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와인 구매스타일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6. 연구대상자 선정 및 특성
  • 이동

h2mark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는 고가 와인 애호가들의 소비형태, 경험에 부여하는 의미를 이해하기 위하여 13명의 인터뷰와 참여관찰 6회를 실시하였다.

첫 번째로 인터뷰의 내용을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접근법을 채택하여 분석 하였으며, 내용분석방법은 사람들의 일상적인 생활과 관련한 모든 것들을 연구 주제로 삼을 수 있어 그 내용의 폭이 넓으며, 자료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장기간에 존재는 자료를 통으로 비교 분석 할 수 있어 시간 절약을 극복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Weber, 1985).

분석과정에서 과거 본인의 와인 소비 경험이 연구자의 분석과정에 영향을 미쳐 연구의 본질을 파악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연구자가 가지고 있는 편견과 선 이해 등을 개인 일지에 기술하고 이와 관련된 전문용어 등을 메모해 둠 으로써 이들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의식적으로 노력했다.

이 분석과정은 크게 3가지 단계로 구분해서 진행되었다.

첫째, 인터뷰 내용에 대한 반복적인 숙독을 통해 데이터에 친숙해지고 점진으로 나타나는 패턴에 주목 했다.

둘째, 인터뷰에서 나타나는 단어, 문장, 일화 등을 중심으로 하여 초기 코드화를 진행하였으며 초기 코딩작업을 통해 총 230개의 코드가 도출 되었다.

셋째, 초기 코드화 작업을 통해 나타난 각 코드들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빈도가 낮거나 연결성이 결여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코드들을 제외하고 나머지 코드들 사이의 관계를 포괄 하고 연결해 주는 상위 단계의 코드를 분류하고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35개의 상위 코드로 자료가 정리되었다.

정리된 자료들을 개념화하고 범주화의 과정을 통해 ‘와인 소비형태’, ‘와인 경험적 이해’등 2개의 개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소비 형태에 관한 개념은 다시 ‘와인 입문 경로’, ‘와인 구입 경로’, ‘와인 음용 방식’, ‘와인 음용 예절’, ‘와인 사용 경로’의 하위범주로 구분되었다.

또한 ‘와인 경험적 이해’ 범주에서는 ‘와인 전문성’, ‘와인 차별성’, ‘사치가 아닌 경험’, ‘와인 동반자’, ‘와인의 미적 경험’, ‘고가 와인의 전통성’, ‘와인의 사회적 측면’, ‘와인에 대한 순수성’등 8개의 하위범주로 구분되었다.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krei 한국농촌경제연구원 •thinkusadairy.org •Wine Kit Korea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