得效中風則脈浮ㆍ身溫ㆍ口多痰涎, 中氣則脈沈ㆍ身凉ㆍ口無痰涎, 中風而以中氣藥治之, 亦無所傷, 中氣而以中風藥投之, 禍不旅踵. 先用蘇合香元, 次用七氣湯加石菖蒲. ○回春暴怒氣逆, 而暈倒, 用薑湯, 灌救. 濟衆星香正氣散風門. ○入門虛者, 八味順氣散. 實者, 四七湯.《寶鑑》 《득효》 중풍의 경우는 맥이 부(浮)하고, 몸이 따뜻하며, 입에서 담연이 많이 나온다. 중기(中氣)의 경우는 맥이 침(沈)하고, 몸이 차가우며, 입에 담연이 없다. 중풍일 때는 중기에 쓰는 약으로 치료해도 상하지 않으나, 중기일 때 중풍에 쓰는 약으로 치료하면 바로 화를 입게 된다. 이 때는 먼저 소합향원을 쓰고, 다음에 칠기탕에 석창포를 넣어 쓴다. ○ 《회춘》 갑자기 성을 내어 기가 거슬러 올라 어지러워하며 쓰러지는 것이다. 생강 달인 물을 떠먹여 구해낸다(《제중》 성향정기산. 〈풍문〉). ○ 《입문》 허한 때는 팔미순기산을 쓰고, 실한 때는 사칠탕을 쓴다. 《보감》
년도
1868
기타
12(6)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