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유한 민족음식 - 설렁탕
설렁탕은 소의 내장, 발쪽, 사등뼈 등을 가마에 넣고 물을 부은 다음 국물이 뽀얗게 되도록 푹 고은 음식이다. 살고기와 뼈만으로 고은 국과는 달리 소의 내장맛이 우러나는것이 설렁탕의 특징이다. 설렁탕의 유래와 관련하여서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오고있다.
조선봉건왕조시기에 서울 동대문밖에 《선농단》이라는것이 있었는데 왕이 농사를 장려한다는것을 보여주기 위하여 대신들이 거리에 나가 제사를 지내고 농사경험이 많은 농민들과 함께 모의밭갈이를 하였다. 의식이 끝난 다음 왕은 그들에게 소를 잡아 먹였다.
이때 만든 음식을 선농단에서 끓인 탕이라 하여 《선농단탕》이라고 했는데 이것이 변하여 《선농탕》이 되고 다시 변해서 《설렁탕》이 되였다고 한다. 설렁탕이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한 다른 자료도 있다.
즉 설렁탕이란 이름은 오랜 시간 설렁설렁 끓인다는데서 유래되였다고도 하고 국물빛갈이 희다고 하여 《설(눈 설)》,국물이 진하다는 뜻에서 《농(무르녹을 농)》자를 붙여 《설농탕》이라고 하던것이 점차 《농》이 《렁》으로 변하여 생겨났다고도 한다.
설렁탕은 갖가지 영양물질이 골고루 들어있고 소화가 잘 되여 건강과 장수에 좋은 음식이므로 누구나 즐겨먹는 대중음식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였다.
♣ 추어탕
추어란 미꾸라지를 말하는데 가을철의 미꾸라지맛이 하도 좋아 《추어》라고 하였다. 추어탕은 우리 인민이 즐겨먹는 민족음식의 하나로서 그 맛이 좋고 영양가가 높은것으로 알려져있다. 특히 추어탕은 허약한 사람들의 원기회복과 어린이들의 키크기에 많이 쓰이였다.
추어탕을 끓이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었다. 한가지 방법은 고기장국을 끓이다가 고추장을 조금 풀어두고 두부를 통채로 넣은 다음 미꾸라지를 즉시 넣으면 그것들이 뜨거워 두부속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것을 썰어서 탕을 끓이는 방법이고 다른 방법은 추어를 고기 삶은 물에 넣어서 푹 고은 다음 소고기를 넣고 함께 끓이는 방법이였다.
추어탕에는 향신양념감으로 조피가루나 방아풀을 넣어야 비리지 않고 진미가 살아난다고 하였다. 추어탕 끓이기는 지방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었는데 함경도지방에서는 추어호박장이, 개성지방에서는 추어두부탕이 유명하였으며 남쪽지방에서는 시래기나 고사리, 애호박을 두고 끓인 추어탕이 유명하였다.
♣ 닭인삼탕(삼계탕)
닭인삼탕을 옛날에 《삼계탕》, 《효성탕》이라고 불렀는데 효성탕에는 우리 인민들이 간직하고있는 부모에 대한 지극한 효성을 보여주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깃들어있다. 먼 옛날에 부모에게 효성이 지극한 한자식이 앓고있는 부모를 살리기 위해 온갖 정성을 기울였으나 차도가 없었다.
의원으로부터 부모를 살리자면 닭과 삼으로 만든 삼계탕을 먹어야 한다는 말을 들은 그 효자는 자기 목숨을 바쳐 그것을 구하려고 하였다. 이에 감동된 《신선》이 삼계탕을 선사하였는데 그의 부모들은 그것을 먹고 하루아침에 건강이 회복되였다.
그래서 자식의 지극한 효성이 깃든 탕이라고 하여 효성탕이라고 불리웠다고 한다. 삼계탕은 옛날에는 닭의 배속에 산삼을 넣고 푹 고아서 만들었었는데 인삼을 재배하면서부터는 인삼을 위주로 썼다고 한다.
삼계탕은 검정닭을 쓴것이 효능이 더 높다고 하였다. 삼계탕은 약효성이 높은 보약재인 유명한 인삼을 썼기때문에 원기회복, 질병치료, 건강을 위해 많이 리용되였다.
♣ 보양효과가 큰 닭탕과 닭찜
예로부터 우리 선조들은 더위로 인해 식욕이 떨어지고 몸이 축가는 무더운 삼복때에 닭고기로 여러가지 보양음식들을 많이 만들어 먹었다. 함경도지방에서는 병아리보다 조금 큰 닭(영계)의 배속에 양념을 발라 쪄서 만든 영계찜을, 전라도지방에서는 닭의 몸통에 마늘을 넣고 푹 쪄낸 닭마늘찜을 해먹었다.
전라도지방에서는 《오뉴월에 닭마늘찜을 세마리만 해먹으면 겨울에 감기 안든다.》고 하면서 복날을 맞으며 이 음식을 만들어 먹군 하였다. 또 어떤 지방들에서는 닭인삼탕을 삼복때의 특색있는 음식으로 여겼다.
닭인삼탕을 옛날에는 《효성탕》이라고 불렀는데 여기에는 예로부터 우리 인민들이 간직하고있는 고상한 미풍과 부모에 대한 자식의 지극한 정성을 보여주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깃들어있다. 먼 옛날에 부모에게 극진한 한 자식이 앓고있는 부모를 살리기 위해 온갖 정성을 기울였으나 차도가 없었다.
의원으로부터 부모를 살리자면 닭과 삼으로 탕을 끓여 먹여야 한다는 말을 들은 그 효자는 자기 목숨을 바쳐서라도 그것을 구하려고 하였다. 이에 감동된 《신선》이 닭인삼탕을 선사하였는데 그의 부모들은 그것을 먹고 하루아침에 건강을 회복하였다.
