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한방식품 백과사전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국화전
  • 국화전

    식품명 국화전
    식품코드 100497
    분류 부식 > 구이류 > 전
    발행기관 한국한의학연구원
    학술지명 한의학고전DB
    권호 卷70 編輯外科心法要訣 > 膝部 > 鶴膝風

h2mark 문헌(논문)명

의종금감_외과심법요결(醫宗金鑑_外科心法要訣)

h2mark 저자

오겸 (吳謙)

h2mark 효능/처방전

此證一名游膝風, 一名鼓風, 痢後得者爲痢風.
單生者輕, 雙生者最重.
因循日久, 膝腫粗大, 上下股脛枯細.
由足三陰經虛, 風寒濕邪乘虛而入爲是病也.
膝內隱痛寒勝也, 筋急而攣風勝也, 筋緩無力濕勝也.
初腫如綿, 皮色不變, 亦無熱, 疼痛日增, 無論單雙, 俱宜服五積散汗之.
次服萬靈丹溫散之, 外敷回陽玉龍膏.
常服換骨丹, 或丸, 以驅其邪.
若日久不消, 勢欲潰者, 宜服獨活寄生湯, 或大防風湯補而溫之, 痛甚加乳香.
潰後時出白漿, 浮皮雖腐, 腫痛仍前, 不可用蝕藥, 只宜芙蓉葉ㆍ菊花葉各五錢, 硏末, 大麥米飯拌均貼之, 亦可止疼.
或用豆腐渣蒸熱捏作餠, 貼之亦可.
此證係外證中之敗證也, 收功甚難.
이 증상은 유슬풍(游膝風)이라고도 하고 고추풍(鼓風)이라고도 하는데, 이질(痢疾)을 앓고 나서 이 증상에 걸린 것은 이풍(痢風)이라고 한다.
한쪽에만 생긴 것은 가벼운 증상이고, 양쪽에 생긴 것은 매우 심각한 증상이다.
그대로 방치하여 오래두면 무릎이 크게 붓고 넓적다리[上股]와 종아리[下脛]가 비쩍 마르게 된다.
족삼음경(足三陰經)이 허하여 풍사(風邪)ㆍ한사(寒邪)ㆍ습사(濕邪)가 허한 틈을 타고 들어와 생긴 것이 이 병이다.
무릎 속이 은은히 아픈 것은 한사(寒邪)가 우세한 것이고, 근맥(筋脈)이 당기고 오그라드는 것은 풍사(風邪)가 우세한 것이며, 힘줄이 늘어져 힘이 없는 것은 습사(濕邪)가 우세한 것이다.
초기에는 솜처럼 무르게 부어오르고 살갗 색은 변하지 않으며 화끈거리지도 열이 나지도 않고 욱신거리고 아픈 것은 날로 심해지는데, 한쪽에 발생했는지 양쪽에 발생했는지를 불문하고 모두 오적산(五積散)을 복용하여 땀을 내야 한다.
그런 다음 만령단(萬靈丹)을 복용하여 따뜻하게 흩어주고, 겉에는 회양옥룡고(回陽玉龍膏)를 바른다.
늘 환골단(換骨丹)이나 이기환(丸)을 복용하여 그 사기를 몰아내야 한다.
오래되어도 사그라지지 않고 터지려 하는 경우는 독활기생탕(獨活寄生湯)이나 대방풍탕(大防風湯)을 복용하여 보하면서 따뜻하게 해 주어야 하는데, 통증이 심할 때는 유향을 더한다.
터진 뒤에 때로 흰 좁쌀죽 웃물 같은 것이 나오고 부어서 들떴던 살갗[浮皮]은 썩더라도 붓고 아픈 것이 여전하다면 삭이는 약[蝕藥]을 써서는 안 되고, 다만 부용잎과 국화잎 각 5돈을 가루 내어 보리밥에 고루 개어 붙여도 통증을 멎게 할 수 있다.
혹은 콩비지를 뜨겁게 찐 뒤 떡을 만들어 붙여도 좋다.
이 증상은 패증(敗證)에 속하는 외증(外證)이어서 효과를 거두기가 매우 어렵다.

h2mark 년도

1742

h2mark 기타

권61-76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2
동의보감 46
한방백과 10
학술정보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1
역사정보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