黃根莖皆旁無互, 獨上獨下, 其根中央黃, 次層白, 外層褐, 顯然三層界分明, 又其味甘, 其氣微溫, 直入中土而行三焦, 故能內補中氣, 則本經所謂補虛, 別錄所謂補丈夫虛損, 五羸瘦, 益氣也.
能中行營氣, 則本經所謂主癰疽, 久敗瘡, 排膿止痛, 大風癩疾, 別錄所謂逐五臟間惡血也.
能下行衛氣, 則本經所謂五痔鼠, 別錄所謂婦人子臟風邪氣, 腹痛泄利也.
癰疽篇寒邪客於經絡之中, 則血泣不通, 衛氣歸之, 不得復反, 故癰腫.
寒氣化爲熱, 熱勝則腐肉, 肉腐則爲膿.
素問風論風氣與太陽俱入, 行諸脈, 散於分肉, 與衛氣相干, 其道不利, 故使肌肉憤而有瘍, 衛氣有所凝, 故肉有不仁, 營氣熱不淸, 故使其鼻柱壞而色敗, 名曰風.
生氣通天論營氣不從, 逆於肉理, 乃生癰腫.
歷歷明徵, 莫非營衛之病, 而營衛所以屬三焦, 三焦所以屬中土者, 靈樞營衛生會篇上焦出於胃上口, 貫膈咽, 布胸中而發呼吸而行營衛, 是爲中氣, 中焦亦胃中出上焦之後, 此所受氣, 泌糟粕, 蒸津液, 上注於肺, 乃化爲血, 是爲營氣, 下焦別腸, 濟泌別汁, 注於膀胱, 是爲衛氣.
三者皆本於水穀, 是三焦爲營衛之本, 脾胃之蒸腐變化, 又爲三焦之本.
黃一源三派, 濬三焦之根, 利營衛之氣, 故凡營衛間阻滯, 無不盡通, 所謂源淸流自潔也.
黃는 곁가지나 곁뿌리 없이 줄기 하나만 상하로 뻗는다.
뿌리는 가운데가 노랗고 다음 층은 햐얗고 바깥은 갈색으로서, 삼층으로 뚜렷하게 나뉜다.
그리고 맛은 달고 기가 약간 따뜻하다[微溫].
그래서 황기는 바로 중앙 土로 들어갔다가 三焦로 가며 내부 中氣를 보한다.
이것을 《本經》에서는 〔補虛〕라고 하였고, 《別錄》에서는 〔補丈夫虛損五勞羸瘦益氣〕라고 하였다.
그리고 황기는 안으로 營氣를 보낸다.
이것을 《本經》에서는 〔主癰疽久敗瘡排膿止痛大風癩疾〕이라 하였고, 《別錄》에서는 〔逐五臟間惡血〕이라 하였다.
그리고 황기는 衛氣를 하행한다.
《本經》에서는 〔五痔鼠瘻〕라 하였고, 《別祿》에서는 〔婦人子藏風邪氣腹痛洩利〕이라 하였다.
《靈樞癰疽篇》 : 寒邪가 經絡 속으로 들어오면 혈액순환을 방해하여 소통이 안 되며 衛氣가 돌아가버리고 다시 오지 않는다.
그래서 癰腫이 된다.
寒氣는 熱로 변하고 熱이 심해지면 肉이 썩어서 고름이 된다.
《素問風論》 : 風氣가 太陽으로 들어와서 여러 脈 兪穴로 돌아다니고 分肉으로 퍼져서 衛氣와 싸우면 길[道]이 순조롭지 못하고 肌肉이 쌓여서 瘍이 된다.
衛氣가 응체하면 肉이 不仁한다.
營氣에 熱이 생기면 썩고, 이것이 깨끗해지지 않으면 콧마루가 내려앉고 색깔이 변한다.
이것을 風(려풍:문둥병)이라 한다.
《生氣通天論》 : 營氣가 순행하지 않고 肉理에 거꾸로 흐르면 癰腫이 생긴다.
이처럼 낱낱히 밝히고 증명하면 전부 營衛 질병이다.
營衛는 三焦에 속하고 三焦는 中土에 속한다.
《靈樞營衛生會篇》에서 : ⑴ 上焦는 胃 윗 구멍으로 나와서 횡격막을 뚫고 식도를 따라 올라가서 가슴 속으로 퍼진다.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호흡으로 營衛를 순행하는 것이다.
이것이 中氣다.
⑵ 中焦도 상초 뒤 胃中에서 나오는데, 여기서 氣를 받아 음식물 찌꺼기를 내보내고 진액을 쪄올려서 肺로 대주는데[上注於肺], 이것이 변해서 血이 된다.라고 하였다.
이것이 營氣다.
⑶ 下焦는 腸을 돌아서 汁을 가려서 내보내고 膀胱에 대준다.라고 하였다.
이것이 衛氣다.
이상 세 가지는 모두 水穀에서 근본하며, 三焦는 營衛의 근본이고, 脾胃 소화작용도[蒸腐變化] 삼초의 근본이다.
黃는 한 근원에서 세 갈래로 나뉜다.
이것이 三焦의 근원을 깊게 하고 營衛의 氣를 순조롭게 하면서 營衛에 막히고 체한[阻滯] 것을 모조리 소통한다.
이것을 근원을 깨끗이 하면 지류도 저절로 맑아진다.라고 하는 것이다.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