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사상체질의학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1. 체질에 따른 성향
  • 이동

h2mark 오장육부는 어떤 일을 할까?

오장에는 심장, 비장, 폐장, 신장, 간장이 속하고, 육부에는 위, 큰창자, 작은창자, 쓸개, 방광, 삼초가 속한다고 했다. 이들은 도대체 어떤 기능을 할까?

먼저 심장부터 살펴보자. 심장은 인간의 정신의식 활동과 일정한 관계가 있다. 기혈이 충만하면 명석하고 정신이 민첩하지만 그렇지 못하면 정신이 혼미하거나 비애감이 자주 발생하고 쉽게 화를 낸다.

또 온몸의 혈액을 순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심장은 말하는 것과 땀을 내는 것에 관련이 있고, 혀와 관계가 있어 증상이 혀에 나타난다.

두 번째 비장은 영양물질을 흡수해 온몸의 각 장기와 조직들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 몸안의 체액을 잘 돌아가게 하고 배설하는 작용을 한다. 비장은 팔다리와 관련이 있어, 영양이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면 팔다리에 힘이 없어지고 마르고 찬 증상이 나타난다.

특히 입과 관련이 있어 비장의 기능이 건강하여 식욕이 왕성하고 입맛이 좋으면 입술이 붉고 광택이 나고, 약해지면 식욕을 잃고 입술이 마르고 광택이 없어진다.

세 번째는 폐로 기(氣)를 주관한다. 인체의 기본인 호흡을 주관해 밖에서 들어오는 맑은 공기를 마시고, 몸안에 있던 탁한 공기를 밖으로 내보낸다. 코와 통하며, 기를 맑게 해, 아래로 내려 보내는 기능이 있다. 또한 피부와 피부에 있는 털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네 번째는 신장으로 모든 정(精)을 저장한다. 정에는 생식기능을 간직한 선천지정(先天之精)과 음식으로 소화 흡수되는 영양물질인 후천지정(後天之精)이 있다. 신장은 이 두 정을 모두 주관한다. 또 뼈와 몸의 물을 조절하며, 귀와 통한다.

마지막으로 다섯 번째는 간장이다. 간은 소통, 조달과 배설 기능을 주관 한다. 간 기운이 잘 소통되면 정서활동이 안정되고, 그렇지 못하면 화를 내거나 우울해진다. 반대로 화를 잘 내거나 의기소침해지면 간에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

간이 건강하지 못하면 소화기능에도 문제가 생기는데, 가슴이 답답하고 트림이 나오고 설사와 변비 등이 발생한다. 또한 간은 혈액을 저장하고, 양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간은 이 외에도 다방면에 기능을 가지고 있는 터라 간이 건강하지 못하면 신체 자체가 건강할 수가 없다.

오장육부(五臟六腑)
▲ 오장과 몸의 다른 기관과 긴밀하게 연관이 되어 있다.

육부는 체내로 들어오는 음식물을 소화하여 영양물질을 흡수하며 찌꺼기를 배설하는 장기인 위, 큰창자, 작은창자, 쓸개, 방광, 삼초를 말한다. 육부의 주된 기능은 음식물을 받아들여 소화시켜 영양물질을 흡수하고, 찌꺼기를 내보내는 것이다.

먼저 위를 살펴보면, 음식물을 받아들이고 소화를 시킨다. 우리가 음식을 먹으면 아래로 내려가면서 소화되고 흡수되고 배설되는데, 이런 작용이 가능한 이유가 바로 위기(胃氣) 때문이다.

위기가 아래로 내려가지 않으면 음식물도 그대로 위에 머물기 때문에 배가 부르고 그득한 느낌이 지속되는 것이다. 이 상태가 되면 아프고 변비가 생기거나 위기가 위로 올라와 트림이나 딸꾹질 혹은 구토 등의 증상이 생긴다. 또한 위는 습한 것을 좋아하고 마른 것을 싫어한다.

두 번째가 큰창자이다. 폐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수분을 흡수하고 음식물 찌꺼기를 배설한다. 세 번째는 작은창자이다. 위에서 넘어온 음식물은 긴 작은창자를 지나면서 흡수되고 소화된다.

이때 수분의 대부분을 흡수하고, 맑은 찌꺼기는 방광으로 보내고, 탁한 찌꺼기는 대장으로 보내는 기능을 청탁이라 한다. 또한 마음에 화가 많으면 작은창자에까지 전해져 소변량이 적어지고 붉어지며 배뇨 시에 통증이 생긴다.

네 번째는 쓸개이다. 담즙을 배설하여 음식물의 소화를 촉진하며 소화기능을 돕는 것이 쓸개의 중요한 생리기능이다. 정신의식 활동에도 관여하는 데, 옳고 그른 것을 판단하고 결정하는 기능을 한다. 그래서 담기(膽氣)가 성한 사람은 용감하다.

다섯 번째는 방광으로 소변을 저장하고 배설하는 기능을 한다. 콩팥과 생리, 병리적으로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마지막 여섯 번째는 삼초로 한의학에만 있는 특별한 개념 정도로 인지할 수 있다. 오장과 육부 사이의 상호작용을 포괄한다고 보면 된다.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메세지 각각의 약초는 환자의 체질, 건강상태에 따라 사용법과 사용량 등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참고로만 이용하세요.
  • 자료출처 •김순기(金順起)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