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傷酒成泄, 骨立不能飮食, 鹿茸灸, 肉從蓉各一兩, 射香五分, 爲末, 陳白米, 飯和丸, 梧子大, 米飮下, 五十丸.《普濟》 飮酒中風, 身熱, 頭痛如破, 防風通聖散, 加黃連, 白, 煎服, 立效. 勿用麻黃, 桂枝, 發散之劑. ○ 술에 상하여 설사를 하여 뼈만 앙상하게 남고 음식을 먹지 못할 때에는 녹용(구운 것)ㆍ육종용(잿불에 묻어 구운 것) 각 1냥, 사향 5푼을 가루 내어 묵은 백미로 지은 밥으로 반죽하여 오자대로 환을 만든다. 미음으로 50알씩 먹는다.《보제》 술을 먹은 후 풍에 맞아 몸에 열이 나며 깨질 듯한 두통이 있을 때에는 방풍통성산에 황련ㆍ총백을 넣고 달여 먹으면 곧 낫는다. 마황ㆍ계지 등 발산제를 써서는 안된다.
년도
1790
기타
4(4)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