍보가 필요
* 다이어트에 관심이 많고, 소득이 높은 젊은 여성 층을 충성 고객층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다양한 전략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