此保肺金之劑. 故曰四陰. 治陰虛勞損, 相火熾盛, 津枯煩渴, 咳嗽ㆍ吐ㆍ多熱等症. 生地ㆍ麥門冬ㆍ白芍藥ㆍ百合ㆍ沙蔘 各二錢, 茯 一錢半, 甘草 一錢. ○夜熱盜汗, 加地骨皮. ○痰多, 加貝母ㆍ阿膠ㆍ天花粉. ○金水不能相滋, 加熟地 三五錢. ○汗多不眠, 加棗仁. ○熱甚, 加黃栢或玄蔘. ○吐, 加根. ○便燥, 乾咳, 加天門冬ㆍ童便. ○火載血上, 去甘, 加(炒)子.《景岳》 이 처방은 폐금을 도와주는 약이므로, 사음전이라고 한다. 음허와 허로손상으로 상화가 매우 성하며, 진액이 마르고 번갈이 나며, 기침과 함께 피를 쏟고 코피가 나며 열이 많이 나는 증상 등을 치료한다. 생지ㆍ맥문동ㆍ백작약ㆍ백합ㆍ사삼 각 2돈, 복령 1.5돈, 감초 1돈 ○ 밤에 열이 나고 도한증이 생기면 지골피를 더 넣어 쓴다. ○ 담이 많으면 패모ㆍ아교ㆍ천화분을 더 넣어 쓴다. ○ 폐금과 신수가 서로 잘 돕지 못하면, 숙지황 3∼5돈을 더 넣어 쓴다. ○ 땀이 많이 나고 잠을 자지 못하면 조인을 더 넣어 쓴다. ○ 열이 심하면 황백이나 현삼을 더 넣어 쓴다. ○ 구토를 하고 코피가 나면 천근을 더 넣어 쓴다. ○ 대변이 마르고 마른기침을 할 때는 천문동ㆍ동변을 더 넣어 쓴다. ○ 화가 혈을 싣고 위로 올라가 코피가 나면 감초를 빼고 치자(볶은 것)을 더 넣어 쓴다. 《경악》
년도
1868
기타
12(6)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