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아메리카 고산지대에서 태어난 야콘은 고향에서도 잘 알려지지 않았으며 유럽에 알려진 후에도 타 작물에 비해 확산이 늦음
○ 안데스 산맥 동쪽 경사면의 고지대가 고향인 야콘이 본격 재배된 것은 페루의 나스카 문명 당시로 추정
* 기원전 100~기원후 800년까지 존속한 나스카 문명의 대표 유물인 직물과 채색도기에서 야콘의 모양이 확인
○ 유럽에 알려진 계기는 스페인 식민지 시대의 원주민 통역사였던 구아만(Guaman Poma de ayala)이 스페인 왕에게 보낸 편지
* 동 시대의 스페인 성직자 베르나베 코보는 보고서에서 ‘건조에 잘 견디고 물이 많아 상쾌함을 더해주는 작물’이라 보고
식민지민이 쓴 불우한 편지, ‘새로운 연대기와 좋은 정부’
▷ 구아만 포마(Guaman Poma), 와만 포마(Waman Poma)로 알려진 펠리페 후아만 드아얄라(Pelipe Huaman Poma de Ayala)가 스페인왕에게 보냄
- 분량은 총 1,200페이지, 400페이지의 전면 삽화가 들어있는 문서로, 순수 안데스 원주민이 스페인 왕 펠리페 3세에게 페루의 반환을 요구한 서신
- 스페인 정복 이전에 안데스의 생활과 잉카의 통치, 1532년 스페인의 정복, 초기 식민통치, 식민지 지배자의 조직적인 억압 행위에 대한 원주민의 견해를 피력
* ’0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 유산으로 등재되어 덴마크 왕립도서관에 보관
○ 1900년 파리 세계엑스포(舊만국박람회)에서 처음 유럽에 소개된 이후 이탈리아에서 1930년 경 첫 재배가 시도
- 이탈리아에서 작물로서 자리를 잡지 못한 이유는 영하로 내려가는 혹독한 겨울 때문에 월동하지 못함
* 유럽 중북부의 대부분 지역은 동절기가 길어 내한성이 약한 야콘의 재배가 어려웠고 재배적인 특징이 제대로 연구되지 않아 정보가 부족했기 때문
○ 식량으로서 가능성이 낮은 편이라 해서, 한때 원산지에서도 재배 면적이 줄어 식량농업기구(FAO)에서 멸종위기종으로 선포(’81)
* 1981년 유전자원국제협의회(ICFR)에서 야콘의 연구와 개발지원을 결정
□ 본격적인 재배가 시작된 것은 1980년대 이후로 뉴질랜드에서 신 작물로서 에콰도르산(産) 야콘을 도입한 것이 계기
○ 뉴질랜드에서 시험적으로 재배가 시작된 이후 체코, 독일, 이탈리아 등의 유럽에서도 생산성을 검토
○ 일본에서 1984년 뉴질랜드의 탑 라인(종묘회사)로부터 도입
- 건강식품과 신작물에 관심이 많던 일본에서는 여름에 서늘한 지역이 재배에 적합하다는 등의 연구결과를 발표
* 여름에 서늘한 고랭지에서 잘 자라며 괴근 수량이 많고, 품질도 우수함을 밝혔으며 프락토올리고당, 식이섬유, 칼륨, 폴리페놀 등이 많음을 보고
○ 1990년대 초에는 브라질에서 천연 신약소재를 발굴하는 과정 중 당뇨병에 좋은 소재로서 야콘을 도입하여 재배
○ 1994년에서는 체코에서 도입가능성을 검토하면서 재배기간이나 온도보다는 강수량이 더 중요함을 보고
□ 우리나라에서는 1985년 4월 농촌진흥청에서 일본으로부터 야콘 3포기를 도입한 것이 최초
○ 농진청 원예특작과학원(구 원예시험장)에서는 일본 다끼종묘를 통해 도입하여 3년간 적응성 등을 연구해 강원, 충북, 경북 농가에 보급
- 유통 및 판로 등의 이유로 괴산, 상주, 강화 등에서 소량재배 되다가 영양가치가 주목받은 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확산
‘김일성 냉면’이라고 들어본 적 있으시지요?
▷ 김일성, 김정일 부자는 1주일에 1~2회 냉면을 먹을 정도로 매우 좋아했는데 건강이 좋지 않아 건강기능성을 갖춘 작물을 찾아 만든 것이 야콘 냉면
- 김일성 별장의 관리과장을 지낸 김동춘씨가 1987년 우리나라로 귀순하여 강화에서 야콘 재배에 성공하고 냉면과 만두를 만들면서 김일성과 얽힌 이야기를 전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