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한방식품 백과사전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육즙
  • 육즙

    식품명 육즙
    식품코드 103629
    분류 주식 > 죽류 > 즙
    발행기관 한국한의학연구원
    학술지명 한의학고전DB
    권호 醫宗損益 卷之二. 丑集 > 蟲 > 症治

h2mark 문헌(논문)명

의종손익(醫宗損益)

h2mark 저자

황도연 (黃度淵)

h2mark 효능/처방전

靈樞後以下三四寸熱者, 腸中有蟲, 動則涎下.
○入門眼鼻下靑黑, 面萎黃, 瞼上有幾條, 血絲如蟹爪.
○得效五更心, 牙關强硬, 嘔吐涎沫, 夢中齒, 面色靑黃, 飮食雖多, 不生肌膚, 面白脣紅.《寶鑑》 ○蟲之爲病, 由於化生, 誠爲莫測.
古方雖曰, 由濕ㆍ由熱ㆍ由食滯而生是, 固皆有之矣, 然以常見驗之, 則凡臟氣盛者, 末聞其有蟲, 正以隨食隨化, 蟲自難存, 而蟲能爲患者, 終是臟氣之弱, 行化之遲, 所以停聚而漸致生蟲耳.
然則或由濕熱, 或由生冷, 或由肥甘, 皆可生蟲, 非獨濕熱已也.
然以數者之中, 又惟生冷, 生蟲爲最.
卽如收藏諸物, 但着生水, 或近陰濕, 則最易腐, 非其義乎.
故欲愛養小兒, 極當節其水果, 以防敗脾, 此實緊要之一端也.
至若治蟲之法, 雖當去蟲, 而欲治生蟲之本, 以杜其源, 猶當以溫養脾腎, 元氣爲主, 但使臟氣陽强, 非惟蟲不能留, 亦自不能生也.
余製有溫臟丸方, 最所宜也.《景岳》 ○仲景胃寒, 安蛔理中湯, 入梅三箇.
○心疼, 靜而復煩, 須患復止, 得食而嘔, 又煩, 吐蛔, 此爲蛔厥.
○入門凡蟲聞甘則起, 聞酸則吐, 聞苦則定, 聞辣則頭伏而下.
○得效上半月, 蟲頭向上, 易治.
下半月, 蟲頭向下, 難治.
先以肉汁及糖蜜食下, 引蟲頭向上, 然後用藥打出.
○諸蟲, 種種靈異, 用藥及灸, 勿令病人知.
○本草凡取蟲作藥之法, 禁聲勿語道.《寶鑑》 《영추》 팔꿈치 뒤쪽 거친 부분에서 아래로 3∼4촌 되는 곳에 열이 나는 것은 장(腸) 속에 충이 있기 때문이며, 움직이면 침을 흘리게 된다.
○ 《입문》 눈자위와 코 아래가 검푸르고 얼굴빛이 누렇게 뜨며, 뺨에 몇 개의 실핏줄이 게 발톱처럼 분명히 나타난다.
○ 《득효》 새벽에 속이 불편하여 이를 악물고 거품을 토하거나 맑은 물을 토하며, 자면서는 이를 간다.
안색이 푸르누렇고 음식을 많이 먹으나 살이 찌지 않으며, 얼굴은 희고 입술은 빨갛다.
《보감》 ○ 충증은 충이 체내에서 끊임없이 화생한 것이므로, 참으로 예측하기 어렵다.
옛날 의서에서는 습ㆍ열ㆍ식체 등의 원인으로 생긴다고 했는데, 이것 모두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상식적으로 관찰해보면, 대체로 오장의 기가 왕성한 사람 중에 충병에 걸렸다는 사람은 들어본 적이 없다.
바로 먹는 대로 소화시키기 때문에 충이 자연히 생존하기 어렵다.
그러나 충으로 병에 걸리는 사람들을 보면, 결국 오장과 기가 약하고, 음식을 소화하는 능력이 더디므로, 몸속에 오랫동안 축적되어 점차 충을 만들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습열로 인해, 또는 날것과 찬 것으로 인해, 또는 기름지고 단 것으로 인해 모두 충을 생기게 할 수 있지만, 습열 한 가지만으로는 불가하다.
그런데 여러 가지 원인 중에서 날것과 찬 것으로 충이 생기는 가능성이 가장 크다.
예를 들어 여러 가지 물건을 쌓아놓고 생수 근처에 두거나 음습한 곳에 놔두면 매우 쉽게 부패하는 것은 당연한 이치 아닌가 그러므로 어린애를 사랑하여 잘 기르고 싶다면, 과일 먹기를 특히 절제시켜 썩은 것을 먹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것은 실제로 중요한 예방법의 하나이다.
만약 충을 치료하는 방법은 마땅히 충을 제거해야 하지만, 충이 발생하는 근본을 다스려 그 원인을 제거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마땅히 비와 신의 원기를 따뜻하게 보양하는 것을 위주로 삼아 장부의 양기가 강성해지게 해야만, 충이 머물 수 없을 뿐 아니라 충이 저절로 생겨날 수도 없게 된다ㅣ.
내가 제조한 온장환이 가장 효과가 좋다.
《경악》 ○ 《중경》 위가 차면 안회이중탕에 매화 3개를 넣어 쓴다.
○ 심통이 잠잠하다가 다시 답답해지고, 아플만하면 다시 멈추며, 음식을 먹으면 토하고, 또 답답하며 회충을 토하는 것이 회궐(蛔厥)이다.
○ 《입문》 충은 단맛을 보면 움직이고, 신맛을 보면 토하며, 쓴맛을 보면 안정되고, 매운맛을 보면 머리를 숙이고 내려간다.
○ 《득효》 보름 이전에는 충이 위로 향하므로 치료하기 쉽고, 보름 이후에는 충이 아래로 향하므로 치료하기 어렵다.
먼저 육즙이나 설탕이나 꿀을 먹어서 충의 머리를 위로 향하게 유인한 후 약을 써서 없애야 한다.
○ 어떤 충은 영리하므로, 쓰는 약물과 뜸을 결코 환자에게 알려서는 안 된다, ○ 《본초》 대체로 충을 잡기 위해 약을 만드는 방법은 소리 내지 않고 말하지 않는 것이다.
《보감》

h2mark 년도

1868

h2mark 기타

12(6)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4
동의보감 42
한방백과 9
학술정보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3
역사정보 1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