귤피 2돈, 산사육 맥아 나복자 후박 향부자 지실 각 1돈, 치자 7개, 두시 반 홉, 연교 감초 각 5푼. 《활인》 식복증으로 열이 나고 답답하며 배가 그득하고 대소변이 순조롭지 못한 경우를 치료한다.
산사죽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주촌신방_필사본(舟村新方_필사본)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상식(傷食)에 적이 있으면 열이 나고 머리가 아픈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상한과 유사한데, 도씨평위산(陶氏平胃散)이 마땅하다. 창출 1돈 5푼, 후박 진피 백출 각 1돈, 황련 지실 각 7푼, 초과 6푼, 신곡 산사육 건강 목향 각 5푼을 물에 달여 복용한다.
산사죽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약산호고종방촬요(若山好古腫方撮要)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산사는 맛이 달다. 육적(肉積)과 식적(食積)을 삭인다. 산기(疝氣)를 치료하고, 창(瘡)이 빨리 낫게 한다. 창만을 가라앉히고, 위(胃)를 튼튼하게 한다.
산사죽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요략(要略)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배가 고프지만 먹지 못하는 것과 음식을 먹는 것이 지나친 것은 모두가 절도를 잃은 것이나 반드시 그 두 가지를 명확히 구분하여야 한다. 굶주리면 위(胃)가 허해지니 부족한 것이고, 음식이 정체된 것은 유여한 것이다. 부족(不足)한 것은 보익(補益)하고 유여(有餘)한 것은 소도(消導)한다
산사죽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언해두창집요(諺解痘瘡集要)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쥬언 오, 년효 감초 셔졈 산사 역의 처엄미나 내죵이나 브 약기라. 주언수는 말하였다.연교 감초 서점자 산사자는 마마가 시작해서 끝날 때까지 반드시 써야하는 약이다.
산사죽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의종손익(醫宗損益)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食積痰消之, 山ㆍ神ㆍ麥芽.《寶鑑》 《의감》 식이 소화되지 않거나 어혈을 끼면 마침내 낭종이 생기고, 대부분 벽괴(癖塊)ㆍ비만(滿)이 된다. ○ 식적담을 없애기 위해서는 산사ㆍ신국ㆍ맥아를 쓴다. 《보감》
산사죽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의가비결(유의소변술)(醫家秘訣(儒醫笑變術))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經不調고 多痛而實은調經飮. 當歸 三錢, 牛膝 山 香附 各二錢, 靑皮 茯 各一錢. 寒滯, 加肉桂 吳茱萸. 脹, 加厚朴, 或砂仁. 氣滯, 加烏藥. 小腹痛, 加小茴香. 월경이 고르지 못하고 통증이 자주 있으면서 실증(實證)이면 조경음을 쓴다. 조경음(調經飮):당귀 3돈, 우슬 산사 향부자 각
산사죽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의본(醫本)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혹은 교맥(껍질을 남긴 채 볶는다) 2돈과 총백 4뿌리를 더해 달여 먹는다. 혹 식상(食傷)일 경우에는 산사와 신곡을 더한다.
산사죽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의감중마(목판본)(醫鑑重磨(목판본))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山査味甘, 消磨宿食, 療疝催瘡, 消膨健胃.아가 산사는 단맛으로 숙식을 소화시키고 산가를 치료하며 상처를 치유한다. 팽만감을 제거하고 위를 건강하게 한다.아가배
산사차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의휘(宜彙)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신성단. 창출 귤홍 각 1냥 5돈, 곽향 백지 천궁 각 1냥, 반하(생강즙을 넣고 볶거나 반하국을 쓴다) 후박(생강즙을 넣고 볶는다) 백편두(생강즙을 넣고 볶는다) 신국 맥아 초과(함께 볶는다) 지실(밀기울을 넣고 볶는다) 자소엽 산사육 사인(볶는다) 인삼 백단향 감초(굽는다) 육계 적
산사차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광제비급(廣濟秘笈)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회충을 토할 경우에는 속을 덥히는 이중탕 같은 약을 써서는 안되고, 산사 3돈, 빈랑 1돈, 감초(구운 것) 5푼을 물에 달여 먹이며 늘상 산사차를 먹인다.
산수유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단곡경험방(丹谷經驗方)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혈이 허하고 음(陰)이 부족한 데는 숙지황을 군약(君藥)으로 하고, 정액이 절로 나오는 데는 산수유를 군약으로 하며 오줌이 혹 많거나 적거나 벌겋거나 뿌연 데는 복령을 군약으로 하고,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데는 택사를 군약으로 하고, 심기가 부족한 데는 목단피을 군약으로 하며, 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