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행(五行)이라고 하는 것은 금(金), 목(木), 수(水), 화(火), 토(土)의 5가지 물질을 말하며 이것의 하나를행(行)이라고 한다. 5행은 일명 5운(五運)이라고도 하는데 ‘행’ 또는 ‘운’은 다 같이 물질이 움직인다는것 혹은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5행의 5가지 물질은 서로 다른 특성들을 가지고 있다. 즉 옛사람들은 당시 과학발전의 제한성으로 하여 물질의 구성상태와 본질을 과학적으로 알 수 없었던 것만큼 5행의 5가지 물질의 특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전제를 제기하고 그 전제 밑에서 물질들의 상호연계에 대한 이론을 내놓았다.
5가지 물질의 속성은 대체로 아래와 같다.
① 금: 아름답고 차고 굳고 두드리면 소리가 나며 불에 녹을 수 있는 성질을 가진 물질(폐(肺)를 이와 같은 것으로 보았다)
② 목: 부드럽고 잘 소통하며 곧게 뻗어 나가는 성질을 가지고 흔들리는 현상이 있는 물질(간(肝)을 이와같은 것으로 보았다)
③ 수: 차고 다른 물질을 습윤시키는 성질이 있으며 높은 데로부터 낮은 데로 흐르는 성질을 가진 물질(신장(腎)을 이와 같은 것으로 보았다)
④ 화: 뜨겁고 작열하며 불 붙으며 그 기운이 위로 올라가는 성질을 가지는 물질(심장(心)을 이와 같은 것으로 보았다)
⑤ 토: 물질을 자양하고 영양하며 성질이 온후하고 변동이 적은 물질(비(脾)를 이와 같은 것으로 보았다)
이상에서 5행의 5가지 물질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5행의 5가지 물질은 서로 다른 특성이 있기 때문에 그들 상호간에는 서로 도와주고 영양하여 조장시키는 관계가 있는가 하면 서로 억제하고 제약하며 타승하는 관계도 있다. 예를 들면 수, 화, 목 이 3가지 물질의 상호관계는 다음과 같다.
수는 화를 억제하고 제약하는 동시에 목을영양하고 조장시킨다. 목은 수에 의하여 자양되고 조장되지만 자체는 또한 화를 발생시키고 조장시킨다.비유하여 말하면 불은 물에 의하여 꺼지거나 억제당하지만 나무는 물이 없이 생장 발육할 수 없는 것과비슷하다.
이것은 수와 화, 수와 목, 목과 화 사이에 내재하는 상호연관성을 말하는 것인데 이러한 관점이 점차 확대 발전하여 나중에는 이 이치가 동의학에서 모든 사물과 현상에 내재하는 서로 발생시키며 조장시키는 것과 서로 억제하고 제약하는 복잡한 연계들을 설명하는데 이용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5행설은 몸에서 각 장기계통 및 그 기능들이 서로 제약하거나 서로 조장시키는 연관관계와 질병의 발생 발전 및 경과에서 그들 사이의 상호연계를 설명하는데 적용되어 왔다. 물론 복잡한 유기체의 해부, 생리,병리적 과정을 전부 5행 이론에 맞추어 그 연관관계를 기계적으로 공식화하여 설명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우리는 응당 옳은 비판적 입장에서 5행설을 이해하여야 하며 동의학에서 쓸모있고 우수한 내용들 만을 추려서 현대과학적으로 밝히며 그것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힘써야 할 것이다.5행의 개념을 이해하는 데서 중요한 것은 5행의 상생, 상극, 상승, 상모의 상호관계이다.
1) 5행의 상생(相生)과 상극(相剋)
5행의 상생이라고 하는 것은 각 장기 계통들이 서로 조장시키고 의존하는 관계를 말한다. 즉 상생의생(生)은 자양하며 발생시키거나 조장시킨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5행의 상생에는 다음과 같은 5가지가 있다. 금생수(金生水), 수생목(水生木), 목생화(木生火), 화생토(火生土), 토생금(土生金)이다.
여기에서 5행의 상생이 사물들 상호간에 발생조장시키는 관계하는 것을 다음과 같은데 비유해서 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생토라는 것은 화가 토를 발생 조장시킨다는 것인데 이것은 나무가 불 붙으면 재가 되고 그것은 흙으로된다는 것과 비슷한 것이다.
5행의 상생에서는 어느 한 물질이 다른 하나의 물질을 발생시키고 조장시키는 관계를 어머니와 아들 사이의 관계(母子關係)와 같이 이해한다. 예를 들면 위에서 화생토의 경우 화를 어머니로 토를 아들로 비유 해서 이해한다.
