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농작물 이야기 Part 1.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8. 뿌리작물이냐 과일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 이동

h2mark 국내 야콘 산업 이야기

□ 2009년 현재 166ha(447농가)에 불과한 소면적 작물이지만 친환경 재배가 가능하고, 단위당(10a당) 소득이 높아 농가에게 인기

○ (생산) 1999년 상주, 영주, 강릉, 강화 등에서만 일부(8ha) 재배 되던 것이 2009년까지 20배 이상 증가

- 병해충의 피해가 거의 없어 무농약 재배가 용이하고, 화학비료 없이 퇴비만으로도 잘 자라 유기농 인증을 받은 농가도 다수

- 수확을 제외하고, 관리 노력이 적게 들고 수량이 많아 작목반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재배면적이 증가

한 눈에 보는 야콘 농사의 시작과 끝?!

▷ 야콘의 재배방법은 3월에 육묘하여 5월에 정식하고, 10월 중하순부터 11월 초까지 수확하는 것이 기본

- (육묘) 농사는 전년도에 재배했던 야콘에서 관아를 채취하여 3월에 파종하는 것으로부터 시작

- (정식) 묘상을 설치하여 파종을 한 뒤, 프러그 트레이에 육묘하여 5월 본밭에 정식

* 일부 농가에서는 육묘이식을 하지 않고 본밭에 직접 관아를 파종하기도 함

- (수확 전) 정식 후 초기 2∼3회 제초작업을 하고나면 수확까지 거의 노동력이 들지 않음

○ (저장 및 가공) 많은 농가들은 저장고를 갖추어 물량을 조절하고 있으며, 선도농가에서는 가공시설로 다양한 용도의 상품을 생산

- 저장 시설을 통해, 10월에 생산한 물량을 다음해 2~3월까지 조절하는 농가들이 많음

* 경우에 따라서는 최대 7∼8월까지 저장을 하여 10kg당 10만 원 이상의 가격을 받는 경우도 존재

- 일부의 선도농가는 가공시설을 갖추어 야콘 즙에서부터 분말, 칩, 잎차, 잼, 주스 등을 생산하는 경우도 존재

* 초기에는 시설비의 절감을 위해 즙 등 단일품 위주로 위탁가공

○ (판매) 대부분 농가는 인터넷, 소비자 직거래를 통해서 거래하며, 일부의 대농가는 도매시장을 통한 유통을 선호

- 대부분의 직거래 농가들은 홈페이지, 블로그를 통해, 10kg당 2만원에서 4만원 선에서 판매(‘14, 11~5월)

- 재배면적이 많은 농가들의 경우, 직거래를 통한 물량 해소가 쉽지 않아 도매시장을 경유하는 경우가 많음

* 서울시 가락시장의 평균 경락가격은 12,000원(10kg당) 수준(’14)

○ (수익) 야콘 농가의 10a당 소득은 198만 원 수준으로 고구마, 감자 등의 식량작물과 노지채소에 비해서 높음(‘14, 생과 기준)

- 10a당 조수입은 3백 만원 수준이며, 조수입 대비 소득의 비중(65.4%)이 높아 투입 대비 산출이 탁월

* 작목별 조수입 대비 소득의 비중(소득률)은 식량작물 52.3%, 노지채소 58.4%, 시설채소 49.6%, 노지과수 63.9% 등(’13, 농촌진흥청)

- 10a당 소득은 2013년산 고구마(156만 원), 봄감자(97만 원), 가을무(136만 원), 가을배추(155만 원) 등의 작물에 비해 높은 수준

<야콘의 수익성(’14, 농촌진흥청)>

야콘의 수익성(’14, 농촌진흥청)

* 가공품은 제외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농촌진흥청 •농사로 •Rda 인트라뱅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