浮遲無力, 氣虛血衰, 陰陽不交, 或外邪所感, 脾胃痰盛, 肝木克脾土, 寒熱往來似, 雙解飮子(門), 虛勞裡急, 腹中痛, 夢泄, 四肢疼, 手足煩熱, 咽乾口燥, 小建中湯, 或自汗不止加黃, 血虛加當歸(勞門). 부지(浮遲)하면서 무력(無力)할 때 기가 허하고 혈이 쇠약하여 음양이 교류하지 않으며, 혹은 외사(外邪)에 감촉되어 비위(脾胃)의 담(痰)이 왕성하고 간목(肝木)이 비토(脾土)를 극하여 한열이 왕래하는 것이 학질과 유사한 증상에는 쌍해음자(학문)로 치료하고, 허로(虛勞)로 뱃속이 당기고 뱃속이 아프고 꿈꾸다가 정액을 배설하고 사지가 시큰거리면서 아프고 수족이 열나서 괴로워하며 목구멍이 마르고 입이 마르는 증상에는 소건중탕으로 치료하며, 간혹 자한(自汗)이 그치지 않는 경우에는 황기를 더하고, 혈이 허한 경우에는 당귀를 더한다.(노문)
년도
조선시대
기타
1책/ 131면/ 14.5cm×24.5cm/ 12행30자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