二月以後, 則田菜, 山菜, 橡實, 松白皮, 檀葉, 葉, 蒿葉等物, 皆可以救飢, 民間皆自知之, 然必和以穀末而食之, 乃可以生.
無穀而食, 則亦不得生矣.
須自穀物稍存時, 預爲樽節, 和雜物食之, 無使麥前頓絶可也.
檀, 俗名彭木也, , 枏.
取粳米一升, 酒三升漬之, 出曝乾, 又漬又曝, 酒盡乃止, 稍稍食之, 渴則飮冷水, 三十日, 一斗二升, 周年.
米一斗淘洗, 百蒸百曝, 末, 一日和冷水一餐, 得了三十日, 則可終身不食不飢.
靑粱米一斗, 以苦酒一斗漬之, 三日出, 百蒸百曝, 善爲藏, 遠行時一餐, 十日, 重餐, 九十日不飢.
靑粱米, 酒拌, 百蒸百曝, 可作糧, 能穀.
蔓菁子, 水煮三遍, 令盡去苦味, 曝乾末, 水服二, 日三, 久漸增服, 可以穀.
取蔓菁苗葉莖根, 四時長服, 可度飢歲.
蘿根, 早朝熟, 食之, 不飢不寒, 蔓菁, 俗名搜蕪尤.
2월 이후에는 밭나물, 산나물, 도토리, 소나무의 흰 껍질, 박달나무 잎단엽(檀葉), 느티나무 잎귀엽(葉), 쑥 등이 배고픔을 잊게 한다.
이것은 민간에서도 다 아는 것이지만, 반드시 곡식가루와 섞어 먹어야 살 수 있으며, 곡식이 없이 먹으면 살 수 없다.
모름지기 곡물이 조금이라도 남아 있을 때 미리 절약해서 다른 것과 섞어 먹어 보리를 수확하기 전에 갑자기 식량이 떨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박달나무단(檀)는 민간에서는 팽나무[彭木]라고 한다.
느티나무귀()는 녹나무남(枏)이다.
멥쌀 1되를 술3되에 담갔다가 꺼내서 햇볕에 말리고 또 담갔다가 다시 말려 술이 다 되면 그친다.
이것을 조금씩 먹는데 갈증이 나면 찬물을 마신다.
30일을 먹지 않고 견딜 수 있다.
1말2되면 1년을 먹지 않고 견딜 수 있다.
찹쌀 1말을 씻어 100번 찌고 100번 햇볕에 말린 후 찧어 가루로 만든다.
하루에 한 번씩 찬물에 타서 30일을 먹으면 평생 먹지 않아도 배가 고프지 않다.
청량미 1말을 식초 1말에 담갔다가 3일 만에 꺼내서 100번 찌고 100번 햇볕에 말린 후 잘 포장해 둔다.
먼 길을 갈 때 한 번 먹으면 10일을, 두 번 먹으면 90일 동안 배가 고프지 않다.
청량미를 술에 버무려 100번 찌고 100번 햇볕에 말려 미숫가루를 만들어 먹으면 곡식을 먹지 않고 견딜 수 있다.
만청자(蔓菁子, 순무씨)를 물에 세 번을 삶아 쓴 맛이 다 빠지게 한 후 햇볕에 말려 가루 내어 2돈씩 하루에 세 번 물에 타서 먹는데 조금씩 양을 늘려가며 오래 먹으면 곡식을 먹지 않아도 된다.
순무의 싹, 잎, 줄기, 뿌리를 취해서 사철 내내 장복하면 흉년을 지낼 수 있다.
무를 구워서 먹으면 배고프지 않고 춥지 않다.
만청(蔓菁)은 민간에서 순무[搜蕪尤]라고 한다.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