以鐵鼎蓋, 仰置拱石, 其上先布黔金等, 交合藥, 次布乳香等藥末, 次以砂碗, 覆其上, 以黃土均圍砂碗外四方上下, 厚以五分許, 乃炙火之, 而毋令太過, 以文火法爲之, 今朝始, 明朝火止, 候開, 見白雪滿碗, 以竹刀刮取, 以三綠和之, 以白飯泥, 作丸菉豆大, 朱砂爲衣, 以餠之, 候乾, 服之夏枯草煎湯下三丸, 此方, 非但, 治如神, 他瘡疾, 無不見效, 故名曰萬應膏. 쇠 솥뚜껑을 큰 돌 위에 뒤집어 설치하고 그 위에 먼저 검금 등을 펴놓고 약을 합하고 다음 유향 등 약 가루를 펴고 다음 사기그릇을 그 위에 엎어서 황토로 고루 사기그릇의 바깥 사방상하를 싼다. 두께는 약 5푼, 정도로 하여 구화로 불사르는데 불이 지나치게 세지 않게 하고 문화법을 써야 한다. 오늘 아침에 불사르기 시작했으면 다음 날 아침에 불을 그치고 식기를 기다려 열어보면 백설(수은을 도가에서 이르는 말)이 사기그릇에 가득 찬 걸 볼 수 있다. 죽도로 긁어모아서 삼연과 섞어 흰 쌀밥으로 개어 환을 녹두대만하게 만들어 주사로 옷을 입힌다. 밀가루 떡으로 싸서 마르기를 기다려 하고 초 끓인 물에 3환씩 먹는다. 이 처방은 비단 나력에 아주 잘 들을 뿐 아니라 다른 창질에도 효과를 보지 않음이 없으므로 이름을 만응고(萬應膏)라 한다.
년도
미상
기타
1책/116장/31×21cm.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