그래서 자식의 지극한 효성이 깃든 탕이라고 하여 닭인삼탕을 《효성탕》이라고 불렀다는것이다. 닭인삼탕의 기본음식감의 하나인 인삼은 세계적으로 건위강장제로, 만병통치약으로 공인된 으뜸가는 장수보약이다. 우리 나라에서 인삼생산의 력사는 매우 오래다.
인삼생산은 오랜 기간 야생하는 산삼을 채취하는 방법으로 진행되다가 18세기에 와서 산삼의 인공재배가 성공함으로써 보다 대량적으로 진행되게 되였다. 인삼은 조선의 특산품으로서 개성지방을 중심으로 많이 생산되였으므로 흔히는 《고려인삼》, 《개성인삼》으로 불리웠으며 다른 나라들에도 널리 알려졌다.
닭인삼탕은 영양가 높은 닭고기에 장생불로의 명약인 인삼을 넣어 만든것으로 하여 예로부터 우리 인민들속에서 그 무엇에도 비길수 없는 최고의 보양음식으로 인정되여왔다.
♣ 여름철 몸보신에 으뜸가는 단고기국과 육개장
한 여름예 접어들면 찌는듯한 무더위가 지속되는 삼복이 찾아온다. 삼복은 우리 나라에서 년중 제일 무더운 시기이다.《복》이라는 말자체가 엎드린다는 뜻으로서 너무 무더워 움직이기 싫어한다는 의미를 가지고있다. 이 시기에는 사람들의 기력이 심히 떨어진다.
그래서 우리 인민들은 전통적으로 삼복때가 되면 더위를 피하여 서늘한 곳으로 찾아가거나 특별한 음식들을 만들어 먹으면서 더위를 물리치고 건강을 유지하려고 애썼다. 그 과정에 단고기국도 생겨났다. 조선사람이라면 누구나 삼복때가 되면 의례히 단고기국을 생각하면서 이 기간에 적어도 그것을 한두번은 먹어야 직성이 풀리는것으로 여기고있다.
그만큼 우리 사람들의 생활에서 삼복과 단고기국은 서로 뗄수 없이 련관되여있다. 삼복에 단고기국을 먹는것은 고려의학에서 더운것으로 더운것을 다스린다는 《이열치열》의 원리에서 유래된것으로 보아진다.
즉 삼복때 더위로 하여 떨어진 식욕을 돋구고 허약해진 몸을 추켜세우며 이 시기에 생길수 있는 병들을 예방하자면 더운 성질의 단고기를 먹어야 한다는것이다. 삼복때 단고기를 푹 무르도록 끓여서 양념을 두고 먹으면 땀을 내고 더위를 막을뿐아니라 건강을 보호한다고 하여 단고기국은 일명《보신탕》이라고도 불리워왔다.
사람들은 삼복때의 단고기국물은 발잔등에 떨어져도 약이 된다고 하였다. 단고기국을 만드는 방법은 지방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었는데 평안도지방에서는 된장을 풀어두고, 황해도에서는 된장과 고추장을 두고 단고기국을 끓이였고 일부지방에서는 간장으로 국물의 간을 맞추고 단고기와 기타 보조음식감들을 밀가루를 묻혀 삶았다.
예로부터 우리 인민들은 단고기국에는 꼭 조밥을 말아먹었다. 좁쌀은 일단 밥을 지은 다음에는 흰쌀보다 잘 풀어지거나 식지 않는 가공학적특성을 가지고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하여 조밥은 단고기국과 같이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뜨거운 상태로 먹어야 맛을 제대로 느끼게 되는 국에 아주 적합한 주식류라고 할수 있다.
조밥이 단고기국에 어울리는 주식류로 볼수 있는 근거의 다른 하나는 이 음식이 다른 낟알로 지은 밥보다 향기가 좋아 단고기국의 구수한 맛을 더 잘 느끼게 해준다는데 있다. 단고기가 식성에 맞지 않는 사람들은 소고기로 단고기국처럼 탕을 얼벌벌하게 끓여먹었는데 이것을 숙칭 육개장이라고 하였다.
일반적으로 소고기음식에는 고추가루를 쓰지 않거나 적게 쓰지만 육개장은 단고기국처럼 고추가루를 많이 두고 끓여 얼벌벌하게 만들었다.
♣ 룡봉탕의 유래
룡봉탕은 잉어와 닭고기를 함께 넣고 끓인 탕이다. 잉어와 닭고기는 허약한 사람들의 몸을 추겨세우는데 매우 좋은 음식감으로서 예로부터 보신재로 널리 리용되여왔다. 이러한 음식감으로 만든 룡봉탕은 맛이 좋고 원기를 돋구는데서 특효가 있어 오랜 세월 임금만이 먹는 음식으로 되여있었다.
이 음식이 언제부터 만들어졌는가 하는 문헌적인 근거는 없으나 전해오는 말에 의하면 상상의 동물인 룡과 봉황새를 물에서 사는 동물과 날짐승가운데서 제일로 일러오며 용맹과 힘, 아름다움과 장수의 상징으로 말하기를 즐겨했던 옛날 사람들이 잉어가 민물고기가운데서 으뜸일뿐아니라,
물에서 솟구치면서 요동을 치는 모습이 룡이 공중에 날아올라 조화를 부리는것과 흡사하다는데로부터 《룡》자를 달고 닭이 날짐승가운데서 제일이라는 의미에서 봉황새의 《봉》자를 붙여 룡봉탕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룡봉탕을 몸보신에 좋다는 의미에서 일명 《보약탕》이라고도 불러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