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재료 홍어, 식용유, 양념(한식간장, 다진 대파, 다진 마늘, 참기름, 깨, 설탕)
조선시대 정약전의 「자산어보」에는 홍어의 쓰임새가 회, 구이, 국, 포 모두에 적합하다고 기록되어 있다. 밀양박씨 박부동 종가에서는 제사를 지낼 때 화로에 숯을 넣고 숯불로 생선을 굽는다. 홍어구이는 생선 숯불구이보다 더 많은 정성이 들어간 음식으로 숯불화로에 팬을 올리고 한입 크기로 썬 홍어구이를 양념을 발라가며 은근한 불로 굽는 종부들의 정성이 느껴지는 음식이다. 손질한 홍어는 포를 뜬다. 분량의 재료로 양념을 만든다. 홍어를 굽다가 양념을 바른다.
식재료 양지머리, 양, 무, 양파, 대파, 물, 한식간장, 참기름, 소금, 후춧가루
우시장이 있었던 나주에서는 도축이 되고 나면 처리하기 힘들었던 부산물들을 넣고 푹 끓여서 일찍부터 일하는 시장 사람들 허기짐을 달래던 국이 곰탕이었다. 박부동 종가의 곰국은 고기와 양을 넣어 끓인 종가의 보양국으로 특별하게 양과 양지육수가 기본이 된 고깃국을 끓여먹었다. 이를 곰탕과는 다르게 '곰국'이라 부른다. 박부동 종가에서는 어르신이 몸이 편찮으시면 몸의 기운을 돋우기 위해 양을 생강과 넣어 푹 삶아 잘 다져 짜내서 즙을 내어 먹었다고 한다. 기운이 허할 때 먹는 보양식이 약이였던 것이다. 손질한 양과 양지를 끓이다가 무, 양파, 대파를 넣어 끓인다. 양지머리는 찢어내고 양은 양지머리와 같은 크기로 잘라 양념한다. 육수에 양지, 양, 나박 썬 무, 송송 썬 대파를 넣어 끓인다.
종가는 한국 문화의 정수이며 우리 민족의 정신적 뿌리이다. 종가 음식은 한식 문화의 근본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한국 음식에 관심을 갖는 외국인들이 자연스럽게 종가에도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단순한 음식만이 아닌 우리의 문화에 대한 관심이야말로 올바른 한식세계화이기 때문이다. 종가 역시 이런 흐름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