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한방식품 백과사전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붕어
  • 붕어

    식품명 붕어
    식품코드 102156
    분류 부식 > 회류 > 생회
    발행기관 한국한의학연구원
    학술지명 한의학고전DB
    권호 景岳全書 卷之四十七 賢集 外科鈐 下 > 外科鈐 下 > 乳癰ㆍ乳巖 五十一

h2mark 문헌(논문)명

경악전서(景岳全書)

h2mark 저자

장개빈 (張介賓)

h2mark 효능/처방전

一婦人, 患乳癰, 寒熱ㆍ頭痛.
與荊防敗毒散一劑, 更與蒲公英一握, 搗爛, 入酒二三盞, 再搗, 取汁熱服, 熱患處而消.
丹溪云: 此草, 散熱毒, 消腫核, 又散滯氣.
解金石毒之聖藥.
○一婦人, 左乳內腫如桃, 不痛, 色不變, 發熱, 漸消瘦.
以八珍湯加香附ㆍ遠志ㆍ靑皮ㆍ柴胡百餘劑, 又間服神效蔞散三十餘劑, 膿潰而愈.
常見患者, 責效太速, 或不解七情, 及藥不分經絡ㆍ虛實者, 俱難治.
大抵此症, 四十以外者, 尤難治, 蓋因陰血日虛也.
○一婦人, 因怒, 左乳內腫痛ㆍ發熱, 表散太過, 致熱益甚.
以益氣養營湯數劑, 熱止膿成, 欲用鍼, 彼不從.
遂腫脹ㆍ大熱ㆍ發渴, 始鍼之, 膿大泄, 仍以前湯, 月餘始愈.
○一男子, 左乳腫硬痛甚, 以仙方活命飮二劑而痛止, 更以十宣散加靑皮, 四劑膿成, 鍼之而愈.
此症, 若膿成未破, 瘡頭有薄皮剝起者, 用代鍼之劑, 點起皮處, 以膏藥貼之, 膿亦自出, 但不若及時鍼之, 則不致大潰.
如膿出不利, 更入搜膿化毒之藥.
若膿血未盡, 輒用生肌之劑, 反助邪氣, 縱早合, 必再發, 不可不愼也.
○一産婦, 因乳少服藥通之, 致乳房腫脹, 發熱ㆍ作渴, 狀類傷寒, 以玉露散補之而愈.
夫乳汁, 乃氣血所化, 在上爲乳; 在下爲經.
若衝任之脈盛, 脾胃之氣壯則乳汁多而濃; 衰則少而淡, 所乳之子, 亦弱而多病, 此自然之理.
亦有屢産有乳, 再産却無, 或大便澁滯, 乃亡津液也.
《三因論》云: 産婦乳脈不行有二, 有血氣盛閉而不行者; 有血氣弱澁而不行者.
虛當補之, 盛當疏之.
盛者, 當用通草ㆍ漏蘆ㆍ土瓜根輩; 虛者, 當用煉成鍾乳粉ㆍ猪蹄ㆍ魚之屬, 槪可見矣.(俱《按》).
어떤 여성이 乳癰을 앓아 寒熱ㆍ頭痛하였다.
荊防敗毒散 1劑를 투여하고, 다시 蒲公英 1줌을 짓찧어 술 2-3잔을 넣고 다시 짓찧어 汁을 取해 熱服했으며, 찌꺼기를 뜨겁게 해서 환부를 덮자 없어졌다.
丹溪는 蒲公英은 熱毒을 散하고 腫核을 消하며 滯氣도 散한다.
金石毒을 解하는 聖藥이다고 하였다.
○어떤 여성이 左乳內가 복숭아처럼 腫했는데, 不痛, 色不變하고 發熱하며 점차 消瘦하였다.
八珍湯加香附ㆍ遠志ㆍ靑皮ㆍ柴胡 100餘劑를 복용하고, 중간에 神效蔞散 30餘劑를 복용하자, 膿이 潰하여 나았다.
환자들이 빨리 효과를 보려고 七情을 풀지 않거나 經絡ㆍ虛實을 구분하지 않은 채 藥을 쓰는 경우를 많이 보는데, 모두 難治한다.
이 症이 40세 이후에 생긴 경우는 특히 難治하는데, 陰血이 날로 虛하기 때문이다.
○어떤 여성이 怒로 因해 左乳內가 腫痛하고 發熱했는데, 表散이 太過하여 熱이 더욱 甚해졌다.
益氣養營湯 數劑를 쓰자 熱止하고 膿成하여 鍼을 쓰려고 했는데, 거부하여 결국 腫脹ㆍ大熱ㆍ發渴하자 그제야 刺鍼하여 膿이 大泄하였고, 前湯으로 1달 만에 낫기 시작했다.
○어떤 남성이 左乳가 腫硬痛甚하여 仙方活命飮 2첩을 쓰자 痛止하였고, 다시 十宣散加靑皮 4첩을 쓰자 膿成하여 鍼으로 빼내어 나았다.
이 症으로 만약 膿成하여 아직 터지지 않고 瘡頭에 薄皮가 떨어져 일어난 경우는 껍질이 일어난 곳에 代鍼膏를 點하고 膏藥을 붙이면 膿이 역시 自出하는데, 다만 때맞춰 刺鍼하여 大潰되지 않도록 하는 것만은 못하다.
가령 膿出이 不利하면 搜膿化毒하는 藥을 밀어 넣는다.
만약 膿血이 未盡한데 갑자기 生肌하는 처방을 쓰면 오히려 邪氣를 도와 일찍 아물더라도 반드시 재발하니 반드시 삼가야 한다.
○乳少한 어떤 산모가 服藥하여 通한 後에 乳房腫脹, 發熱ㆍ作渴하고 傷寒과 비슷한 증상이 생겼는데, 玉露散으로 補하여 나았다.
乳汁은 氣血의 所化로, 上에서는 乳汁, 下에서는 月經이 된다.
만약 衝任脈이 盛하고 脾胃의 氣가 壯하면 乳汁이 多하면서 濃하지만, 衰하면 少하면서 淡하니 젖먹이 아이 역시 弱하고 多病함은 자연스런 이치이다.
여러 번 출산해도 젖이 있었는데, 다시 출산하여 젖이 없고 大便澁滯하다면 亡津液한 상태이다.
《三因論》에서는 산모의 乳脈不行에는 2가지가 있으니, 血氣의 盛으로 閉하여 不行하는 경우와 血氣의 弱으로 澁하여 不行하는 경우가 있다.
당연히 虛하면 補하고 盛하면 疏해야 하니, 盛한 경우는 당연히 通草ㆍ漏蘆ㆍ土瓜根 등을 쓰고 虛한 경우는 당연히 製鍊한 鍾乳粉ㆍ猪蹄ㆍ붕어 등을 쓴다고 하였으니, 대략을 알 수 있다.(《按》)

h2mark 년도

1624년

h2mark 기타

64권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3
동의보감 75
한방백과 21
학술정보 1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1
문화정보 3
역사정보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