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한방식품 백과사전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양위탕
  • 양위탕

    식품명 양위탕
    식품코드 103173
    분류 기호식 > 음청류 > 음료류
    발행기관 한국한의학연구원
    학술지명 한의학고전DB
    권호 依源擧綱 > 內傷飮食十 單方下虛書頭 > 脾胃虛實內傷

h2mark 문헌(논문)명

의원거강(依源擧綱)

h2mark 저자

수경거사 (水鏡居士)

h2mark 효능/처방전

○脾胃虛, 則不能食而瘦, 與食則少食, 不與則不思.
宜人蔘養胃湯, 加桂枝 吳茱 木香.
收胃氣, 淸凉肌表, 三令白朮散助.
肌瘦弱, 飮食不甘, 兼有痰滯, 雲林潤身丸, 凝神散, 蒼朮膏助.
不嗜食, 由下元陽衰, 二神丸大便門.
○傷於飮食, 脾胃虛損, 膈滿, 宜太和丸助.
一切七情所傷, 飮食不思, 食則, 瘦者, 莎一斤, 長流水三日, 茯神四, 去木, 幷末蜜丸彈子大, 白湯晨嚼一丸.
交感丹也.
○脾腎俱虛, 尺寸微細, 雲林潤身丸, 去黃連 枳, 加肉豆久 破故紙 絲子 茴香 肉桂 附子.
○有濕痰臍下, 動氣交濟丹勞, 去山召 乾, 倍薏苡 伏神, 加熟 絲 破故 乾干 附子 肉桂.
又用旣濟丹, 橘皮煎元勞.
○비위가 허하면 음식을 먹지 못하고 마른다.
음식을 주어도 적게 먹고, 주지 않으면 먹을 생각을 하지 않는다.
인삼양위탕에 계지 오수유 목향을 더해 써야 한다.
위기를 수렴하여 피부를 깨끗이 하려면 삼령백출산조조문을 쓴다.
몸이 마르고 힘이 없으며 입이 쓰고 가래가 막혀 있는 경우에는 운림윤신환ㆍ응신산ㆍ창출고조조문를 쓴다.
음식을 먹으려 하지 않는 경우는 하초(下焦)의 원양(元陽)이 쇠약한 때문이니, 이신환대변문을 쓴다.
○음식에 상하여 비위가 허하고 흉격이 그득한 경우에는 태화환조조문을 써야 한다.
칠정에 상하여 음식 생각이 없고 먹으면 흉격이 답답하며 몸이 마르는 모든 경우에는 향부자(香附子) 1근(장류수에 3일 동안 담근다), 복신 4냥을 함께 가루 낸 후 꿀에 반죽하여 탄알만하게 환을 만들고 새벽에 끓인 물과 함께 씹어 먹는다.
이것이 교감단이다.
○비신이 모두 허하여 척촌맥이 모두 미세(微細)하고 지(遲)하며 침(沈)하면 운림윤신환에서 황련 지실을 빼고 육두구 파고지 토사자 회향 육계 부자를 더하여 쓴다.
○배꼽 아래에 습담이 있으면 동기교제단노권문에서 산조인 건지황을 빼고 의의인 복신을 2배로 하고 숙지황 토사자 파고지 건강 부자 육계를 더하여 쓴다.
기제단, 귤피전원노권문을 쓰기도 한다.

h2mark 년도

미상

h2mark 기타

1권 1책(207면/10행24자)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2
동의보감 6
한방백과 14
학술정보
건강정보 1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3
역사정보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