局方疎導三焦, 快氣潤腸. 半夏()ㆍ角(灸去皮弦子)ㆍ郁李仁(去殼末) 各二兩, 木香ㆍ檳ㆍ枳殼ㆍ杏仁ㆍ靑皮 各一兩. 右末, 別以角四兩浸漿水, , 熬膏, 去滓, 入蜜少許和丸, 如梧子. 空心, 薑湯下五七十丸. ○瑞竹氣門, 木香檳丸, 治濕熱氣滯痛. 大黃 四兩, 黑丑頭(末)ㆍ黃芩 各二兩, 木香ㆍ檳ㆍ黃連ㆍ當歸ㆍ枳殼ㆍ靑皮ㆍ陳皮ㆍ香附子ㆍ蓬朮ㆍ黃栢 各一兩. 右末, 水丸, 如梧子, 溫水下五七十丸.《寶鑑》 《국방》 삼초를 소통시켜 기를 잘 통하게 하고 장(腸)을 적셔 준다. 반하국ㆍ조각(연유를 발라 구운 후 겉껍질과 시울을 벗기고 씨를 뺀 것)ㆍ욱리인(껍질을 벗기고 따로 가루 낸 것) 각 2냥, 목향ㆍ빈랑ㆍ지각ㆍ행인ㆍ청피 각 1냥. 이 약들을 가루 낸다. 따로 조각 4냥을 좁쌀죽 윗물에 담갔다가 비비고 주무른 후 졸여서 고약을 만들고 찌꺼기는 버린다. 여기에 꿀을 약간 넣고 반죽하여 오자대로 환을 만든다. 생강 달인 물로 50∼70알씩 공복에 먹는다. ○ 《서죽》 기문에 있는 목향빈랑환은 습열로 기체가 되어 답답하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대황 4냥, 흑축(가루 내어 체로 쳐서 처음 나온 가루를 쓴다)ㆍ황금 각 2냥, 목향ㆍ빈랑ㆍ황련ㆍ당귀ㆍ지각ㆍ청피ㆍ진피ㆍ향부자ㆍ봉출ㆍ황백 각 1냥. 이 약들을 가루 내어 물로 반죽하여 오자대로 환을 만든다. 따뜻한 물로 50∼70알씩 먹는다. 《보감》
년도
1868
기타
12(6)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