동의학의 5행설에서 상극이라고 하는 것은 장기 계통들이 서로 제약하고 극복하며 타승하는 상호관계를 말한다. 즉 상극의 극(剋)은 제약하거나 극복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5행의 상극에는 다음과 같은 5가지가 있다. 금극목, 목극토, 토극수, 수극화, 화극금이다.
여기에서 5행의 상극이 사물들 상호간에 제약하고 타승하는 관계라는 것을 다음과 같은데 비유해서 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극화라는 것은 화의 성질을 가진 사물은 수의 성질을 가진 사물에 의하여 제약되며 극복된 다는 것을 말하는 것인데 이것은 불이 붙을 때에 물을 뿌리면 물이 꺼지는 것과 비슷한 것이다.
5행의 상극에서는 제약하는 자(극아자)와 제약 받는 자(아극자)로 구분한다. 예하면 위의 수극화에서 제약하는자는 <수>이고 제약받는 자는 <화>이다. 5행의 상생, 상극관계는 동의학적 병리과정을 이해하고 치료하는데 일정하게 이용되어 왔다.
예를 들면 5행의 토생금은 비위가 폐의 기능을 도와주며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동의임상에서는 폐에 병이 생겼을 때는 비위에 장애가 없다고 하여도 비위가 나빠지지 않도록 폐를 치료하는 약과 함께 비위를 보호하는 약을 동시에 써야 폐병이 잘 나을 수 있다.
2) 5행의 상승(相乘), 상모(相侮)
5행의 상생, 상극은 사물의 정상적인 연관관계를 말하는 것이고 5행의 상승, 상모는 정상이 아닌 연관 관계를 말하는 것이다. 즉 5행의 상생, 상극이 동의학에서 생리적인 관계를 설명한다고 하면 상승, 상모는 병리적인 형상을 설명한다고 말할 수 있다.
5행의 상승, 상모는 다 같이 5행의 어느 하나가 편승되거나 편쇠되어 그들 사이에 불균형이 생겼을 때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5행의 상승, 상모는 상극관계에서만 있고 상생관계에서는 없다.여기서 상승의 승은 유리한 기회를 이용하여 습격한다는 뜻이며 상모의 모(侮)는 업신여긴다는 뜻이다.
즉 5행의 상승은 상극관계에서 제약하는 자가 제약을 받는 자에 대하여 이상적으로 정상보다 더 세게제약하는 상호관계를 말하며 상모는 5행의 상극관계에서 제약을 받던 자가 제약을 하던 자에 대하여 반대로 제약하는 관계를 말한다.
실례로 목은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금극목으로서 금에 의하여 제약을 받고 목극토로서 토를 제약한다.그러나 목이 비정상적으로 편승되거나 편쇠되어 정상적인 관계가 파괴되면 상승, 상모의 관계에 놓인다. 즉 목이 편승되면 목은 토에 대해서는 상승하고 금에 대해서는 반대로 제약하는 즉 상모관계에 놓인다.
반대로 목이 편쇠되면 금은 목에 대하여 상승하고 토는 목에 대하여 상모하는 관계에 놓인다. 동의학에서 여러 가지 병리과정은 5행의 상승, 상모에서와 같이 생길 수 있으며 진행될 수 있다.그러므로 치료예방법도 이와 같은 발생 병리를 정확히 파악한 기초 위에서 발생기전에 따르는 정확한 치료예방법을 써야 한다.
실례를 들면 목 즉 간에 병이 생겼을 때에는 목극토의 상승, 상모의 상호관계에따라 토인 위나 비에 병이 옮아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간병을 치료하는 초기부터 위나 비를 잘 보호하는 대책을 세우면서 치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해야 한다.
『동의보감』 잡병편에 있는 ‘수준이 높은 의사는 병나기 전에 치료한다’에서 “간에 생긴 병은 비에 잘옮아간다는 것을 미리 알고 먼저 비를 든든하게 하는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한 것은 목극토에서 상승 관계가 자주 있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3) 5행의 응용
(1) 해부, 생리 부분에서 5행의 응용
우리 몸에서 각 장기 계통들은 5행설에 기초하여 서로 밀접히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한다. 몸에서 각장기 계통들이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것이 다 타당할 수는 없다. 그러나 동의학의 우수한 내용들을 과학적으로 해명하며 동의학적 치료예방법을 원만히 하기 위해서는 이것을 일정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옛사람은 5행의 5가지 물질들의 특성과 각 장기 계통들의 특성들 그리고 환자의 몸에 나타나는 색들,동약의 색과 맛 기타 여러 가지 사물과 현상들의 특성을 서로 비슷하게 결부시켜 생각하였다.
