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瘡腸斷, 一頭見者, 不可連, 若腹痛短氣不得飮食者, 大腸一日半死, 小腸三日死. 腸兩頭見者, 可速續之, 先以鐵縷, 如法續之, 斷腸便取鷄官血, 塗其際, 勿令氣泄, 推納之. 出不斷者, 作大麥粥, 取汁洗腸, 漬納之. 且作淸, 稍而飮之, 二十餘日嗜粥, 百日後進飯. △金瘡, 雖渴欲飮水, 忌多飮粥, 嗔怒 大言 笑 動作勞力 酸 炅湯炅羹. 쇠붙이에 상해 장(腸)이 끊어졌을 때, 끊어진 장의 한쪽 끝만 보이면 이을 수 없는데, 만약 배가 아프고 숨이 가쁘며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경우에, 대장이 상해서 그런 것이라면 1일반 만에 죽고, 소장이 상한 것이라면 3일 만에 죽는다. 끊어진 장이 양쪽 끝이 다 보이면 빨리 이어야 하는데, 먼저 실을 바늘에 꿰어 방법대로 잇고, 끊어진 장 부위에 닭볏의 피를 발라서 기운이 새지 않게 하고 밀어 넣어야 한다. 장이 밖으로 나오기만 하고 끊어지지 않은 경우엔 보리죽을 쑤어 그 죽물로 장을 잘 씻은 다음 적셔서 밀어 넣어야 한다. 그리고 멀건 죽물을 조금씩 마시기를 20여일 한 후에 죽을 먹이고, 100일후에 밥을 먹는다. △쇠붙이에 상하면 갈증이 나서 물을 마시려고 해도 물이나 죽을 많이 마시지 말아야 한다. 성내는 것 크게 말하거나 웃는 것 몸을 움직여 힘든 일을 하는 것 짜고 신 것 뜨거운 탕이나 국을 마시는 것 등을 금해야 한다.
년도
미상
기타
1(1)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