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胃寒, 用干, 如腹痛, 或挾氣, 加吳茱. 調經, 入艾醋, 體薄有汗, 去蒼 麻. 氣虛, 去只角, 加三朮. 若産後, 餘血流入, 遍身肢節腰脚疼痛, 去麻, 加人三 木瓜 桃仁 小茴香, 干煎服. 於寒濕客於經絡, 腰脚疼, 及婦人經不調, 腹痛, 帶下等症. ○熟料五積, 本方, 除白芷 肉桂, 外餘十三味, 用慢火炒, 令色變, 冷, 入桂 芷和勻. 産後寒炅, 去麻, 用烏藥一, 俱周淡醋炒, 過常. 冬月, 感寒無汗, 量用麻黃, 同諸藥乾炒. 半身不遂, 或復麻痺, 及猝中風, 加麝小許. 四肢逆冷嘔吐, 加附子二分. 久虛痺瀉, 每用炒, 陳米一撮, 烏梅一介. 乳癰初作, 加牛膝 生 各三分. 産後及常血氣痛, 加木香 玄胡索 各三分. 産後食肉太早, 宜此方. 痛甚, 加莪朮, 瀉, 加干 附 人三. ○위가 차가우면 건강(잿불에 묻어 굽는다)을 쓰고, 배가 아프거나 사기를 낀 경우에는 오수유를 더하여 쓴다. 월경을 고르게 하려면 애엽과 식초를 넣고, 몸이 약하고 땀이 있는 경우에는 창출 마황을 빼고 쓴다. 기가 허한 경우에는 지각을 빼고 백출 창출 봉출을 더하여 쓴다. 출산 후에 남은 혈이 흘러들어 온몸과 관절ㆍ허리ㆍ다리가 욱신거리며 아픈 경우에는 마황을 빼고 인삼 모과 도인 소회향 생강을 더해 달여 먹는다. 한습이 경락에 침입해 허리와 다리가 쑤시고 아픈 오르는 경우와 부인의 경맥이 고르지 못한 경우, 복통과 대하 등의 증상도 두루 치료한다. ○숙료오적산은 본방에서 백지 육계를 뺀 나머지 13가지의 약재를 약한 불에 색이 변할 정도로 볶아 펼쳐 식힌 후 육계 백지를 넣어 골고루 섞은 것이다. 출산 후 한열이 왕래하는 경우에는 마황을 빼고 오약 1돈을 골고루 묽은 식초에 축여 평상시보다 많이 볶는다. 겨울 감기에 땀이 나지 않는 경우에는 증상에 따라 마황을 사용하되 다른 약재들과 함께 말린 후 볶는다. 반신불수나 회복 후에 마비감 및 졸중풍에는 사향 약간을 더하여 쓴다. 사지가 싸늘하고 구토가 있는 경우에는 부자 2푼을 더하여 쓴다. 오랫동안 허하고 마비ㆍ설사가 있는 경우에는 묵은쌀 1줌, 오매 1개를 약간 볶아서 써야한다. 유옹이 처음 생긴 경우에는 우슬 생지황 각 3푼을 더하여 쓴다. 산후 또는 평상시의 혈기통에는 목향 현호색 각 3푼을 더하여 쓴다. 출산 후 너무 일찍 고기를 먹은 경우에는 이 처방이 잘 맞는데, 통증이 심하면 아출을 더하고, 설사하면 생강 부자 인삼을 더하여 쓴다.
년도
미상
기타
1권 1책(207면/10행24자)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