藥性論云, 君.
味甘, 能塡骨髓, 明耳目, 利五藏, 調六府, 利關節.
治經絡中結氣, 使人健, 少睡, 益心力.
藍汁, 止心煩躁, 解蠱毒.
○日華子云, 吳藍, 味苦甘, 冷, 無毒.
治天行熱狂, 丁瘡遊風, 熱毒腫毒, 風疹.
除煩止渴, 殺疳, 解毒藥毒箭金瘡血悶, 蟲蛇傷, 毒刺, 鼻洪, 吐血, 排膿.
寒熱頭痛, 赤眼, 後血運, 解金石藥毒, 解小兒壯熱, 熱疳.
○陳藏器云, 蘇云, 藍造澱.
按澱多是槐藍蓼藍作者入藥, 勝.
槐藍澱, 寒, 傅熱瘡, 解諸毒, 滓傅小兒禿瘡熱腫.
初作上沫, 堪染如靑黛, 解毒小兒丹熱, 和水服之.
藍有數種, 蓼藍最堪入藥, 甘藍北人食之, 去熱黃也.
又云靑布, 味鹹, 寒.
主解諸物毒, 天行煩毒, 小兒寒熱丹毒, 竝水漬取汁飮.
燒作黑灰, 傅惡瘡經年不差者, 及炙瘡止血, 令不中風, 水和蠟熏惡瘡, 入水不爛, 熏嗽, 殺蟲, 熏虎狼咬瘡, 出水毒.
又於器中燒, 令煙出, 以器口熏人中風水惡露等瘡, 行下得惡汁, 知痛痒, 差.
又入諸膏藥, 療丁腫狐刺等惡瘡.
又浸汁和生薑煮服, 止亂.
眞者入用, 假者不中.
○圖經曰, 藍實今處處有之, 人家蔬圃中作畦種蒔.
三月四月生苗, 高三二尺許.
葉似水蓼, 花紅白色, 實亦若蓼子而大黑色.
五月六月採實.
有蓼藍但可染碧而不堪作澱, 卽醫方所用者也.
약성론.
군약으로 쓴다.
맛이 달다.
골수를 메우고, 귀와 눈이 밝아지고, 오장을 순조롭게 하고, 육부를 조화하고, 관절을 잘 움직이게 한다.
경락 속에 뭉친 기를 치료하여 사람을 튼튼하게 하고, 잠을 줄이고, 심장의 힘을 보탠다.
쪽의 즙은 심장의 번조함을 그치고 고창을 일으키는 독을 푼다.
○일화자.
오나라 쪽은 맛이 쓰면서 달고, 성질이 차갑고 무독하다.
전염성 열성 정신이상과 뿌리 깊은 부스럼과 유주하는 풍사, 열독과 종독, 풍진을 치료한다.
갑갑함을 없애고, 갈증을 그친다.
감병을 줄인다.
독약과 독화살, 외상과 혈액으로 인한 번민을 푼다.
벌레와 뱀에 의한 손상, 독가시, 코피, 토혈을 치료하고, 배농한다.
한열이 수반하는 두통과 충혈된 눈, 산후 출혈로 인한 어지럼증을 치료한다.
광물성 약물의 독을 해소하고, 소아의 고열과 열을 수반하는 감병을 치료한다.
○진장기.
소씨는 이르기를, 숭람으로 침전물을 만든다고 하였다.
침전물은 괴람과 요람으로 만든 것을 약으로 넣는 것이 좋다.
괴람의 침전물은 성질이 차가와서 열이 나는 부스럼에 붙여서 여러 독을 해소하고, 찌꺼기는 소아의 머리빠지는 부스럼과 열성 종기에 붙인다.
또 청포는 맛이 짜고 성질이 차갑다.
여러 물질의 독과 유행성 갑갑함을 유발하는 독과 소아의 한열을 유발하는 단독을 치료한다.
물에 담갔다가 즙을 마신다.
태워서 검은 재를 만들어 여러해 낫지 않는 악창에 붙이고 창상에 뜸을 떠서 지혈한다.
중풍에 걸리지 않게 하고, 물과 납을 섞어서 악창에 훈증하면 물에 들어가도 썩지 않는다.
기침에도 훈증하고, 벌레를 죽이며, 호랑이와 이리에 물린 상처를 훈증하면 물독이 빠져 나온다.
그릇에 넣고 태워서 연기를 나오게 하여 중풍과 물 악로 등 창상에 훈증하여 악즙이 내려오게 하면 통증과 가려움이 낫는다.
또 여러 고약에 넣어서 정종과 여우 가시 등 악창을 치료한다.
담근 즙과 생강을 달여서 복용하면 곽란을 그친다.
진품을 약에 넣고, 가품은 쓰지 않는다.
○도경.
쪽의 열매는 현재 도처에 있다.
인가에서 채소밭에 두둑을 만들어 심는다.
음력 3,4월에 싹이 나오고, 높이는 2,3척 정도다.
잎은 수료와 비슷하고, 꽃은 홍백색이다.
열매는 여뀌 씨와 비슷하며 크고 검다.
음력 5,6월에 열매를 채취한다.
요람은 푸르게 염색하는 데에만 쓰고 침전물은 만들지 않는다.
의원 처방에서 쓰는 것이다.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