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한방식품 백과사전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소금물
  • 소금물

    식품명 소금물
    식품코드 102651
    분류 부식 > 국류 > 탕류
    발행기관 한국한의학연구원
    학술지명 한의학고전DB
    권호 醫宗損益 卷之二. 丑集 > 五臟 > 腎病虛實 > 六味地黃丸

h2mark 문헌(논문)명

의종손익(醫宗損益)

h2mark 저자

황도연 (黃度淵)

h2mark 효능/처방전

正傳治腎水不足陰虛, 熟地黃 八兩, 山藥ㆍ山茱萸 各四兩, 澤瀉ㆍ牧丹皮ㆍ白茯 各三兩.
右末, 蜜丸, 如梧子.
溫酒ㆍ鹽湯, 空心下五七十丸.
○綱目血虛陰衰, 熟地爲君.
精滑, 山茱萸爲君.
小便或多或少, 或赤或白, 茯爲君.
小便淋澁, 澤瀉爲君.
心氣不足, 牧丹皮爲君.
皮膚乾澁, 山藥爲君.《寶鑑》 ○一名金腎氣丸.
加桂ㆍ附ㆍ牛膝ㆍ車前子, 名加味金腎氣丸.《金》 ○仲景加五味子, 名腎氣丸.
加官桂ㆍ附子() 各一兩, 蜜丸服, 名八味元.
治命門不足陽虛.
○得效腎氣丸, 加肉桂, 名加減八味丸.
專補腎水, 兼補命門火.
○或以此材煎服, 名加減八味湯.《寶鑑》 ○英廟朝丙戌, 賜名萬全湯.《內局日記》 ○增按地黃取露, 雖不知始於何代, 而近多用之.
意者, 嫌其泥膈, 而不能順下.
然蓋地黃正取其重濁入腎, 今以淸之, 豈能全其性, 而責其功也哉.
近世臨症指南, 於泥膈之劑, 率多爲炭, 而地黃與焉, 俱非正法.
此勝於彼則有之, 用火益溫, 色黑入腎, 其於功也, 似全其性, 較之取露, 可見勝處, 然何必盡法, 惟在一時之合宜而已.
姑以錄之, 以便後攷之一助.
《정전》 신수가 부족하고, 음이 허한 증상을 치료한다.
숙지황 8냥, 산약ㆍ산수유 각 4냥, 택사ㆍ목단피ㆍ백복령 각 3냥.
위의 것을 가루 내어 꿀에 반죽하여 오자대로 환을 만든다.
데운 술이나 끓인 소금물로 공복에 5∼70알씩 복용한다.
○ 《강목》 혈허로 음이 쇠했을 때는 숙지황을 군약으로 삼는다.
정활(精滑)에는 산수유를 군약으로 삼는다.
소변이 많거나 적거나, 붉은색이나 흰색일 때는 복령을 군약으로 삼는다.
소변이 찔끔찔끔 나오거나 잘 나오지 않을 때는 택사를 군약으로 삼는다.
심기(心氣)가 부족하면 목단피를 군약으로 삼는다.
피부가 건조하고 거칠면 산약을 군약으로 삼는다.
《보감》 ○ 일명 금궤신기환이라고도 한다.
여기에 육계ㆍ부자ㆍ우슬ㆍ차전자를 더 넣으면 가미금궤신기환이라고 한다.
《금궤》 ○ 《중경》 여기에 오미자를 더한 것을 신기환이라고 한다.
여기에 육계ㆍ부자(습지에 싸서 구운 것) 각 1냥을 넣고 꿀로 환을 만들어 복용하는 것을 팔미원이라고 하는데, 명문의 화가 부족하여 양기가 허한 증상을 치료한다.
○ 《득효》 신기환에 육계를 넣은 것을 가감팔미환이라고 하는데, 전문적으로 신수를 보하고, 겸하여 명문의 화를 보한다.
○ 간혹 이 약재를 달여서 복용하는데, 이를 가감팔미탕이라고 한다.
《보감》 ○ 영조대(英祖代) 병술년(1766)에 왕명으로 이 약에 만전탕(萬全湯)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내국일기》 ○ [증] 지황(地黃)에 이슬을 맞히는 방법이 어느 시대에 시작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최근에는 많이 쓴다.
아마도 지황이 가슴을 막히게 하여 소화되지 않을 것을 꺼려서 그런 듯하다.
그러나 대체로 지황은 바로 무겁고 탁한 상태로 신으로 들어가는 성질을 이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지금은 맑은 기운만 선택하니, 어찌 그 본성을 온전하게 보존하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겠는가! 근래에 《임증지남(臨症指南)》에서는 가슴을 막히게 하는 성질의 약제에 대해서는 대부분 재로 만든다.
지황도 여기에 포함되는데, 모두 올바른 방법이 아니다.
이 태우는 방법이 이전의 이슬을 맞히는 방법보다 나은 점은 불을 사용하여 더욱 따뜻하게 하고, 색깔이 검은 채로 신에 들어간다는 점이다.
그래서 태우는 방법이 효과의 측면에서 약재의 본성을 온전하게 하여 이슬을 맞히는 방법에 비해 나은 점이 있을 것 같지만, 최고의 방법이라고 할 수는 없으며, 일시적으로 적합할 뿐이다.
우선 그 내용을 기록하여 후세에 고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게 한다.

h2mark 년도

1868

h2mark 기타

12(6)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2
동의보감 15
한방백과 9
학술정보 1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3
역사정보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