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加烏梅 草果. ○勞炅, 加麥門 伏令 五味. ○渴, 加木瓜 乾葛. ○鼻, 加蒲黃 地骨 茅根. ○小便不利, 加木通 猪令 澤. ○大便不通, 加大黃 芒硝. ○咳嗽, 加吉更 杏仁 五味. ○五心炅渴, 加前胡 地骨 麥門. ○炅極六洪, 加柴 乾葛 五味子. ○頭痛, 加細辛 石膏. ○喘急, 加知母 貝母. ○婦人産後癲狂, 加辰砂 柴胡. ○有勞的, 加百合 赤芍 地骨. 학질에는 오매 초과를 더하여 쓴다. ○허로로 열이 나는 경우에는 맥문동 복령 오미자를 더하여 쓴다. ○목이 마른 경우에는 모과 갈근을 더하여 쓴다. ○코피가 나는 경우에는 포황 지골피 모근을 더하여 쓴다.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경우에는 목통 저령 택사를 더하여 쓴다. ○대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경우에는 대황 망초를 더하여 쓴다. ○기침에는 길경 행인 오미자를 더하여 쓴다. ○오심으로 열이 나고 목이 마른 경우에는 전호 지골피 맥문동을 더하여 쓴다. ○열이 심하여 6맥이 홍삭한 경우에는 시호 갈근 오미자를 더하여 쓴다. ○머리가 아픈 경우에는 세신 석고를 더하여 쓴다. ○숨을 헐떡이는 경우에는 지모 패모를 더하여 쓴다. ○부인의 산후 전광에는 진사 시호를 더하여 쓴다. ○허로가 적중한 경우에는 백합 적작약 지골피를 더하여 쓴다.
년도
미상
기타
1권 1책(207면/10행24자)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