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府者, 多着四肢, 中血, 外必有六經之形症. 先以加續命[一]表之. ○中者, 多滯九竅. 三化湯[十七]. ○內外無症, 而但肢不能擧, 只宜養血通氣. 羌活愈風湯[十五]. ○卒中救急, 淸心元[十六]龍腦蘇合元[氣]以便油 竹瀝 干汁, 磨化灌下. ○救急四法[十八].○不語者,腎虛弱而爲風所傷. 語吃口歪, 脚枯細, 或耳聾, 腰背相引痛, 地黃飮子[十九]. ○痰迷心竅者, 淸神語湯[九]. 風中心脾者, 資壽語湯[卄]. ○口眼歪斜者, 理氣風[十三], 淸痰順氣湯[十四]. ○血虛, 則痰火流注於左, 而爲. 加潤燥湯[十]. 氣虛, 則痰火流注於右, 而, 風除湯[十一]. 氣血俱虛者, 加味大補湯[十二]. ○痛者爲實, 先以二陳省風之類, 治痰, 後以防風通聖[三]. 不痛者爲虛, 用丹溪法. 其曰急治則愈, 久則鬱而難. 其法, 左補血兼痰火, 四物湯[血], 納地黃干汁炒, 加竹瀝 干汁 桃仁 紅花 白芥子. 右補氣兼痰火, 四君子湯[氣], 合二陳湯 加竹瀝 干汁 白芥子. 或獨蔘湯. ○男忌左, 女忌右. 風藥不可暫停. 常身上, 有灸可也. ○痰盛者, 導痰湯[八], 加導痰湯[七], 滌痰湯[六]. ○風熱, 或熱生風者, 防風通聖[三], 人蔘羌活[二]. ○大抵以順氣爲先, 順氣則風自祛. 烏藥順氣[五], 人三順氣[四]. ○虛甚, 遺尿, 聲睡. 濃煎, 三湯 加附子 干汁. ○補中益氣湯, 加竹瀝 干汁, 亦治右[內傷]. 풍이 육부에 적중되면 증상이 대부분 사지에 나타나고, 혈맥에 적중되면 겉에 반드시 육경의 형증(形症)이 나타난다. 먼저 가감소속명탕[처방1]으로 발산시켜야 한다. ○풍이 오장에 적중되면 대부분 9구멍이 막힌다. 삼화탕[처방17]을 쓴다. ○안팎에 증세가 없는데도 사지를 움직이지 못한다면 혈을 기르고 기를 통하게 해야 한다. 강활유풍탕[처방15]을 쓴다. ○졸중으로 위급한 경우에는 우황청심원[처방16]이나 용뇌소합원[기문]에 동변 향유 죽력 생강즙을 갈아 마신다. ○응급을 구하는 4가지 방법[처방18]. ○말을 하지 못하는 경우는 신이 허약한 상태에서 풍에 상하는 것이다. 말을 더듬거나, 입이 삐뚤어지거나, 다리가 마르고 가늘어지거나, 혹 귀가 멀고 허리와 등이 당기면서 아픈 경우에는 지황음자[처방19]를 쓴다. ○담이 심의 구멍을 막은 경우에는 청신해어탕[처방9]을 쓴다. 풍이 심과 비에 맞은 경우에는 자수해어탕[처방20]을 쓴다. ○구안와사에는 이기거풍산[처방13]ㆍ청담순기탕[처방14]을 쓴다. ○혈이 허하면 담화가 좌반신으로 돌아다녀 반신불수가 된다. 가감윤조탕[처방10]을 쓴다. 기가 허하면 담화가 우반신으로 돌아다녀 반신불수가 된다. 거풍제습탕[처방11]을 쓴다. 기와 혈이 모두 허한 경우에는 가미대보탕[처방12]을 쓴다. ○통증이 있는 경우는 실증이니 먼저 이진탕ㆍ성풍탕 등으로 담을 치료한 후 방풍통성산[처방3]을 쓴다. 통증이 없는 경우는 허증이니 주단계(朱丹溪)의 방법을 사용한다. 그가 말하기를, 재빨리 치료하면 낫고 오래 두면 맺혀서 풀기 어렵다.고 하였다. 그 방법은 (병증이) 왼쪽에 있으면 혈을 보하고 담화를 흩어야 하니 사물탕[혈문]에 지황(생강즙에 축여 볶는다)을 넣고 죽력 생강즙 도인 홍화 백개자를 더하여 사용한다. (병증이) 오른쪽에 있으면 기를 보하고 담화를 흩어야 하니, 사군자탕[기문]과 이진탕을 합방하고 죽력 생강즙 백개자를 더하여 사용한다. 혹은 독삼탕(獨蔘湯)을 사용한다. ○남자는 (증상이) 왼쪽에 나타나는 것이 나쁘고, 여자는 오른쪽에 나타나는 것이 나쁘다. 풍의 치료약은 잠시도 멈출 수 없다. 몸에 늘 뜸자국이 있는 것이 좋다. ○가래가 심한 경우에는 도담탕[처방8]ㆍ가감도담탕[처방7]ㆍ척화탕[처방6]을 쓴다. ○풍열 혹은 열 때문에 풍이 생긴 경우에는 방풍통성산[처방3]ㆍ인삼강활산[처방2]을 쓴다. ○기를 순하게 하는 것이 우선이니 기를 순하게 하면 풍은 저절로 사라진다. 오약순기산[처방5]ㆍ인삼순기산[처방4]을 쓴다. ○허증이 심하면 자기도 모르게 소변이 새고 코골며 잔다. 독삼탕에 부자 생강즙을 더해 진하게 달인다. ○보중익기탕[내상문]에 죽력 생강즙을 더한 것도 오른쪽 반신불수를 치료한다.
년도
미상
기타
1권 1책(207면/10행24자)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