千金方之論消渴曰, 凡積久飮酒, 未有不成消渴, 大寒凝海, 而酒不凍, 明酒性酷熱, 物無以加, 脯炙鹽鹹, 酒客耽嗜, 不離其口, 三觴之後, 制不由己, 飮無度, 咀嚼酢醬, 不擇酸鹹, 積年長夜, 飮不解, 遂使三焦猛熱, 五臟乾燥, 木石猶且焦枯, 在人何能不渴.
外臺秘要方述古今錄驗方曰, 消渴病有三, 一渴而飮水多, 小便數有脂似片, 者, 消渴也.
二喫食多, 不甚渴, 小便少, 似有油而數者, 消中也.
三渴飮水, 不能多, 但腿腫先瘦, 小陰弱, 數小便者, 腎消也.
消渴者倍黃連, 消中者倍蔞, 腎消者加芒硝, 由千金而言, 酒是濕熱相兼之物, 因酒致病, 必係濕熱爲源, 所以宜用黃連也, 由外臺而言, 消渴略相似之病, 有此三種, 消中, 腎消, 與黃連不宜, 所以別乎可用黃連之的證也, 反覆乎此二書, 則庶幾欲用黃連止消渴者, 知有別擇矣.
《千金方》에서 消渴을 논하기를 : 오랫동안 술을 즐기면 대부분 소갈증이 된다.
大寒에 바다는 얼어도 술은 얼지 않는다.
그러므로 술은 다른 어떤 것보다 뜨겁다[酷熱].
술꾼들은 짠 건어물 구이[脯灸]를 즐긴다.
몇 년 동안 계속 함부로 술을 마시고, 초장을 찍어 먹고, 시고 짠 것을 가리지 않으면서 속을 풀지 않으면, 결국은 三焦가 몹시 뜨거워지고 五臟이 마른다.
돌이나 나무도 타서 말라버리는데, 어떻게 사람한테 갈증이 생기지 않을 수 있겠는가.
《外臺秘要》에서 《古今錄驗方》을 기술하며 消渴病을 세 가지 제시하였다.
⑴ 갈증으로 물을 많이 마시며 소변을 자주 본다.
소변에 밀기울 조각 같은 기름이 뜨고 단맛이 나면 消渴이라 한다.
⑵ 먹는 것은 많은데 갈증은 심하지 않다.
소변은 조금 보지만 기름기가 있으며 자주 본다.
消中이라 한다.
⑶ 갈증으로 물을 마시지만 많이 마시지 못하며, 넓적다리가 붙고 종아리가 먼저 마르고 자지가 시들어 약해지고 소변을 자주 본다.
腎消라고 한다.
消渴에는 黃連을 두 배 넣고, 消中에는 瓜蔞를 두 배 쓰고, 腎消에는 芒硝를 가한다.
《千金方》 : 술은 濕과 熱이 섞인 것으로서, 술로 消渴이 생기면 반드시 濕熱과 관계가 있으므로 黃連이 적당하다.
《外臺》 : 消渴은 서로 비슷한 病이다.
이 세 증상 중에서 消中과 腎消에는 黃連이 부적당하다.
이처럼 黃連이 적합한 증상을 구별해야 한다.
두 책을 반복해서 보면 黃連으로 소갈을 치료할 때에는 별도로 선택할 증상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