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한방식품 백과사전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부추장아찌
  • 부추장아찌

    식품명 부추장아찌
    식품코드 102127
    분류 부식 > 장아찌류 > 장아찌
    발행기관 한국한의학연구원
    학술지명 한의학고전DB
    권호 諺解痘瘡集要 卷下 > 痘後雜病

h2mark 문헌(논문)명

언해두창집요(諺解痘瘡集要)

h2mark 저자

허준 (許浚)

h2mark 효능/처방전

右爲細末, 先以菜根老茶濃煎, 水鷄羽, 洗去腐爛惡肉, 至見鮮血, 乃傅藥日三次.
爛至喉中者, 用小竹筒, 吹藥入.
雖牙齒爛落, 口唇穿破, 傅藥皆愈.
但鼻梁發紅點, 則不治.
이 라 몬져 부 불휘과 늘근 차닙 딛케 달힌 믈을 긔 지로 디거 싯서거 즌므른 홀 아조 업시 야 셩 피 나거든 그제야 약을 로 세 번식 라.
목 안히 즌믈럿거든 쟈근 대통으로 약을 부러 드리라.
비록 즌믈러 니 디고 입시우리 허여디니라도 약 면 다 됴커니와 오직 곳 블근 뎜곳 도면 몯 고티니라.
이를 고운 가루로 만든다.
먼저 부추 뿌리와 늙은 찻잎을 진하게 달여 그 물을 닭의 깃으로 찍어 썩고 짓무른 살을 닦아 제거하고 선혈이 나오면 하루 3번 약을 바른다.
목안이 짓물렀으면 작은 대통으로 약을 불어 넣는다.
비록 잇몸이 짓물러 이가 빠지고 입술이 헤어졌더라도 이 약을 바르면 다 낫는다.
다만 콧마루에 붉은 점이 돋으면 못 고친다.

h2mark 년도

1601

h2mark 기타

2(2)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1
동의보감 16
한방백과 28
학술정보
건강정보 1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역사정보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