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한방식품 백과사전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국화전
  • 국화전

    식품명 국화전
    식품코드 100497
    분류 부식 > 구이류 > 전
    발행기관 한국한의학연구원
    학술지명 한의학고전DB
    권호 宜彙續編 > 諸病 > 瘡

h2mark 문헌(논문)명

의휘(宜彙)

h2mark 저자

금리산인 (錦里散人)

h2mark 효능/처방전

○瘡, 無定處, 其狀黃疱, 中或紫黑色.
初發, 必先痒後痛, 先寒後熱, 四肢沈重, 頭疼心昏, 眼花.
甚則牙關急, 嘔吐.
以針刺瘡, 無血不痛, 是其候也.
蓋膏粱積熱, 及自死六畜禽獸肉毒所, 或感天地暴冷之氣而發.
急以艾灸之, 針四邊, 皆出血, 外付內服.
取心下肉, 貼上, 半日易.
又班猫一箇, 捻破, 以針刺, 上封之.
又蒼耳莖葉燒灰, 醋付之.
又白狗屎絞汁服, 滓付當處.
又馬齒和人頭垢, 付.
又菊花葉取汁, 飮一升, 宰付之.
又紫金丁, 淡酒和服, 外以水磨汁付.
又隔蒜灸, 極效.
又疫死肉毒發, 桐油服.
又白礬鎔化, 作丸菉豆大, 朱砂爲衣, 每丸, 白七八根煎水送下, 汗出, 立效.
○정창은 생기는 곳이 일정하지 않으며 그 모양은 누런 수포가 생기는데, 속은 자흑색을 띠기도 한다.
처음 생겼을 때는 반드시 먼저 가렵다가 나중에 아프고 먼저 추웠다가 나중에 열이 나며 사지가 무겁고 머리가 아프고 정신이 혼미하며 눈에 꽃이 보인다.
심한 경우에는 이를 악다물고 구토를 한다.
침으로 창을 찔렀을 때 피가 나오지도 않고 아프지도 않은 것은 바로 정창의 징후이다.
대개 기름지고 맛있는 음식을 먹어서 쌓인 열과 저절로 죽은 가축이나 새, 짐승의 육독(肉毒)으로 탈이 나거나 혹은 천지의 사나운 기운에 감촉되어 생긴다.
급히 쑥으로 뜸을 뜨고 사방 주위에 모두 정창이 생긴 주변을 침으로 찔러 모두 피를 뽑아낸 다음 붙이는 약과 먹는 약을 함께 쓴다.
말똥구리 뱃살을 정창이 생긴 곳에 붙인 뒤 반나절이 지나면 바꾸어 붙인다.
또는 반묘 1개를 주물러서 으깬 다음 헐은 부위를 침으로 찌르고 그곳에 붙인다.
또는 창이의 줄기와 잎을 태운 재를 식초에 개어서 붙인다.
또는 흰 개의 똥을 짜서 즙을 내어 마시고 그 찌꺼기는 환처에 붙인다.
또는 마치현과 사람 머리의 때를 섞어서 찧은 다음 붙인다.
또는 국화잎에서 즙을 내어 1되를 마시고 그 찌꺼기를 붙인다.
또는 자금정을 연한 술에 타서 복용하고 겉에는 자금정을 냉수에 갈아 즙을 내어 붙인다.
또는 격산구법(隔蒜灸法)을 쓰면 극히 효험이 좋다.
또한 역병으로 죽은 동물의 육독으로 생긴 경우에는 오동나무 기름을 복용한다.
또는 백반을 녹여서 녹두만 하게 환을 빚어 주사로 겉을 입혀서 10환씩 총백 7-8뿌리를 넣고 달인 물로 먹고 땀을 내면 바로 효험을 본다.

h2mark 년도

1871

h2mark 기타

5권 5책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2
동의보감 46
한방백과 10
학술정보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1
역사정보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