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事消渴, 必小便甛, 以物推之, 淋醋酒作脯法, 須更卽甛. ○丹心三消, 多屬血虛亡津, 四物湯血門爲主. 上, 加人蔘ㆍ麥門冬ㆍ五味子ㆍ天花粉ㆍ牛乳ㆍ生地黃汁ㆍ藉汁. 酒客, 生葛根汁. ○中, 加知母ㆍ石膏ㆍ寒水石ㆍ滑石. ○下, 加知母ㆍ黃栢ㆍ熟地黃ㆍ五味子. ○綱目食症, 善食而瘦, 治同消中. ○本事消渴與脚氣相反. 脚氣壅疾, 消渴宜疾. 春夏陽上, 故壅疾發. 秋冬陽下, 故宜疾發. ○綱目內經曰, 肺消者, 飮一二, 死. ○消渴之餘, 傳爲脹滿ㆍ癰疽及强中, 皆不治. ○千金禁酒色, 忌及. ○東垣忌南星ㆍ半夏, 燥藥.《寶鑑》 《본사》 소갈에는 반드시 소변이 달다. 이것은 엿ㆍ식초ㆍ술에 담가서 포를 만들면 잠시 후 단맛이 나는 이치로 미루어 알 수 있다. ○ 《단심》 3가지 소갈은 대부분 혈이 허하여 진액이 없어져서 생긴다. 사물탕(〈혈문〉)을 주로 써서 치료한다. 상소에는 인삼ㆍ맥문동ㆍ오미자ㆍ천화분ㆍ우유ㆍ지황생즙ㆍ연근즙을 더 넣어 쓴다. 술꾼은 갈근 생즙을 먹는다. ○ 중소에는 지모ㆍ석고ㆍ한수석ㆍ활석을 더 넣어 쓴다. ○ 하소에는 지모ㆍ황백ㆍ숙지황ㆍ오미자를 더 넣어 쓴다. ○ 《강목》 식역증은 음식을 잘 먹으면서도 몸이 여위는 것인데, 치료는 소중과 같이 한다. ○ 《본사》 소갈과 각기는 서로 반대되는 병이다. 각기는 막히는 병이고, 소갈은 새는 병이기 때문이다. 봄ㆍ여름에는 양기가 상승하기 때문에 막히는 병이 생기고, 가을ㆍ겨울에는 양기가 하강하기 때문에 새어 나가는 병이 생긴다. ○ 《강목》 《내경》에 폐소는 마신 물의 양보다 소변이 2배로 나오는 것인데, 죽는다.라고 했다. ○ 소갈이 변하여 창만ㆍ옹저ㆍ강중이 되었을 때는 모두 치료하지 못한다. ○ 《천금》 술과 성생활을 금하고, 짠 것과 국수를 삼가야 한다. ○ 《동원》 남성ㆍ반하와 같은, 성질이 조한 약은 쓰지 말아야 한다. 《보감》
년도
1868
기타
12(6)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