回春治脾腎虛泄痢, 及晨泄經年者. 又治飯後隨卽大便, 曰泄. 破古紙(酒浸炒) 四兩, 肉豆()ㆍ五味子(炒) 各二兩, 吳茱萸(湯炒) 一兩. 右末, 生薑(切) 八兩, 大棗 百枚, 同煮爛, 去薑取棗丸, 如梧子. 空心, 鹽湯下三五十丸. ○本事二神丸治脾腎虛泄. 破古紙(炒) 四兩, 肉豆(生或) 二兩. 右末, 肥棗 四十九枚, 生薑 四兩(切片), 同煮爛, 去薑取棗肉, 入藥末和勻丸, 如梧子. ○瑞竹三神丸治脾腎虛泄瀉, 卽二神丸一料, 加木香 一兩. 劑法ㆍ服法同.《寶鑑》 《회춘》 비신허로 생긴 설사와 이질을 치료하고, 신설(晨泄)이 여러 해가 된 것도 치료한다. 또 식사 후에 곧바로 대변을 누는 것도 치료하는데, 이것을 손설이라고 한다. 파고지(술에 담갔다 볶은 것) 4냥,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오미자(볶은 것) 각 2냥, 오수유(끓인 물에 담갔다 볶은 것) 1냥. 이 약들을 가루 내어 생강(썬 것) 8냥과 대추 100개를 함께 푹 달여서 생강은 제거하고 대추만 골라 반죽하여 오자대로 환을 만든다. 한 번에 30∼50알씩 공복에 끓인 소금물로 먹는다. ○ 《본사》 이신환은 비신허로 생긴 설사를 치료한다. 파고지(볶은 것) 4냥, 육두구(생것 혹은 잿불에 묻어 구운 것) 2냥. 위의 약을 가루 낸다. 살진 대추 49개와 생강(썬 것) 2냥을 함께 물에 넣고 푹 달여서 생강은 제거하고 대추살만 취한다. 여기에 약 가루를 넣고 고르게 섞어 오자대로 환을 만든다. ○ 《서죽》 삼신환은 비신허로 생긴 설사를 치료한다. 즉 이신환 1제에 목향 1냥을 더한 것으로 만드는 법과 복용법은 이신환과 같다. 《보감》
년도
1868
기타
12(6)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