뿐만 아니라 오랜 임상 활동 과정에서 거둔 성과들에 기초하여 5행과 각 장기 계통 기타 여러 가지 사물들의 밀접한 연계를 같이 종합하여 놓고 이것을 동의학의 각 부문에서 이용하였다. 몇 가지 실례를 들어 설명한다.
ㅇ 5행에서 수생목은 수가 목을 자양하며 조장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생목의 관계를 5장에서 찾아보 면 ‘수’는 신장이고 ‘목’은 간장이므로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신장이 간장을 잘 자양하고 조장시켜야 간장 이 자기의 기능을 원만히 수행할 수 있다는 것으로 된다.
그런데 신장이 간장을 원만히 자양하고 조장시 켜 주지 못하면 간장에 병이 생길 수 있다. 즉 번조(煩燥)가 있고 잠을 이루지 못하며 머리와 얼굴이 후끈후끈 달고 배가 자주 고프거나 뱃속이 좋지 못하며 우리 선조들은 수천년의 임상경험을 토하여 간에 허열(虛熱)이 있을 때 신음을 보하는 약을 쓰면 좋은 치료 효과를 본다는 것을 경험하였다.
그러나 앞으로 이것을 과학적으로 해명할 때 그 본태가 무엇이겠는지 아직 짐작하기는 어려우나 동의학적으로 볼 때는 이 이론이 옳은 것으로 믿고 있다.
ㅇ 5행의 목에 간장, 담, 눈, 힘줄, 노여움 등을 소속시키고 있는데 이것은 간장에 생긴 생리, 병리적 현상 들이 곧 이와 같은 장기계통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간장이 장애되어 야 맹증 등 눈에 여러 가지 변화가 생겼을 때에는 눈과 함께 간을 동시에 치료해야 잘 나을 수 있다.
ㅇ 5행의 수에는 신장과 짠 맛 등을 소속시키고 있는데 이것은 신장이 몸에서 오줌을 배설하는 기능을하므로 수분대사에 주요하게 참가하는 장기라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동의학에서는 신이 신수를 각 장기특히 간장에 잘 보내 주어야 각 장기의 기능이 원만할 수 있다고 생각한 데로 부터 신을 5행의 ‘수’에 소속 시켰다. 뿐만 아니라 동약을 소금물에 담갔다가 볶아 쓰는 것도 약의 작용이 신경과 몸의 하부에 작용 하도록 하고 굳은 것을 물러지게 하자는 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5행의 이와 같은 연관관계를 잘 이용하여 병의 발생발전 과정을 정확히 밝히고 그에 기초한 동의학적 치료를 하여야 좋은 치료 효과를 거둘 수 있다.
(2) 병리에서 5행의 응용
동의학에서는 5행설에 기초하여 병의 진행과정을 설명하는데 이것은 치료를 원만히 하는데 일정한 도움을 준다. 동의학에서 5행설에 기초하여 본 데 의하면 병은 주요하게 다음과 같은 4가지형식으로 진전된다고 설명한다.
즉 상생관계에서도 서로 병이 파급되는 경우와 상극관계에서 상승, 상모하는 형식으로 병이 진전될 수 있다고 본다. 첫째로 상생관계에서 어머니 장기계통에서 발생한 병이 아들 장기계통에 파급되는 형태, 예를 들면 처음에 비위에 병이 생긴 것이 폐의 병으로 진전하는 경우를 말할 수 있다.
둘째로 상생관계에서 아들 장기계통에서 발생한 병이 어머니 장기계통에 파급되는 형태, 즉 첫째형태 와는 반대의 경우를 말한다. 셋째로 상극관계에서 제약하는 자로부터 제약받는 자에로 파급되는 형태 즉 상승관계로 진전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간병이 비위에까지 진전하였을 경우를 들 수 있다.
넷째로 상극관계에서 제약을 받는 자로부터 제약하는 자에로 파급되는 형태 즉 상모관계로 진전하는것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셋째형태와는 반대의 경우를 말한다. 어느 하나의 장기계통에만 병이 있고 다른 장기 계통에는 파급되지 않았을 경우를 자병(子病)이라고 한다.
그러나 5행설에 기초한 이러한 질병형태는 한개의 공식이 아니기 때문에 임상에서 모든 병적 과정에 기계적으로 적용할 수는 없다. 동의임상에서는 대개 구체적인 경우마다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은 상호관계를 잘 이용하여야 한다. 동의학의 병증치료에서 5행을 실제적으로 응용하는 실례를 들면 심병 때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ㅇ 심경 또는 심장 자체에 생긴 병변이면서 다른 장기에 파급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 즉 불면증, 속이 답답하고 번열이 나는 것, 가슴이 울렁거리고 마음이 불안한것, 변비, 입과 혀가 허는 것 등인데 이 가운데서 환자의 주되는 호소는 잠을 잘 자지 못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상의 증후들을 분석해 보면 모두 심장에 장애가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증상들이지 다른 장기 들과 관계되는 증상들은 아니다. 또한 위의 증상들은 ㅇ 비가 허하여 생긴 비병이 심장에까지 옮아갔을 때에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
즉 처음에는 밥맛이 없어지고 권태감과 무력감이 있다가 다음에 가슴이 두근거리고 마음이 불안하며,잠을 들지 못하고 기억력이 약화되어 잘 잊어먹는 것 등의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 이상의 증상들을 분석해 보면 처음에 나타난 증상들은 비가 허하여 나타난 것들이다.
그리고 다음에 나타 난 증상들은 심화가 지나치게 성(盛)하여 나타난 것들인데 심화가 지나치게 성한 것은 비가 허하여 심을 자양하지 못하고 조장시켜 주지 못하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이것을 5행설에 기초하여 분석하면 화생토에서 토에 생긴 병이 화에 옮아간 것으로 보게 된다.
말하자면 아들 장기계통의 병이 어머니 장기계통에까지 옮아간 것이다. 그러므로 이런 때에는 병리과정에 기초하여 먼저 귀비탕(歸脾湯)을 써서 비가 허한 것을 보하는 동시에 심혈을 보하고 심열(心熱)을 사하며 정신을 안정시키는 원칙에서 치료해야 한다.
그래야 비의 기능이 정상화되어 비가 심을 잘 자양하고 조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비가 허해지지 않아 심기를 침범하는 일이 없게 되므로 심병은 점차낫게 된다.
4) 음양과 5행의 상호관계
동의학에서 음양은 몸에서 상대적이며 혹은 상반되는 사물과 현상들의 상호관계를 말한다. 음양의 상대적인 균형이 파괴되면 병이 생기는데 이때에는 파괴된 음양의 불균형 상태를 균형잡히도록 하는 원칙에서 치료해야 한다. 동의학에서의 5행은 몸에서 각 장기계통들의 밀접한 연계를 말하는 것이다.
각 장기 계통들이 서로 제 약하거나 서로 자양하고 조장시키는 상호관계가 파괴될 때에는 병이 생긴다. 따라서 모든 병을 치료할때에는 5행설에 기초한 밀접한 연계를 잘 고려하여 치료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동의학에서 생리, 병리 등 모든 문제를 음양 하나만으로도 설명할 수 없고 5행 하나만으로도 설명할 수 없으며 오직 음양오행에 의해서만 보다 원만히 설명할 수 있다고 본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즉 간(목)이 장애되었을 때에는 많은 경우 메스껍고 토하며 소화가 되지 않는 등 비위가 장애된 증상들이 나타난다. 이것은 5행의 목극토로써 설명할 수 있다.
즉 목이 비정상적으로 토를 세게 제약하기 때문에 토하게 되고 메스꺼우며 소화가 되지 않는다고 본다. 그러므로 치료는 간(목)을 사하고비(토)를 보하는 원칙에서 해야 한다. 만약 비위(脾胃)가 허하여 폐까지 약해지면 기침이 나고 기운이 없어지며 밤에 잘 때 식은땀이 나는 등의 증상들이 생긴다.
이것은 5행의 토생금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러 므로 이런 때에는 비위를 보하여 폐를 든든하게 하는 원칙에서 치료해야 한다. 그러나 앞에서 쓴 바와 같이 동의학에서 병리과정을 5행설 하나만으로 다 해결할 수는 없다.
즉 모든 병리 과정은 음양의 상대적 균형의 파괴로 생기기 때문에 앞에서 예를 든 간과 비위, 비위와 폐의 병변도 결국은 음증, 양증, 허증,실증, 한증, 열증 등을 정확히 진단하고 그에 기초하여 치료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모든 병은 종국적으로 음증인가 양증인가에 따라서 또 5행에 기초한 병의 진행 과정이 달라짐에 따라서 쓰는 약물과 치료방법과 치료의 선후차 문제가 달라지게 된다.이와 같은 동의학의 경험을 옳게 찾아서 그 우수한 점을 현대 과학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